유료 사용자를 위한 영역
무료 체험하기
이번 주에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Emerson Electric Co. 페이지:
데이터는 뒤에 숨겨져 있습니다.
이것은 일회성 지불입니다. 자동 갱신은 없습니다.
우리는 받아 들인다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2019. 9. 30. | 2018. 9. 30. | 2017. 9. 30. | 2016. 9. 30. | 2015. 9. 30. | 2014. 9. 30. | |
---|---|---|---|---|---|---|
자동화 솔루션 | ||||||
기후 기술 | ||||||
도구 & 가정용품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9-09-30), 10-K (보고 날짜: 2018-09-30), 10-K (보고 날짜: 2017-09-30), 10-K (보고 날짜: 2016-09-30), 10-K (보고 날짜: 2015-09-30), 10-K (보고 날짜: 2014-09-30).
- 자동화 솔루션 부문의 이익률 흐름
- 해당 부문의 보고 가능 부문 이익률은 2016년부터 2019년까지 일정 수준을 유지하며 소폭의 변동을 보이고 있다. 2016년에는 18.18%로 나타나 이후 2017년 16.22%로 다소 하락하였으나, 2018년에는 16.16%로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2019년에는 15.96%로 약간 하락하는 경향이 관찰되나, 전체적인 이익률 수준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 기후 기술 부문의 이익률 추이
- 기후 기술 부문은 2016년 이후 지속적으로 이익률이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2016년 20.84%에서 시작해 2017년 22.87%, 2018년에는 23.15%까지 상승하였다. 이후 2019년에는 20.47%로 다소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나, 여전히 전반적으로 20% 내외의 수익률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기후 기술 부문의 수익성 강화를 시사한다.
- 도구 및 가정용품 부문의 이익률 흐름
- 이 부문에서는 2016년부터 2018년까지 꾸준한 상승세를 보였다. 특히 2017년에는 23.84%, 2018년에는 23.28%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2019년에는 20.91%로 하락세를 보였으나, 여전히 이전보다 낮지 않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이익률은 22% 내외에서 변동하며, 시장 환경 또는 제품 구조의 변화에 따라 조정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자동화 솔루션
2019. 9. 30. | 2018. 9. 30. | 2017. 9. 30. | 2016. 9. 30. | 2015. 9. 30. | 2014. 9. 30.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수입 | ||||||
영업 |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9-09-30), 10-K (보고 날짜: 2018-09-30), 10-K (보고 날짜: 2017-09-30), 10-K (보고 날짜: 2016-09-30), 10-K (보고 날짜: 2015-09-30), 10-K (보고 날짜: 2014-09-30).
1 2019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100 × 수입 ÷ 영업
= 100 × ÷ =
- 수입
- 2015년부터 2019년까지의 기간 동안 수입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2015년에는 1,846백만 달러였던 수입이 점차 상승하여 2019년에는 1,947백만 달러에 이르렀습니다. 이 기간 동안 연평균 성장률은 안정적이거나 점진적인 상승세를 보였으며, 특히 2017년 이후 수입이 눈에 띄게 증가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사업 확장 또는 판매 증가 등 내부적 성장 동력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 영업이익
- 영업이익 역시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2015년 10,153백만 달러에서 2019년 12,202백만 달러로 증가하였습니다. 연평균 성장률은 수입과 유사하게 견실하게 유지되고 있으며, 이는 비용 통제와 효율성 향상 또는 부가가치 창출 능력의 개선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영업이익의 안정적 증가는 기업의 핵심 영업역량이 유지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이익률은 2015년 16.22%에서 2019년 15.96%로 다소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수익성 면에서 약간의 압박을 받고 있음을 의미할 수 있으며, 원가 상승, 경쟁 심화 또는 가격 압력 등 다양한 이유가 작용했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그러나 2017년 이후 이익률의 감소폭은 크지 않으며, 전체적으로 수익성은 여전히 견조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기후 기술
2019. 9. 30. | 2018. 9. 30. | 2017. 9. 30. | 2016. 9. 30. | 2015. 9. 30. | 2014. 9. 30.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수입 | ||||||
영업 |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9-09-30), 10-K (보고 날짜: 2018-09-30), 10-K (보고 날짜: 2017-09-30), 10-K (보고 날짜: 2016-09-30), 10-K (보고 날짜: 2015-09-30), 10-K (보고 날짜: 2014-09-30).
1 2019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100 × 수입 ÷ 영업
= 100 × ÷ =
- 수입 추세
- 2015년 이후 수입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2017년과 2018년에 최고치를 기록하였다. 이후 2019년에는 다소 하락하는 모습을 나타내었으나, 여전히 2015년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회사의 매출 성장이 일정 기간 동안 견조하게 유지되었음을 의미한다.
- 영업 이익 추세
- 영업 이익은 2015년부터 2018년까지 꾸준히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2018년에는 최대치를 기록하였다. 그러나 2019년에는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이익이 정점 이후 다소 하락하는 추세임을 시사한다. 이는 매출 증대와 함께 수익성 측면에서도 일시적 조정을 겪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이익률은 2015년 이후 2016년까지 상승세를 보여 23.15%로 최고점을 찍었다. 이후 2017년과 2018년에는 다소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여전히 20%대를 유지하고 있다. 이익률의 변동은 매출과 영업이익의 동향에 따른 수익성 수준의 변동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 종합적 분석
- 전반적으로, 회사의 수입과 영업이익은 2015년 이후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였으며, 이에 따른 부문 이익률도 일정 부분 개선되었다. 다만, 2019년에는 매출과 영업이익이 소폭 하락하는 모습이 관찰되어, 일시적인 시장 변동이나 비용 구조의 변화가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트렌드는 회사가 안정적이며 성장세를 유지하는 가운데, 수익성 측면에서는 일부 조정이 필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도구 및 가정용 제품
2019. 9. 30. | 2018. 9. 30. | 2017. 9. 30. | 2016. 9. 30. | 2015. 9. 30. | 2014. 9. 30.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수입 | ||||||
영업 |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9-09-30), 10-K (보고 날짜: 2018-09-30), 10-K (보고 날짜: 2017-09-30), 10-K (보고 날짜: 2016-09-30), 10-K (보고 날짜: 2015-09-30), 10-K (보고 날짜: 2014-09-30).
1 2019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100 × 수입 ÷ 영업
= 100 × ÷ =
- 수입
- 수입은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2015년 364백만 달러에서 2019년 388백만 달러로 소폭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2014년을 제외하고는 수입의 지속적 성장을 기대할 만한 패턴이 나타나며, 시장 상황이나 제품 수요가 비교적 안정적임을 시사한다.
- 영업이익
- 영업이익은 2015년 1,611백만 달러에서 2018년 1,856백만 달러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인 후, 2019년에는 일시적 변동 없이 계속 상승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비용 관리 또는 운영 효율성 강화의 긍정적 신호로 해석할 수 있으며, 수익성 측면에서도 호전된 모습을 보여준다.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이익률은 2015년 23.84%에서 2018년 24.87%로 소폭 증가하였으며, 2019년에는 20.91%로 하락하였다. 이익률의 증감은 비용 구조, 판매 전략 또는 시장 경쟁력과 연관이 있을 수 있으며, 2019년의 하락은 일부 비용 압박 또는 시장 변화로 인한 영향을 반영할 가능성이 있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2019. 9. 30. | 2018. 9. 30. | 2017. 9. 30. | 2016. 9. 30. | 2015. 9. 30. | 2014. 9. 30. | |
---|---|---|---|---|---|---|
자동화 솔루션 | ||||||
기후 기술 | ||||||
도구 & 가정용품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9-09-30), 10-K (보고 날짜: 2018-09-30), 10-K (보고 날짜: 2017-09-30), 10-K (보고 날짜: 2016-09-30), 10-K (보고 날짜: 2015-09-30), 10-K (보고 날짜: 2014-09-30).
- 자동화 솔루션 세그먼트 자산 수익률
- 2014년 데이터가 제공되지 않은 가운데, 이후 기간에는 자산 수익률이 점차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2018년 이후에는 약간의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다. 2016년 20.94%에서 2017년 16.62%로 하락했으며, 이후 2018년에는 12.1%로 최저점을 기록한 후, 2019년에는 13.91%로 소폭 회복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 패턴은 해당 세그먼트의 자산 활용 효율성에 대한 일시적인 악화와 회복을 시사한다.
- 기후 기술 세그먼트 자산 수익률
- 이 세그먼트는 분석 기간 내 꾸준히 높은 수익률을 유지하며 성장하였다. 2016년 34.01%, 2017년 36.24%로 성장세를 지속했고 2018년에는 38.28%로 최고치를 기록하였다. 이후에는 약간의 하락을 보였으나 2019년에는 30.61%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며 안정적인 수익률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기후 기술 분야가 지속적인 수익 창출 능력을 갖추고 있음을 의미한다.
- 도구 및 가정용품 세그먼트 자산 수익률
- 이 세그먼트는 2016년 44.55%, 2017년 47.47%로 강한 성장세를 기록하였으며, 2018년에는 46.14%로 유지되었다. 그러나 2019년에는 24.36%로 급격히 하락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그러한 후 2020년에는 26.54%로 소폭 반등하였다. 이와 같은 변동은 해당 세그먼트의 자산 활용이 일시적인 어려움을 겪었거나, 외부 환경 또는 시장 경쟁력에 변화가 있었음을 시사한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자동화 솔루션
2019. 9. 30. | 2018. 9. 30. | 2017. 9. 30. | 2016. 9. 30. | 2015. 9. 30. | 2014. 9. 30.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수입 | ||||||
총 자산 |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9-09-30), 10-K (보고 날짜: 2018-09-30), 10-K (보고 날짜: 2017-09-30), 10-K (보고 날짜: 2016-09-30), 10-K (보고 날짜: 2015-09-30), 10-K (보고 날짜: 2014-09-30).
1 2019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 100 × 수입 ÷ 총 자산
= 100 × ÷ =
- 수입(매출)
- 2015년 이후부터 데이터를 볼 때, 수입은 일시적으로 감소한 이후 회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2016년에는 수입이 감소했으나 2017년 이후로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며, 2018년과 2019년에는 각각 1,886백만 달러와 1,947백만 달러로 이전보다 높게 나타났습니다. 이는 회사가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회복하거나 신제품, 신시장 개척 등을 통해 수익성을 개선했음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 총 자산
- 총 자산은 2015년 약 8,817백만 달러에서 차츰 상승하여 2016년에는 8,759백만 달러로 다소 정체된 이후, 2017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는 모습이 관찰됩니다. 특히, 2016년 이후 약 2,000백만 달러 이상의 자산 증가가 이루어졌으며, 2019년 말에는 13,996백만 달러에 이릅니다. 이는 회사가 자산을 확장하거나 재무 구조를 개선함에 따라 사업 규모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ROA)
- 이 지표는 2015년 20.94%를 정점으로 시작하여 2016년 16.62%로 하락했고, 이후 2017년에는 12.1%로 더 낮아지는 등 수익률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습니다. 이후 2018년과 2019년에는 각각 13.75%, 13.91%로 소폭 반등하는 모습입니다. 이는 자산 증가와 비교할 때 수익성 측면에서 일시적 또는 구조적 도전 과제가 있었음을 암시하며, 이후 회복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음도 나타납니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기후 기술
2019. 9. 30. | 2018. 9. 30. | 2017. 9. 30. | 2016. 9. 30. | 2015. 9. 30. | 2014. 9. 30.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수입 | ||||||
총 자산 |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9-09-30), 10-K (보고 날짜: 2018-09-30), 10-K (보고 날짜: 2017-09-30), 10-K (보고 날짜: 2016-09-30), 10-K (보고 날짜: 2015-09-30), 10-K (보고 날짜: 2014-09-30).
1 2019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 100 × 수입 ÷ 총 자산
= 100 × ÷ =
- 수입
- 2014년 이후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수입은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2017년 최고 수준을 기록한 후 2018년에 약간 감소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2015년부터 2018년 사이에는 수입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매출 성장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다만, 2018년 이후에는 수입이 다소 감소하는 추세로 변화하였다.
- 총 자산
- 총 자산은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5년부터 2017년까지의 기간 동안 자산 규모는 꾸준히 확대되었으며, 2018년에 최고치를 기록하였다. 이후 2019년에는 약간 감소하는 모습을 보여 자산 규모의 정체 또는 소폭 축소 가능성이 관찰된다. 이러한 자산 증감은 기업의 성장 또는 재무관리 전략에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 이 비율은 회사가 자산을 활용하여 어느 정도의 수익을 창출하는지를 나타내며,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상승하는 흐름을 보여 38.28%로 정점을 찍었다. 이후 2018년과 2019년에는 각각 33.11%, 30.61%로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 수익률이 다소 약화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는 자산의 효율적 사용이 일부 감소했거나, 시장 환경의 변화 등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도구 및 가정용 제품
2019. 9. 30. | 2018. 9. 30. | 2017. 9. 30. | 2016. 9. 30. | 2015. 9. 30. | 2014. 9. 30.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수입 | ||||||
총 자산 |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9-09-30), 10-K (보고 날짜: 2018-09-30), 10-K (보고 날짜: 2017-09-30), 10-K (보고 날짜: 2016-09-30), 10-K (보고 날짜: 2015-09-30), 10-K (보고 날짜: 2014-09-30).
1 2019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 100 × 수입 ÷ 총 자산
= 100 × ÷ =
- 수입
- 2015년 이후 수입은 약 364백만 달러에서 2018년까지 꾸준히 소폭 증가하여 388백만 달러에 달했습니다. 그러나 2019년에는 약간의 증가세를 보여 380백만 달러에서 388백만 달러로 소폭 상승하였으며, 전체적으로 안정된 매출 흐름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 추세는 비교적 안정적이거나 시장 점유율이 유지되고 있음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 총 자산
- 총 자산은 2015년 약 817백만 달러에서 2016년 소폭 감소하여 809백만 달러를 기록했고, 2017년 830백만 달러로 소폭 회복된 후, 2018년에는 큰 폭으로 상승하여 1,560백만 달러를 기록하였습니다. 하지만 2019년에는 다시 1,462백만 달러로 감소하는 등 변동이 나타났습니다. 2018년의 급증은 특정 자산의 대규모 증가 또는 투자 활동으로 인해 일어난 것으로 보이며, 이후 조정을 거쳐 다소 줄어든 것으로 해석됩니다.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 이 비율은 2015년 44.55%에서 2016년 47.47%로 상승하며 기업의 부문 자산 효율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납니다. 이후 2017년에는 다소 하락하여 46.14%를 기록했으며, 2018년과 2019년에는 각각 24.36%와 26.54%로 상당히 낮아졌습니다. 특히 2018년의 급락은 해당 기간 동안 부문 자산의 수익성이 큰 폭으로 저하되었음을 의미하며, 2019년에는 부분 회복이 있었지만 이전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는 상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부문별 운영 효율성 또는 자산의 수익 창출 능력에 일시적 또는 구조적 변화가 있었음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2019. 9. 30. | 2018. 9. 30. | 2017. 9. 30. | 2016. 9. 30. | 2015. 9. 30. | 2014. 9. 30. | |
---|---|---|---|---|---|---|
자동화 솔루션 | ||||||
기후 기술 | ||||||
도구 & 가정용품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9-09-30), 10-K (보고 날짜: 2018-09-30), 10-K (보고 날짜: 2017-09-30), 10-K (보고 날짜: 2016-09-30), 10-K (보고 날짜: 2015-09-30), 10-K (보고 날짜: 2014-09-30).
- 자동화 솔루션 세그먼트 자산 회전율
- 2015년 이후 이 세그먼트의 자산 회전율은 1.15로 시작하여 2016년에는 다소 하락하여 1.02를 기록하였다. 이후 2017년에는 0.75로 크게 감소하였으며, 2018년과 2019년에는 각각 0.83과 0.87로 일부 회복하는 추세를 보였다. 전반적으로, 이 세그먼트의 자산 활용 효율성은 2016년 이후 감소세를 보여 이후 일부 반등하였으나, 2014년 데이터를 반영하지 않아 구체적인 전체 추세는 제한적이다.
- 기후 기술 세그먼트 자산 회전율
- 이 세그먼트는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안정적인 수준을 보여주며, 1.63에서 1.49로 소폭 하락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2017년 이후 약간의 변동이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높은 자산 회전율을 유지하고 있어, 자산 활용이 비교적 효율적임을 시사한다.
- 도구 및 가정용품 세그먼트 자산 회전율
- 이 세그먼트는 2015년부터 2018년까지 거의 2에 가까운 상당히 높은 자산 회전율을 기록하였다. 그러나 2018년에는 급격히 0.98로 하락하였으며, 2019년에는 1.27로 일부 회복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변화는 해당 세그먼트의 자산 활용 효율성에 일시적인 변동이 있었음을 나타내며, 2018년의 큰 폭 하락은 주목할 만한 변화로 해석될 수 있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자동화 솔루션
2019. 9. 30. | 2018. 9. 30. | 2017. 9. 30. | 2016. 9. 30. | 2015. 9. 30. | 2014. 9. 30.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영업 | ||||||
총 자산 | ||||||
보고 대상 세그먼트 활동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9-09-30), 10-K (보고 날짜: 2018-09-30), 10-K (보고 날짜: 2017-09-30), 10-K (보고 날짜: 2016-09-30), 10-K (보고 날짜: 2015-09-30), 10-K (보고 날짜: 2014-09-30).
1 2019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 영업 ÷ 총 자산
= ÷ =
- 영업 수익
- 2015년 이후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며 2014년 이후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2014년 데이터가 제공되지 않아 비교는 제한적이지만,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연평균 성장률이 양호한 수준임이 드러난다. 2018년의 영업 수익은 약 12,202백만 달러로 정점을 기록하였으며, 이 이후 잠시 정체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로써 회사는 안정적인 매출 증대를 경험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 총 자산
- 2015년 이후 안정적인 증가세를 보여왔으며, 2016년 8,759백만 달러에서 2018년 13,720백만 달러로 규모가 커졌다. 특히 2016년 이후 크게 늘어난 총 자산은 회사의 자산 규모 확장과 자본 축적을 반영한다. 2019년에는 약 13,996백만 달러로 소폭 증가하여, 회사가 자산 규모를 유지하거나 조금 더 늘려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 2015년 1.02에서 2016년 0.75로 하락하여 효율성이 일시적으로 낮아졌지만, 이후 2017년 0.83, 2018년 0.87로 점차 회복되고 있다. 이 비율은 자산 대비 매출을 측정하는 지표로, 낮아질 때는 자산 효율성이 하락했음을 의미하며, 회복세는 자산 활용도가 다시 개선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기후 기술
2019. 9. 30. | 2018. 9. 30. | 2017. 9. 30. | 2016. 9. 30. | 2015. 9. 30. | 2014. 9. 30.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영업 | ||||||
총 자산 | ||||||
보고 대상 세그먼트 활동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9-09-30), 10-K (보고 날짜: 2018-09-30), 10-K (보고 날짜: 2017-09-30), 10-K (보고 날짜: 2016-09-30), 10-K (보고 날짜: 2015-09-30), 10-K (보고 날짜: 2014-09-30).
1 2019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 영업 ÷ 총 자산
= ÷ =
- 영업(Operating Income)
-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영업이익은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14년까지는 데이터가 제공되지 않습니다. 특히 2017년과 2018년에 각각 4,212백만 달러와 4,313백만 달러로 최고치를 기록하였으며, 2019년에는 약간 감소하여 4,354백만 달러를 기록하였습니다. 이러한 패턴은 안정적인 영업수익의 성장세를 시사하며, 회사의 영업활동이 지속적으로 강한 흐름을 유지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 총 자산(Total Assets)
- 2015년 이후 총 자산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 왔으며, 2018년에는 2,936백만 달러로 정점에 달했습니다. 이후 2019년에는 약간 감소하여 2,885백만 달러를 기록하였으나, 전반적으로 자산 규모의 성장세는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회사의 자산 포트폴리오가 점차 확장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Asset Turnover Ratio of Reported Segment)
- 이 비율은 2015년 1.58에서 2018년 1.52로 소폭 감소했으며, 2019년에는 1.49로 계속 하락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이 패턴은 회사의 자산 활용 효율이 점차 낮아지고 있음을 시사하며, 자산 규모의 증가에 비례하여 수익 창출 능력이 일부 둔화되고 있을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여전히 안정적인 수준 범위 내에 있으며, 이 수치는 회사의 자산 투입 대비 수익 성과를 평가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작용합니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도구 및 가정용 제품
2019. 9. 30. | 2018. 9. 30. | 2017. 9. 30. | 2016. 9. 30. | 2015. 9. 30. | 2014. 9. 30.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영업 | ||||||
총 자산 | ||||||
보고 대상 세그먼트 활동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9-09-30), 10-K (보고 날짜: 2018-09-30), 10-K (보고 날짜: 2017-09-30), 10-K (보고 날짜: 2016-09-30), 10-K (보고 날짜: 2015-09-30), 10-K (보고 날짜: 2014-09-30).
1 2019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 영업 ÷ 총 자산
= ÷ =
- 영업(매출)
- 2014년부터 2018년까지 매출이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15년과 2016년에는 1,611백만 달러와 1,645백만 달러로 비교적 안정된 수준을 유지했으며, 2017년과 2018년에는 각각 1,528백만 달러와 1,856백만 달러로 이후로 매출이 증가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특히 2018년에 눈에 띄게 매출이 증가하여 연평균 성장세가 강화된 것으로 해석됩니다.
- 총 자산
- 총 자산은 2015년부터 2018년까지 대체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2015년 817백만 달러에서 2018년 1,560백만 달러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상승하였으며, 2019년에는 1,462백만 달러로 소폭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기업의 자산 규모가 전반적으로 확대되어 온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자산 증가는 사업 확장 또는 자산 구조의 변화에 기인할 수 있습니다.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 이 비율은 2015년과 2016년 각각 1.99와 1.98로 거의 동일하며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습니다. 그러나 2017년에는 급격히 0.98로 급락하였고, 2018년에는 1.27로 회복된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 비율의 급변은 부문 자산의 활용 효율성에 일시적인 변화가 있었음을 시사하며, 특히 2017년의 큰 하락은 자산 활용의 비교적 낮은 효율 또는 일부 사업 부문에서의 일시적 문제를 반영할 수 있습니다. 이후 회복은 자산활용의 개선 또는 운영 효율성의 일부 회복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2019. 9. 30. | 2018. 9. 30. | 2017. 9. 30. | 2016. 9. 30. | 2015. 9. 30. | 2014. 9. 30. | |
---|---|---|---|---|---|---|
자동화 솔루션 | ||||||
기후 기술 | ||||||
도구 & 가정용품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9-09-30), 10-K (보고 날짜: 2018-09-30), 10-K (보고 날짜: 2017-09-30), 10-K (보고 날짜: 2016-09-30), 10-K (보고 날짜: 2015-09-30), 10-K (보고 날짜: 2014-09-30).
- 감가상각 비율에 대한 보고 가능한 부문 자본 지출의 변화
-
2015년 이후 데이터가 시작되면서, 세 부문 모두에서 감가상각 비율이 관찰됩니다. 자동화 솔루션 부문은 0.96에서 점차 하락하여 2019년 0.56으로 낮아졌으며, 이는 해당 부문의 자본 지출과 관련된 감가상각 비용이 상대적으로 감소하거나 감가상각 방법의 변화가 있었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반면에, 기후 기술 부문은 1.03에서 시작하여 꾸준히 증가하여 2019년 1.26에 달했고, 이는 자본 지출과 감가상각 비용이 상대적으로 늘었음을 보여줍니다. 이 부문의 모멘텀이 강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기술적 투자 확대와 관련된 것이거나 시장 확장 전략이 반영된 것일 수 있습니다.
도구 & 가정용품 부문은 2015년 1.1에서 2017년까지 안정적이었으나, 2018년에는 1.45로 급증한 후 2019년에 0.83으로 하락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이 변화는 자본 지출 또는 감가상각 정책의 일시적 변화 또는 회계처리상의 조정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일관되지 않은 추세를 보여줍니다.
전반적으로 부문별 감가상각 비율은 차별적이게 변화하고 있으며, 이는 각 부문의 자본 투자 전략 또는 감가상각 정책 변화의 반영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자동화 솔루션
2019. 9. 30. | 2018. 9. 30. | 2017. 9. 30. | 2016. 9. 30. | 2015. 9. 30. | 2014. 9. 30.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자본 지출 | ||||||
감가상각 및 상각 | ||||||
보고 대상 부문 재무 비율 |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9-09-30), 10-K (보고 날짜: 2018-09-30), 10-K (보고 날짜: 2017-09-30), 10-K (보고 날짜: 2016-09-30), 10-K (보고 날짜: 2015-09-30), 10-K (보고 날짜: 2014-09-30).
1 2019 계산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자본 지출 ÷ 감가상각 및 상각
= ÷ =
- 자본 지출 추세
- 2014년에는 데이터가 누락되어 있으며, 이후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자본 지출은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는 모습입니다. 2015년 298백만 달러에서 2016년 246백만 달러로 다소 감소하였으나, 2017년 234백만 달러로 다소 낮아진 후 2018년과 2019년 각각 295백만 달러, 297백만 달러로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전체적으로 볼 때, 대체로 안정적인 자본 지출 수준을 유지하면서 일부 연도에 약간의 변동성을 보여줍니다.
- 감가상각 및 상각 추세
-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은 2015년 311백만 달러에서 점차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며, 2016년 330백만 달러, 2017년 400백만 달러, 2018년 507백만 달러, 2019년 535백만 달러로 지속적으로 상승하였습니다. 이는 기업의 자산이 누적 감가상각 비용과 함께 점차 증가하거나, 감가상각 방법 또는 정책의 변경 가능성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감가상각 비용의 상승은 자산의 노후화 또는 기업 내 자산 규모의 증대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이 비율은 2015년 0.96에서 시작하여 2016년 0.75로 다소 감소한 이후, 2017년 0.59, 2018년 0.58, 2019년 0.56으로 점차 낮아지고 있습니다. 이는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에 비해 자본 지출 비중이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의미합니다. 이와 같은 변화는 기업이 자본 지출에 대해 비용 감가상각이 차지하는 비중을 줄이기 위한 전략적 조정을 반영하거나, 자본 지출 규모가 상대적으로 낮아졌거나 자산의 감가상각 속도가 가속화되고 있음을 암시할 수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기업이 감가상각 비용 대비 자본 지출 비중을 축소하는 방향성을 갖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기후 기술
2019. 9. 30. | 2018. 9. 30. | 2017. 9. 30. | 2016. 9. 30. | 2015. 9. 30. | 2014. 9. 30.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자본 지출 | ||||||
감가상각 및 상각 | ||||||
보고 대상 부문 재무 비율 |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9-09-30), 10-K (보고 날짜: 2018-09-30), 10-K (보고 날짜: 2017-09-30), 10-K (보고 날짜: 2016-09-30), 10-K (보고 날짜: 2015-09-30), 10-K (보고 날짜: 2014-09-30).
1 2019 계산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자본 지출 ÷ 감가상각 및 상각
= ÷ =
- 자본 지출
- 2014년은 데이터가 제공되지 않으며, 2015년 이후 점진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5년 154백만 달러에서 2018년 209백만 달러로 약 36% 상승하였으며, 2019년에는 222백만 달러로 지속적인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회사가 설비 투자 또는 성장 촉진을 위해 자본 지출을 확대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 감가상각 및 상각
- 감가상각 및 상각은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2015년 149백만 달러에서 2019년 176백만 달러까지 약 18% 증가하였으며, 이는 자본 지출 증가에 따른 자산 감가상각 증가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자본적 지출이 늘어남에 따라 감가상각 비용도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된다.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이 비율은 2015년 1.03에서 시작하여, 2016년 0.89로 다소 하락한 후 2017년 이후 다시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2017년부터 2019년까지 1.17, 1.22, 1.26으로 증가하는 패턴은 자본 지출이 감가상각비에 비해 빠르게 늘어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회사가 자본 투자에 적극적으로 배분하고 있으며, 미래 성장 기대를 반영하는 전략적 투자임을 보여준다.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도구 및 가정용 제품
2019. 9. 30. | 2018. 9. 30. | 2017. 9. 30. | 2016. 9. 30. | 2015. 9. 30. | 2014. 9. 30.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자본 지출 | ||||||
감가상각 및 상각 | ||||||
보고 대상 부문 재무 비율 |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9-09-30), 10-K (보고 날짜: 2018-09-30), 10-K (보고 날짜: 2017-09-30), 10-K (보고 날짜: 2016-09-30), 10-K (보고 날짜: 2015-09-30), 10-K (보고 날짜: 2014-09-30).
1 2019 계산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자본 지출 ÷ 감가상각 및 상각
= ÷ =
- 자본 지출
-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자본 지출은 전반적으로 안정된 수준을 유지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2018년 이후 소폭 증가하는 추세를 볼 수 있습니다. 특히 2018년에는 64백만 달러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으며, 이후 2019년에는 59백만 달러로 약간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에 머물러 있습니다.
- 감가상각 및 상각
-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은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안정적인 범위 내에서 움직였으며, 2019년 크게 증가하여 71백만 달러에 이르렀습니다. 이는 고정자산의 감가상각이 증가하거나, 자산의 대규모 처분 또는 재평가가 있었음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2016년과 2017년에는 44~45백만 달러 범위 내로 비교적 안정적이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이 비율은 전반적으로 변동성이 존재하며, 2015년에는 1.1로 비교적 높은 수준을 유지하다가 2016년과 2017년에는 1로 안정된 모습을 보였습니다. 2018년에는 1.45로 크게 상승하였으며, 이는 감가상각에 비해 자본 지출이 상대적으로 증가한 것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이후 2019년에는 0.83으로 하락하여 감가상각비에 비해 자본 지출이 더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습니다.
영업
2019. 9. 30. | 2018. 9. 30. | 2017. 9. 30. | 2016. 9. 30. | 2015. 9. 30. | 2014. 9. 30. | |
---|---|---|---|---|---|---|
자동화 솔루션 | ||||||
기후 기술 | ||||||
도구 & 가정용품 | ||||||
상업 & 주거용 솔루션 | ||||||
법인 및 기타 | ||||||
제거/관심 | ||||||
합계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9-09-30), 10-K (보고 날짜: 2018-09-30), 10-K (보고 날짜: 2017-09-30), 10-K (보고 날짜: 2016-09-30), 10-K (보고 날짜: 2015-09-30), 10-K (보고 날짜: 2014-09-30).
- 매출액 추이
- 2014년부터 2019년까지의 기간 동안 각 사업 부문의 매출액은 대체로 성장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전체 매출액(합계)은 꾸준한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2014년에는 데이터가 누락되어 있지만, 2015년 이후부터 매년 상승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 특히 2017년 이후 매출액이 크게 증가하며, 2018년과 2019년의 성장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 사업 부문별 성과
-
자동화 솔루션 부문은 2015년 이후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2018년과 2019년에 각각 12,241백만 달러와 12,202백만 달러로 정점을 기록하였다. 반면, 기후 기술 부문은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약 3,944~4,454백만 달러)으로 유지되었으며, 2018년 이후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도구 및 가정용품 부문은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일정 범위 내에서 변동이 있었으며, 2019년에 1,856백만 달러로 소폭 증가하였다. 상업 & 주거용 솔루션 부문 역시 꾸준한 성장으로 2019년 6,169백만 달러에 달하였다.
법인 및 기타 부문은 2015년 이후 일부 데이터만 제공되어 전체적인 추세를 파악하기 어렵다. 제거/관심 항목은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손실(음수)이 지속되었으나, 2019년에는 1백만 달러로 회복되었다.
- 전체 매출액 및 성장 패턴
- 전체적인 매출액은 2016년 이후 꾸준한 증가를 보여주며, 2017년과 2018년에 각각 17,408백만 달러와 18,372백만 달러를 기록하며 최고치를 경신하였다. 이러한 성장세는 주로 자동화 솔루션 부문에서 주도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바탕으로 회사는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과 수요 증가에 힘입어 성장하는 추세를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수입
2019. 9. 30. | 2018. 9. 30. | 2017. 9. 30. | 2016. 9. 30. | 2015. 9. 30. | 2014. 9. 30. | |
---|---|---|---|---|---|---|
자동화 솔루션 | ||||||
기후 기술 | ||||||
도구 & 가정용품 | ||||||
상업 & 주거용 솔루션 | ||||||
법인 및 기타 | ||||||
제거/관심 | ||||||
합계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9-09-30), 10-K (보고 날짜: 2018-09-30), 10-K (보고 날짜: 2017-09-30), 10-K (보고 날짜: 2016-09-30), 10-K (보고 날짜: 2015-09-30), 10-K (보고 날짜: 2014-09-30).
- 수입의 추세
-
2014년 데이터를 제외하고 분석할 경우, 전체 수입은 2015년 이후 2019년까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2015년의 총 수입은 3,807백만 달러로 시작되었으며, 이후 지속적인 성장을 통해 2018년 2,667백만 달러에서 2019년 2,859백만 달러로 상승하였다.
세부 항목별로 살펴보면, "자동화 솔루션"의 수입은 2015년 이후 꾸준히 상승하여 2019년 약 1,947백만 달러에 달하였다. 이는 회사의 핵심 사업 분야에서 강한 성장세를 나타내며, 관련 시장에서의 경쟁력과 수요 증대를 시사한다. "기후 기술" 부문 역시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했으며, 2019년 883백만 달러에 달하였다.
"도구 & 가정용품" 부문은 비교적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며 약간의 증가를 보여주고 있으며, 2019년 388백만 달러를 기록했다. 반면, "상업 & 주거용 솔루션"은 2015년 이후 약간의 변동이 있으나 대체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며 2019년에 1,271백만 달러를 기록하였다.
반면, "법인 및 기타" 부문은 2015년 이후 일부 급락을 보여주었으며, 2016년부터적(-238백만 달러)과 그 이후 계속해서 적자를 기록하였다. 이는 회사의 일부 사업 또는 기타 수익원이 부진하거나 손실을 기록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제거/관심" 항목 역시 상당한 변동을 보이며, 전반적으로 수입이 적거나 마이너스 상태를 지속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보면, 회사는 핵심 제품군인 자동화 솔루션 및 기후 기술 부문의 성장으로 인해 수익이 증가하는 반면, 기타 부문에서는 부진 혹은 손실이 지속되고 있어, 전체적인 수익성 및 성장 동력을 어느 정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총 자산
2019. 9. 30. | 2018. 9. 30. | 2017. 9. 30. | 2016. 9. 30. | 2015. 9. 30. | 2014. 9. 30. | |
---|---|---|---|---|---|---|
자동화 솔루션 | ||||||
기후 기술 | ||||||
도구 & 가정용품 | ||||||
상업 & 주거용 솔루션 | ||||||
법인 및 기타 | ||||||
합계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9-09-30), 10-K (보고 날짜: 2018-09-30), 10-K (보고 날짜: 2017-09-30), 10-K (보고 날짜: 2016-09-30), 10-K (보고 날짜: 2015-09-30), 10-K (보고 날짜: 2014-09-30).
- 총 자산의 추세
- 2014년 이후 총 자산은 전반적으로 늘어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2017년 이후에 상당한 증가가 관찰됩니다. 2016년과 2017년 사이에 급격한 증가가 나타나며, 이후 2018년과 2019년에는 다소 안정화된 모습입니다. 이러한 증가는 자산 구조의 확장 또는 재무 전략의 변화로 해석될 수 있으며, 회사가 성장 또는 신사업 투자를 추진했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 각 부문별 자산 변화
- 자동화 솔루션 부문은 2015년 이후 지속적으로 자산이 증가했으며, 2017년 이후에도 상승세를 유지하다 2019년 약간의 정체 또는 소폭 감소가 관찰됩니다. 기후 기술 부문 역시 자산이 꾸준히 증가하여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2017년 이후 2018년까지 큰 폭의 증가가 있었습니다. 도구 및 가정용품 부문은 2017년엔 급증했으나, 2018년 이후에는 감소하는 추세가 나타납니다. 상업 및 주거용 솔루션 부문 역시 지속적으로 성장하였으며, 2018년 최고치를 기록 후 소폭 하락하였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법인 및 기타 부문은 2015년 이후 급격히 하락하다 2017년 이후에도 낮은 수준을 유지하는 모습입니다. 총 자산에서의 비중이 줄었다가 2017년 이후에는 감소폭이 둔화되고 있습니다.
- 전체적인 관찰
- 이 데이터를 통해 볼 때, 여러 부문에서 자산 증대와 축소가 교차하는 가운데, 일부 핵심 부문이 눈에 띄게 성장하는 한편, 일부 부문은 축소 또는 유의미한 감소를 겪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전반적인 자산 성장세는 회사가 전반적 확장 전략 또는 투자를 지속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부문별 변동성도 주목할 만합니다. 이러한 패턴은 회사가 시장 변화나 내부 전략 조정을 반영하여 자산 배분을 조절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감가상각 및 상각
2019. 9. 30. | 2018. 9. 30. | 2017. 9. 30. | 2016. 9. 30. | 2015. 9. 30. | 2014. 9. 30. | |
---|---|---|---|---|---|---|
자동화 솔루션 | ||||||
기후 기술 | ||||||
도구 & 가정용품 | ||||||
상업 & 주거용 솔루션 | ||||||
법인 및 기타 | ||||||
합계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9-09-30), 10-K (보고 날짜: 2018-09-30), 10-K (보고 날짜: 2017-09-30), 10-K (보고 날짜: 2016-09-30), 10-K (보고 날짜: 2015-09-30), 10-K (보고 날짜: 2014-09-30).
- 감가상각 및 상각 항목의 전체 추세
-
2015년 이후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의 총합은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2018년과 2019년에는 두 자리 수의 증가폭을 기록하였다. 2014년 데이터는 누락되어 있으나, 그 이후로 전체 범위 내에서 안정적이고 점진적인 증대가 나타나고 있다.
개별 사업 부문별로는, "자동화 솔루션" 부문이 가장 큰 비용을 차지하며, 2015년 이후 꾸준히 증가해 2019년에는 535백만 달러에 달하였다. "상업 & 주거용 솔루션" 부문 역시 두드러진 성장세를 나타내며, 2018년과 2019년에는 각각 215백만 달러와 247백만 달러로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기후 기술"과 "도구 & 가정용품" 부문도 각각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지만, 상대적으로 "자동화 솔루션"과 "상업 & 주거용 솔루션" 부문보다 낮은 규모를 유지하고 있다. "법인 및 기타" 부문은 2015년 이후 변동이 크며, 2016년과 2017년의 감가상각 비용이 각각 급감하는 모습을 보여주는데, 이후 다시 소폭 회복하는 양상을 띠고 있다.
전반적으로, 감가상각 비용이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것은 자산 규모가 확장되거나, 설비 투자 또는 신규 자산의 도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음을 시사할 수 있으며, 이는 기업의 성장 또는 자본 투자의 증가와 연관이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자본 지출
2019. 9. 30. | 2018. 9. 30. | 2017. 9. 30. | 2016. 9. 30. | 2015. 9. 30. | 2014. 9. 30. | |
---|---|---|---|---|---|---|
자동화 솔루션 | ||||||
기후 기술 | ||||||
도구 & 가정용품 | ||||||
상업 & 주거용 솔루션 | ||||||
법인 및 기타 | ||||||
합계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9-09-30), 10-K (보고 날짜: 2018-09-30), 10-K (보고 날짜: 2017-09-30), 10-K (보고 날짜: 2016-09-30), 10-K (보고 날짜: 2015-09-30), 10-K (보고 날짜: 2014-09-30).
- 전반적인 자본 지출 패턴
- 2014년 데이터가 누락된 것으로 보이나, 2015년부터 2019년까지는 다양한 부문별 자본 지출이 꾸준히 기록되고 있다. 전체 자본 지출의 총합은 2015년 588백만 달러에서 2019년 594백만 달러로 약간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며, 일정 수준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회사가 전략적 투자 및 성장 기반 확보를 위해 지속적인 자본 지출을 수행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 주요 부문별 자본 지출 추이
- 자동화 솔루션 부문의 자본 지출은 2015년 이후 2019년까지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거나 약간의 변동을 보이고 있으며, 2019년에는 297백만 달러로 최고치를 기록하였다. 기후 기술 부문은 꾸준한 증가세를 보여 2015년 154백만 달러에서 2019년 222백만 달러에 이르렀으며, 이는 관련 시장의 수요 증가 또는 기술 개발에 대한 전략적 투자 강화의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 도구 및 가정용품 부문
- 이 부문의 자본 지출은 2015년 46백만 달러에서 2018년 64백만 달러로 증가했으며, 2019년에는 다소 감소하여 59백만 달러로 나타났다. 이는 시장 수요 또는 내부 투자 전략의 변화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 상업 및 주거용 솔루션 부문
- 이 부문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2019년에는 281백만 달러로 최고치를 기록하였다. 2015년 이후 2019년까지 연평균 성장률이 높아, 부동산 또는 건설 관련 수요가 긍정적인 흐름을 이어가고 있음을 시사한다.
- 법인 및 기타 부문
- 이 부문은 변동성이 있는데, 2015년 90백만 달러에서 2016년 24백만 달러로 급감하고 이후 다시 소폭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2019년에는 16백만 달러로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 부문의 투자 규모는 다른 부문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다.
- 전체적 관점
- 전반적으로, 자본 지출 규모는 전년 대비 큰 폭의 변화 없이 유지되거나 약간의 증가를 보이고 있어, 회사가 지속적으로 설비 및 인프라 개발에 관심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기후 기술과 상업 및 주거 솔루션 부문의 성장세는 해당 부문들이 회사 성장 전략의 핵심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투자 기반 확보를 위해 여러 부문에 고르게 자본을 분산하는 전략이 유지되고 있음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