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P Inc. 는 3 개 부문으로 운영됩니다 : 개인 시스템; 인쇄; 및 기업 투자.
유료 사용자를 위한 영역
무료 체험하기
이번 주에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HP Inc. 페이지:
데이터는 뒤에 숨겨져 있습니다.
이것은 일회성 지불입니다. 자동 갱신은 없습니다.
우리는 받아 들인다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2018. 10. 31. | 2017. 10. 31. | 2016. 10. 31. | 2015. 10. 31. | 2014. 10. 31. | 2013. 10. 31. | |
---|---|---|---|---|---|---|
개인용 시스템 | ||||||
인쇄 | ||||||
기업 투자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8-10-31), 10-K (보고 날짜: 2017-10-31), 10-K (보고 날짜: 2016-10-31), 10-K (보고 날짜: 2015-10-31), 10-K (보고 날짜: 2014-10-31), 10-K (보고 날짜: 2013-10-31).
- 개인용 시스템⸺보고 가능한 부문 이익률 비율
- 이 항목은 2013년 2.96%에서 2014년 3.7%로 증가하며 수익성이 개선된 것을 보여줍니다. 이후에는 다소 변동이 있으나 전반적으로 3% 내외의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며, 2018년에는 3.75%로 조금 상승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추세는 개인용 시스템 부문이 일정한 수익성을 유지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 인쇄⸺보고 가능한 부문 이익률 비율
- 이 부문은 2013년 16.31%, 2014년 18.21%로 상승하며 수익성 개선을 보여주었습니다. 그 후에는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2018년에는 15.97%로 예전 수준보다 낮아졌습니다. 전반적으로는 높은 수익률 수준을 유지했으나, 최근에는 수익률이 약간 축소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 기업 투자⸺보고 가능한 부문 이익률 비율
- 이 항목은 크게 음의 값으로 나타나며, –983.33%에서 시작하여 2014년에는 –65.89%로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그러나 이후에는 다시 급격히 음의 값을 기록하며(-2092.59%, -1400%, -1087.5%, -1640%) 매우 낮은(심지어 음의 값이기 때문에 손실이 난 상태를 의미) 수익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패턴은 해당 부문의 수익성을 유지하기 어려운 구조를 반영하며, 지속적인 손실이 발생했음을 시사합니다.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퍼스널 시스템
2018. 10. 31. | 2017. 10. 31. | 2016. 10. 31. | 2015. 10. 31. | 2014. 10. 31. | 2013. 10.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영업이익 | ||||||
순수익 |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8-10-31), 10-K (보고 날짜: 2017-10-31), 10-K (보고 날짜: 2016-10-31), 10-K (보고 날짜: 2015-10-31), 10-K (보고 날짜: 2014-10-31), 10-K (보고 날짜: 2013-10-31).
1 2018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100 × 영업이익 ÷ 순수익
= 100 × ÷ =
- 영업이익의 추세와 분석
-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영업이익은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2013년 949백만 달러에서 2018년 1,411백만 달러로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약 48.7%의 성장을 의미하며, 기간 동안 영업이익이 꾸준히 향상된 것으로 나타납니다. 중장기적으로 기업은 영업 활동에서의 수익성을 개선하는 데 성공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순수익의 변화와 평가
- 순수익 역시 안정적인 증가 추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2013년 32,071백만 달러에서 2018년 37,661백만 달러로 증가하였습니다. 특히 2014년에 34,303백만 달러로 정점을 찍은 후 약간의 하락세를 보였으나, 이후 다시 상승하는 양상을 띠고 있습니다. 이는 기업이 전반적인 수익 창출 능력을 향상시켜 왔음을 시사합니다.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의 분석
- 이익률은 약간의 변동을 보이면서도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2013년 2.96%에서 2018년 3.75%로 소폭 상승하는 추세를 나타내며, 평균적으로 3% 내외의 지속 가능한 이익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수치는 기업이 효율적 운영과 수익성 확보에 주력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인쇄
2018. 10. 31. | 2017. 10. 31. | 2016. 10. 31. | 2015. 10. 31. | 2014. 10. 31. | 2013. 10.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영업이익 | ||||||
순수익 |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8-10-31), 10-K (보고 날짜: 2017-10-31), 10-K (보고 날짜: 2016-10-31), 10-K (보고 날짜: 2015-10-31), 10-K (보고 날짜: 2014-10-31), 10-K (보고 날짜: 2013-10-31).
1 2018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100 × 영업이익 ÷ 순수익
= 100 × ÷ =
- 영업이익 동향
- 2013년부터 2018년까지의 기간 동안, 영업이익은 대체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면서도 변동을 보이고 있다. 2013년과 2014년에는 각각 3,890백만 달러와 4,185백만 달러로 최고치를 기록하였으며, 이후 2015년에는 약 3,865백만 달러로 소폭 감소하였다. 2016년에는 급격히 하락하여 3,128백만 달러를 기록하였고, 이후 2017년에는 다시 소폭 회복되어 3,161백만 달러를 나타내었다. 2018년에는 3,323백만 달러로 이전보다 약간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추세는 영업이익의 전반적인 안정성을 보여주면서도, 일시적인 감소와 회복이 반복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 순수익 동향
- 순수익은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전반적인 하락 후 회복세를 보여주고 있다. 2013년에는 23,854백만 달러로 높은 수준이었으며, 2014년과 2015년에는 각각 22,979백만 달러와 21,232백만 달러로 낮아졌다. 이후 2016년에는 18,260백만 달러로 더 감소하였고, 2017년에는 다시 18,801백만 달러로 소폭 증가하였다. 2018년에는 20,805백만 달러에 이르러 초기 수준을 회복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변화는 매출 혹은 비용 구조의 변동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기업이 다양한 환경 변화에 적응하며 수익성을 재조정하는 과정임을 시사한다.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이익률은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일정 범위 내에서 변화하였다. 2013년 16.31%에서 시작하여 2014년에는 18.21%로 상승했으며, 2015년에도 18.2%를 기록하여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였다. 이후 2016년에는 17.13%로 다소 하락하였고, 2017년과 2018년에는 각각 16.81%와 15.97%로 다시 낮아지면서 하락세가 지속되었다. 이는 수익성 측면에서 일부 압박이 가해지고 있음을 시사하며, 수익률의 감소는 비용 압박이나 경쟁 심화, 혹은 가격 전략 변화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전체적으로 보면, 이익률은 높은 수준을 유지하지 못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수익성의 개선 또는 안정화를 위한 전략적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기업투자
2018. 10. 31. | 2017. 10. 31. | 2016. 10. 31. | 2015. 10. 31. | 2014. 10. 31. | 2013. 10.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영업이익 | ||||||
순수익 |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8-10-31), 10-K (보고 날짜: 2017-10-31), 10-K (보고 날짜: 2016-10-31), 10-K (보고 날짜: 2015-10-31), 10-K (보고 날짜: 2014-10-31), 10-K (보고 날짜: 2013-10-31).
1 2018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100 × 영업이익 ÷ 순수익
= 100 × ÷ =
- 영업이익
- 2013년부터 2018년까지의 기간 동안 영업이익은 일반적으로 적자를 기록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특히 2015년에는 큰 폭의 적자를 나타내며 -565백만 달러로 급증하였다. 이후 2016년과 2017년에는 각각 -98백만 달러와 -87백만 달러로 일부 개선되었으나, 여전히 적자를 지속하고 있다. 2018년에도 적자는 유지되었으며, 전반적으로 지속적인 적자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
- 순수익
- 순수익은 2013년 24백만 달러로 시작하여 2014년에는 크게 상승하여 302백만 달러로 전환되었다. 그러나 이후 2015년 27백만 달러, 2016년 7백만 달러, 2017년 8백만 달러, 2018년 5백만 달러에 이르기까지 크게 변동하며 지속적인 수익성을 유지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수익성의 불안정성과 관련된 내부 또는 외부 요인들의 영향을 시사한다.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이 부문 이익률은 매우 낮거나 손실 상태를 나타내며, 연평균으로 상당히 높은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2013년에는 -983.33%를 기록하여, 손실이 수익을 훨씬 초과하는 심각한 손실 상태였음을 보여준다. 이후 2014년의 -65.89%, 2015년 -2092.59%, 2016년 -1400%, 2017년 -1087.5%, 2018년 -1640%로 해석할 수 있는데, 이는 비효율적 운용, 높은 비용, 또는 구조적 문제를 반영하는 지표일 가능성이 높다. 전반적으로 이 지표는 회사의 수익성 확보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음을 나타낸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2018. 10. 31. | 2017. 10. 31. | 2016. 10. 31. | 2015. 10. 31. | 2014. 10. 31. | 2013. 10. 31. | |
---|---|---|---|---|---|---|
개인용 시스템 | ||||||
인쇄 | ||||||
기업 투자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8-10-31), 10-K (보고 날짜: 2017-10-31), 10-K (보고 날짜: 2016-10-31), 10-K (보고 날짜: 2015-10-31), 10-K (보고 날짜: 2014-10-31), 10-K (보고 날짜: 2013-10-31).
- 개인용 시스템⸺보고 가능한 세그먼트 자산 수익률
- 2013년부터 2018년까지의 데이터를 살펴보면, 이 부문의 자산 수익률은 전체적으로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2013년에 7.99%로 시작하여 2015년 11.16%로 정점에 달한 후, 이후 약간의 하락이 있었지만 2018년까지 10.49%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개인용 시스템의 자산 효율성이 지속적으로 개선되거나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 인쇄⸺보고 가능한 세그먼트 자산 수익률
- 이 부문은 2013년 36.34%의 자산 수익률로 시작한 이후 점진적으로 상승하여 2015년 42.97%까지 도달하였다. 하지만 이후에는 하락세를 보여 2018년 24.24%로 낮아졌다. 이러한 변화는 인쇄 세그먼트의 자산 효율성이 초기에는 향상되었지만, 이후 시장 환경 변화 또는 경쟁 심화로 인해 수익률이 약화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 기업 투자⸺보고 가능한 세그먼트 자산 수익률
- 이 부문은 매우 부정적인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다. 2013년에는 -191.87%였으며,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매우 낮거나 큰 폭으로 하락하는 추세를 보였다. 수치가 2016년에 -9800%까지 치솟았으며, 이후 좀 더 낮아졌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훨씬 낮거나 부정적인 수익률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해당 부문의 자산이 매우 낮거나 손실 상태에 있음을 반영하며, 투자 성과가 매우 부진하거나 비효율적임을 시사한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퍼스널 시스템
2018. 10. 31. | 2017. 10. 31. | 2016. 10. 31. | 2015. 10. 31. | 2014. 10. 31. | 2013. 10.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영업이익 | ||||||
자산 |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8-10-31), 10-K (보고 날짜: 2017-10-31), 10-K (보고 날짜: 2016-10-31), 10-K (보고 날짜: 2015-10-31), 10-K (보고 날짜: 2014-10-31), 10-K (보고 날짜: 2013-10-31).
1 2018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 100 × 영업이익 ÷ 자산
= 100 × ÷ =
- 영업이익
-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영업이익은 전반적으로 성장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3년 약 949백만 달러에서 2018년 1,411백만 달러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2014년과 2015년 사이에 상당한 상승세가 나타났다. 이 기간 동안의 성장은 매출 또는 비용 구조의 효율적인 관리와 관련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해당 기간 동안 일시적인 조정이나 경제적 조건의 변화에 따른 변동성도 존재한다.
- 자산
- 자산 규모는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띠고 있다. 2013년 약 11,870백만 달러에서 2018년 13,447백만 달러로 늘어나면서 총자산이 확장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증가는 설비 투자, 운영 자산 증대 또는 인수합병 등 다양한 요소에 기인할 수 있으며, 회사의 성장과 전략적 확장 의도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 이 지표는 2013년 7.99%에서 2015년 11.16%까지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며, 전반적인 수익성 향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후 2016년과 2017년에는 10.76%, 9.98%로 약간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2018년에는 다시 10.49%로 회복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자산 활용 효율성과 관련된 변동성을 시사하며, 영업 이익과 자산 규모에 따른 수익률의 균형을 유지하려는 노력을 보여줄 수 있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인쇄
2018. 10. 31. | 2017. 10. 31. | 2016. 10. 31. | 2015. 10. 31. | 2014. 10. 31. | 2013. 10.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영업이익 | ||||||
자산 |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8-10-31), 10-K (보고 날짜: 2017-10-31), 10-K (보고 날짜: 2016-10-31), 10-K (보고 날짜: 2015-10-31), 10-K (보고 날짜: 2014-10-31), 10-K (보고 날짜: 2013-10-31).
1 2018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 100 × 영업이익 ÷ 자산
= 100 × ÷ =
- 영업이익 추세
- 2013년부터 2015년까지는 영업이익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으며, 2014년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가 이후 약간의 하락세를 보였으나 2015년에 다시 소폭 회복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후 2016년과 2017년에는 각각 감소와 소폭 회복을 거쳤으며, 2018년에는 3,323백만 달러로 전반적인 수준이 유지되었다. 전반적으로 영업이익은 일정한 변동성을 보이나 큰 폭의 변화는 없는 편이다.
- 자산 규모의 변화
- 2013년 10,705백만 달러에 이르던 자산은 2014년 10,063백만 달러로 감소했으며 이후 2015년 8,994백만 달러까지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다. 2016년에는 9,959백만 달러로 일시적 반등이 있었고, 2017년과 2018년에는 각각 10,548백만 달러와 13,706백만 달러로 큰 폭의 증가를 기록하였다. 특히 2018년에는 이전 기간 대비 자산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나, 자산 규모의 확장이 진행된 것으로 분석된다.
- 부문 자산 수익률
- 부문 자산 수익률은 전체 기간 동안 상당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2013년 36.34%에서 2014년 41.59%로 상승하였다. 이후 2015년에는 42.97%로 최고치를 기록하였고, 2016년에는 31.41%로 급감하였다. 2017년과 2018년에는 각각 29.97%, 24.24%로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며, 전체적으로는 하락세로 마무리되고 있다. 이는 자산 증가 성장과 병행하여 수익률이 감소하는 패턴을 나타내어, 자산의 확장과 관련된 수익성의 감소 또는 효율성 저하 가능성을 시사한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기업투자
2018. 10. 31. | 2017. 10. 31. | 2016. 10. 31. | 2015. 10. 31. | 2014. 10. 31. | 2013. 10.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영업이익 | ||||||
자산 |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8-10-31), 10-K (보고 날짜: 2017-10-31), 10-K (보고 날짜: 2016-10-31), 10-K (보고 날짜: 2015-10-31), 10-K (보고 날짜: 2014-10-31), 10-K (보고 날짜: 2013-10-31).
1 2018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 100 × 영업이익 ÷ 자산
= 100 × ÷ =
- 영업이익
-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영업이익은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3년에는 -2억 36만 달러였으며, 이후 일부 시점에서 손실이 확대되어 2015년에는 -5억 65만 달러까지 큰 폭으로 하락하였다. 이후 2016년부터 2018년에 이르기까지 손실 규모는 소폭 축소되는 모습이 관찰되지만, 여전히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이는 영업 활동의 수익성 저하를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자산
- 자산 규모는 2013년 1억 2300만 달러에서 2014년, 2015년에 각각 3400만 달러와 5600만 달러로 감소하다가 이후 2016년부터 2018년까지 1만~5만 달러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전반적으로 자산은 거의 유지되지 않거나 축소되었으며, 장기적으로 기업 자산 포트폴리오의 축소 또는 축소 가능성을 시사한다.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 이 지표는 매우 낮거나 심지어 음수 값을 나타내며, 2013년부터 2018년까지 큰 폭의 변동성을 보이고 있다. 수익률은 행마다 -191.87%에서 시작하여 일정 기간 동안 여러 차례 심각하게 손실을 기록한 후, 2016년부터 2018년에 걸쳐 -9800%와 -2900%, -1640%로 계속 큰 손실을 기록하였다. 이러한 수치는 부문 자산이 매우 낮은 수익성을 가지며, 전체 자산 대비 부문 수익률이 극심하게 부진한 상태임을 보여준다.
전반적으로, 해당 기간 동안 재무 성과는 전반적인 부진을 나타내고 있다. 영업이익의 지속적인 적자, 자산 규모의 축소, 그리고 매우 낮거나 부정적인 부문 자산 수익률은 회사의 수익성 저하와 자산 활용의 어려움을 반영한다. 이러한 데이터는 기업이 수익 창출이나 자산 효율성 측면에서 상당한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2018. 10. 31. | 2017. 10. 31. | 2016. 10. 31. | 2015. 10. 31. | 2014. 10. 31. | 2013. 10. 31. | |
---|---|---|---|---|---|---|
개인용 시스템 | ||||||
인쇄 | ||||||
기업 투자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8-10-31), 10-K (보고 날짜: 2017-10-31), 10-K (보고 날짜: 2016-10-31), 10-K (보고 날짜: 2015-10-31), 10-K (보고 날짜: 2014-10-31), 10-K (보고 날짜: 2013-10-31).
- 개인용 시스템⸺보고 가능한 세그먼트 자산 회전율
- 이 지표는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2013년 이후 약간의 변동을 보이고 있다. 2015년과 2016년 사이에 일시적으로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이후 다시 2017년과 2018년에는 소폭 하락하거나 유지되고 있다. 이러한 변동은 해당 세그먼트의 자산 활용 효율성이 일정 수준 이상을 유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 인쇄⸺보고 가능한 세그먼트 자산 회전율
- 이 항목은 전반적으로 하락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2013년 및 2014년에는 다소 높은 회전율을 기록했으나, 2015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특히 2016년 이후에는 1.83과 1.52로 낮아졌으며, 이는 인쇄 사업 부문의 자산 활용 정도가 점차 낮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 추세는 인쇄 부문이 경쟁력 또는 시장 수요의 변화에 적응하는 것이 어려워질 가능성을 제시한다.
- 기업 투자⸺보고 가능한 세그먼트 자산 회전율
- 이 항목은 매우 변동성이 크며, 2013년과 2014년 사이에 큰 폭의 변화가 관찰된다. 2013년에는 0.2로 매우 낮았으며, 2014년에는 8.88로 급증하였다. 이후 2015년에는 다시 0.48로 낮아지고, 2016년에는 7로 다시 상승하는 등 극단적인 변화가 반복되고 있다. 2017년과 2018년에는 각각 2.67과 1로 낮아졌으며, 이와 같이 큰 폭의 변동은 해당 세그먼트의 자산 효율성이 불안정하거나 일시적인 투자 활동에 의해서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러한 패턴은 투자 활동의 변동성 또는 일시적인 전략 변화와 관련될 수 있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퍼스널 시스템
2018. 10. 31. | 2017. 10. 31. | 2016. 10. 31. | 2015. 10. 31. | 2014. 10. 31. | 2013. 10.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순수익 | ||||||
자산 | ||||||
보고 대상 세그먼트 활동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8-10-31), 10-K (보고 날짜: 2017-10-31), 10-K (보고 날짜: 2016-10-31), 10-K (보고 날짜: 2015-10-31), 10-K (보고 날짜: 2014-10-31), 10-K (보고 날짜: 2013-10-31).
1 2018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 순수익 ÷ 자산
= ÷ =
- 순수익
- 2013년부터 2017년까지의 기간 동안 순수익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13년 32,071백만 달러에서 2017년 33,374백만 달러로 약 4%의 상승을 기록하였다. 2018년에는 37,661백만 달러로 다시 큰 폭으로 증가하여, 전년 대비 약 12.8%의 성장을 나타냈다. 이러한 수익 증가는 기업의 총매출 증대 또는 효율성 향상에 기인했을 가능성이 있다.
- 자산
- 자산 규모는 2013년 11,870백만 달러로 시작하여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2018년에는 13,447백만 달러에 도달하였다. 전체적으로 13% 이상의 성장률을 보여주고 있어, 자산 기반이 안정적으로 확장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자산 증가와 함께 기업이 지속적으로 투자와 확장을 추진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 이 비율은 기업의 자산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매출로 전환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2013년 2.7에서 2015년에는 3.3으로 상승해 효율성이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이후 2016년과 2017년에는 각각 2.81과 2.75로 소폭 조정되었으며, 2018년에는 다시 2.8로 유지되었다. 전반적으로는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며, 자산을 활용한 매출 창출이 대체로 일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인쇄
2018. 10. 31. | 2017. 10. 31. | 2016. 10. 31. | 2015. 10. 31. | 2014. 10. 31. | 2013. 10.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순수익 | ||||||
자산 | ||||||
보고 대상 세그먼트 활동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8-10-31), 10-K (보고 날짜: 2017-10-31), 10-K (보고 날짜: 2016-10-31), 10-K (보고 날짜: 2015-10-31), 10-K (보고 날짜: 2014-10-31), 10-K (보고 날짜: 2013-10-31).
1 2018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 순수익 ÷ 자산
= ÷ =
- 수익(순수익)
-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순수익은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 왔으며, 2013년 23,854백만 달러에서 2015년 21,232백만 달러로 하락하였습니다. 이후 2016년 이후에는 회복세를 보여 2016년 18,260백만 달러, 2017년 18,801백만 달러, 2018년 20,805백만 달러로 증가하는 모습을 나타냈습니다. 이러한 흐름은 일시적 또는 구조적 요인에 따른 수익 변화의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 자산
- 자산은 2013년 10,705백만 달러에서 2018년 13,706백만 달러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이는 회사가 자산 규모를 확장하거나 자산 투자를 늘린 결과일 수 있으며, 재무적 안정성을 위해서는 이와 같은 자산 증대가 수반하는 재무 구조의 변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 이 비율은 2013년 2.23에서 2014년 2.28로 상승하였다가, 2015년 2.36까지 오름세를 유지하였으나, 이후 2016년 1.83, 2017년 1.78, 2018년 1.52로 꾸준히 하락하는 양상을 보였습니다. 이 비율은 자산의 효율적 활용도를 반영하는데, 하락세는 자산 대비 수익 또는 매출 생산성의 저하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영업 효율성 개선의 필요성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기업투자
2018. 10. 31. | 2017. 10. 31. | 2016. 10. 31. | 2015. 10. 31. | 2014. 10. 31. | 2013. 10.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순수익 | ||||||
자산 | ||||||
보고 대상 세그먼트 활동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8-10-31), 10-K (보고 날짜: 2017-10-31), 10-K (보고 날짜: 2016-10-31), 10-K (보고 날짜: 2015-10-31), 10-K (보고 날짜: 2014-10-31), 10-K (보고 날짜: 2013-10-31).
1 2018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 순수익 ÷ 자산
= ÷ =
- 수익성 추세
- 2013년 이후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여 2014년과 2015년에 각각 약 124%와 285%의 눈에 띄는 증감을 기록하였다. 특히 2015년 이후, 수익이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이 관찰되었으며, 2016년과 2017년에는 각각 약 71%와 49%로 감소한 후 2018년에 다시 소폭 회복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변동은 수익의 변동성과 함께 시장 환경 혹은 내부 운영 측면의 변화를 나타낼 가능성이 있다.
- 자산 규모 및 변화
- 초기 2013년 기준의 자산 규모는 약 123백만 달러이었으며, 이후 급격한 변동이 있었다. 2014년에는 큰 폭으로 감소하여 34백만 달러를 기록했고, 이후 2015년에는 다시 약 56백만 달러로 회복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후 실질적 증감은 크지 않지만 2016년 이후 2018년까지 상당히 낮은 자산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치솟음과 하락을 반복하는 패턴이 나타난다. 이는 자산 운용 전략이나 자본 투자 결정이 변동성을 보여줄 가능성을 시사한다.
- 자산 회전율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은 특정 기간 동안 매우 높은 변동성을 보여주고 있다. 2013년에는 0.2에 머물렀으며, 이는 자산이 매출에 비해 낮은 효율성을 나타내었음을 의미한다. 2014년에는 큰 폭으로 8.88로 상승하였지만, 이후 2015년과 2016년에는 각각 0.48과 7로 떨어졌다. 2017년에는 2.67로 낮아지고, 2018년에는 또 다시 1로 수렴되었다. 이러한 패턴은 자산 활용도의 급격한 변화와 잠재적인 운영 효율성 문제를 시사한다. 특히, 2014년에 비해 2018년은 상당히 낮은 회전율을 기록하여, 자산 당 매출 기회 활용이 뒤떨어질 가능성을 고려할 수 있다.
순수익
2018. 10. 31. | 2017. 10. 31. | 2016. 10. 31. | 2015. 10. 31. | 2014. 10. 31. | 2013. 10. 31. | |
---|---|---|---|---|---|---|
개인용 시스템 | ||||||
인쇄 | ||||||
엔터프라이즈 그룹 | ||||||
엔터프라이즈 서비스 | ||||||
소프트웨어 | ||||||
HP 파이낸셜 서비스 | ||||||
기업 투자 | ||||||
합계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8-10-31), 10-K (보고 날짜: 2017-10-31), 10-K (보고 날짜: 2016-10-31), 10-K (보고 날짜: 2015-10-31), 10-K (보고 날짜: 2014-10-31), 10-K (보고 날짜: 2013-10-31).
- 개인용 시스템⸺순수익
- 개인용 시스템 부문의 순수익은 전체 기간 동안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2013년에는 약 32,071백만 달러였으며, 2018년에는 37,661백만 달러로 상승하였다. 이 기간 동안 연평균 성장률은 양호한 수준을 유지하며 지속적인 시장 수요와 제품 경쟁력 강화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2017년 이후에는 연속적인 성장세를 기록하며 수익이 안정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이다.
- 인쇄⸺순수익
- 인쇄 부문은 2013년 약 23,854백만 달러에서 2018년 20,805백만 달러로 변동이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준다. 2014년과 2015년 사이에 약간의 하락이 있었으며, 이후 2016년과 2017년의 수익 역시 부진한 모습을 지속하였다. 이러한 감소는 시장에서 인쇄 솔루션 수요의 약화 또는 경쟁 심화로 인한 영향일 수 있다.
- 엔터프라이즈 그룹⸺순수익
- 엔터프라이즈 그룹은 2013년과 2014년 각각 약 28,183백만 달러와 27,814백만 달러로 안정적인 수익을 유지하다가 2015년에는 약 27,907백만 달러로 크게 변화없이 유지되었다. 이후 데이터가 제공되지 않아 명확한 추세 분석은 한계가 있으나, 이전 수치로 볼 때 큰 변동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 엔터프라이즈 서비스⸺순수익
- 엔터프라이즈 서비스 부문은 2013년 약 23,520백만 달러, 2014년에는 22,398백만 달러로 시작하여 2015년에는 약 19,806백만 달러로 감소하였다. 이 역시 이후 데이터가 누락되어 정확한 추세를 판단하기 어렵지만, 초기 수치에서는 수익 감소가 관찰된다. 시장 변화에 따른 비용 구조 변화 또는 경쟁 심화가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 소프트웨어⸺순수익
- 소프트웨어 부문은 2013년 3,913백만 달러에서 2014년 3,933백만 달러로 정체성을 보여주었으며, 2015년에는 3,458백만 달러로 하락하였다. 데이터가 사라진 이후 추세를 판단하기는 어렵지만, 해당 기간 동안 시장 경쟁이 심화되거나, 내부 전략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 HP 파이낸셜 서비스⸺순수익
- 이 부문은 2013년 3,629백만 달러에서 2014년 3,498백만 달러로 감소세를 보였으며, 이후 2015년 3,216백만 달러로 하락했고, 이후 데이터 부재로 추세를 확정하기 어렵다. 전반적으로 금융 서비스 부문 역시 수익이 감소하는 모습이다.
- 기업 투자⸺순수익
- 기업 투자 부문은 2013년 약 24백만 달러에서 2014년 302백만 달러로 급증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그 후 다시 2015년 27백만 달러, 2016년 7백만 달러, 2017년 8백만 달러, 2018년 5백만 달러로 하락하였다. 이 부문은 변동성이 크고 작은 규모의 투자 활동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이며, 최근에는 상대적으로 수익이 미미한 수준이다.
- 합계⸺순수익
- 전체 부문의 순수익은 2013년과 2014년 각각 약 115,194백만 달러와 115,227백만 달러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였다. 2015년에는 크게 107,115백만 달러로 하락했으며, 이후 2016년의 48,254백만 달러와 2017년 52,183백만 달러를 거쳐 2018년에는 58,471백만 달러로 회복하는 모습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2015년 이후 수익이 반등하며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다. 다만, 2016년의 상당한 하락은 특정 일회성 요인 또는 시장 변화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영업이익
2018. 10. 31. | 2017. 10. 31. | 2016. 10. 31. | 2015. 10. 31. | 2014. 10. 31. | 2013. 10. 31. | |
---|---|---|---|---|---|---|
개인용 시스템 | ||||||
인쇄 | ||||||
엔터프라이즈 그룹 | ||||||
엔터프라이즈 서비스 | ||||||
소프트웨어 | ||||||
HP 파이낸셜 서비스 | ||||||
기업 투자 | ||||||
합계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8-10-31), 10-K (보고 날짜: 2017-10-31), 10-K (보고 날짜: 2016-10-31), 10-K (보고 날짜: 2015-10-31), 10-K (보고 날짜: 2014-10-31), 10-K (보고 날짜: 2013-10-31).
- 전체 영업이익 추이
- 2013년부터 2015년까지는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성장세가 관찰되며, 연간 영업이익은 약 10억 달러 내외로 비교적 유지되었다. 이후 2016년에는 큰 폭의 하락이 발생하였으며, 2017년과 2018년에는 더 낮은 수준에서 일부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2016년에는 약 4,180백만 달러로 급감하였다가, 2018년에는 약 4,652백만 달러로 일부 회복하였다. 이는 전반적인 수익성에 일시적인 하락과 회복이 반복되었음을 시사한다.
- 개인용 시스템 부문
- 이 부문은 2013년 약 949백만 달러에서 2018년 1,411백만 달러로 전반적인 성장을 기록하였다. 특히 2014년 이후 꾸준히 성장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수익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는 이 부문의 시장 경쟁력 또는 수요 증가를 반영할 수 있다.
- 인쇄 부문
- 이 부문은 2013년 3,890백만 달러에서 2018년 3,323백만 달러로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비록 2014년과 2015년에는 소폭 증가하는 모습이 있었지만, 이후 하락세로 돌아섰다. 이는 전통적인 인쇄 시장이 디지털 대체에 직면하여 수익이 압박을 받고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 엔터프라이즈 그룹과 서비스 부문
- 이 부문들은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일정 수준의 영업이익을 기록했으나, 데이터가 일부 누락되어 명확한 추세를 완전히 파악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다만, 2016년 이후에는 이들 부문에서 영업이익 데이터가 계속 제공되지 않거나 감소했음을 감안할 때, 수익 창출이 어려워졌거나 내부 보고 구조에 변화가 있었음을 시사한다.
- 소프트웨어와 금융 서비스 부문
- 이 둘 부문은 각각 2013년과 2014년의 영업이익이 약 860백만 달러와 870백만 달러로 유사한 수준을 유지하다가, 2015년에는 소프트웨어 부문이 약 760백만 달러로 감소하였다. 금융 서비스 부문은 2013년 399백만 달러에서 2015년까지 성과가 다소 안정적이었으며, 이후 데이터가 누락되어 추세를 판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 기업 투자 부문
- 이 부문은 부정적인 영업이익을 지속적으로 기록하였다. 2013년부터 2015년까지는 -236백만 달러에서 -565백만 달러까지 악화되었으며, 이후 2016년부터 2018년까지 -98백만 달러에서 -82백만 달러까지 개선된 모습을 보였다. 이는 기업 투자의 손실 구조가 일부 회복되거나 비용 구조의 개선이 있었음을 시사한다.
- 요약
- 전반적으로, 일부 핵심 부문에서는 지속적인 성장이나 회복 흐름이 관찰되지만, 부분적인 부문에서는 수익성 저하와 시장 압박이 존재한다. 특히 전통적 인쇄 부문과 기업 투자 부문은 도전적인 환경에 직면한 것으로 보이며, 개인용 시스템 부문은 강한 성장세를 유지하는 등 부문별로 차별화된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패턴은 향후 전략적 방향 결정 시 중요한 고려 요소가 될 수 있다.
자산
2018. 10. 31. | 2017. 10. 31. | 2016. 10. 31. | 2015. 10. 31. | 2014. 10. 31. | 2013. 10. 31. | |
---|---|---|---|---|---|---|
개인용 시스템 | ||||||
인쇄 | ||||||
엔터프라이즈 그룹 | ||||||
엔터프라이즈 서비스 | ||||||
소프트웨어 | ||||||
HP 파이낸셜 서비스 | ||||||
기업 투자 | ||||||
법인 및 할당되지 않은 자산 | ||||||
합계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8-10-31), 10-K (보고 날짜: 2017-10-31), 10-K (보고 날짜: 2016-10-31), 10-K (보고 날짜: 2015-10-31), 10-K (보고 날짜: 2014-10-31), 10-K (보고 날짜: 2013-10-31).
- 자산 규모의 전반적 추세
- 세기간 동안 자산의 총합은 다소 변동이 있으면서도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줍니다. 2013년에는 약 10억 5676만 달러의 자산으로 시작하여, 2014년과 2015년에는 각각 약 10억 3206만 달러, 10억 6882만 달러로 유사하거나 약간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냈습니다. 2016년 이후부터는 자산이 급증하는 현상이 관찰되며, 2016년에는 약 2억 9010만 달러, 이후 2017년 초에는 약 3억 2913만 달러, 2018년에는 약 3억 4622만 달러에 이르러 상당한 성장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러한 증가는 주로 총자산이 비약적으로 늘어난 2016년 이후의 변화에 기인하며, 변화율이 높았던 2016년 이후 점차 안정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 개인용 시스템 자산과 인쇄 자산의 변화
- 개인용 시스템 자산은 2013년 1억 1870만 달러에서 2018년 1억 3447만 달러로 꾸준히 증가하는 패턴을 보이고 있으며, 일정한 성장세를 보여줍니다. 반면 인쇄 자산은 2013년 1억 705만 달러에서 2018년 1억 3706만 달러로 변동이 있으며, 2015년 이후 약간씩 증감하는 모습이 나타납니다. 특히 2018년의 경우 두 자산 모두 증가세를 보였으며, 인쇄 자산은 상당한 폭으로 늘어난 점이 눈에 띕니다.
- 엔터프라이즈 그룹 및 서비스 자산의 분석
- 엔터프라이즈 그룹 자산은 2013년 3억 8858만 달러에서 2015년 3억 3499만 달러까지 변동 후, 데이터 누락으로 인해 다음 기간별 분석이 제한적입니다. 엔터프라이즈 서비스 자산 역시 2013년 1억 5229만 달러에서 2015년 1억 4354만 달러로 약간 감소하다가 현 시점에서 데이터가 제공되지 않아 이후 추이를 알기 어렵습니다. 다만 초기 두 부문의 자산이 다소 축소와 확장을 반복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 소프트웨어 자산 및 금융 서비스 자산의 변화
- 소프트웨어 자산은 2013년 1억 1868만 달러에서 2015년 1억 1226만 달러 수준으로 약간 하락한 후, 이후 데이터 누락으로 더 이상의 구체적 분석은 어려우나, 큰 변동 없이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HP 금융 서비스 자산은 2013년 1억 2011만 달러에서 2015년 1억 3093만 달러로 다소 증가하는 추세였으며, 이후 데이터 부재로 추가 분석이 제한됩니다.
- 기업 투자 및 기타 자산의 변화
- 기업 투자는 2013년 123만 달러에서 2016년 1달러로 수렴하는 가운데, 이후에도 2017년 3달러, 2018년 5달러로 소폭 증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법인 및 할당되지 않은 자산은 초기 13012만 달러에서 점차 감소하여 2018년에는 7464만 달러로 나타나며, 일부 자산 축소를 시사합니다. 이와 관련된 자산 구조의 변화는 내부 자산 배분 혹은 외부 통제 정책의 변화와 연관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