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차 대조표의 구조 : 자산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 유동 자산 구성 및 비중 변화
-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유동 자산은 전체 자산에서 점차 비중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9년 15.69%였던 유동 자산은 2020년 및 2021년 이후 점차 축소되었으며, 2023년에는 13.53%로 나타났다. 특히,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비중이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19년 5.61%에서 2023년 5.41%로 감소하였다. 반면, 매각을 위해 보유하고 있는 유동 자산은 2020년 이후 누락된 상태를 제외하고는 일정 부분 유지되고 있으며, 전체 유동 자산 비중 축소의 일부를 차지한다.
- 비유동 자산의 안정적인 비중 유지와 증대
- 비유동 자산은 2019년 84.31%였던 비중이 2023년 86.47%로 상승하였으며, 전체 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특히, 부동산, 공장 및 광산 개발 관련 자산은 전체 자산의 67.67%에 달하며 높은 비중을 유지하고 있어, 자산 구성이 장기적 개발 및 운영 자산에 치중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기타 비유동자산 및 투자 역시 일정 수준 유지되어 있어, 자본의 장기적 투자 및 자산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구성으로 해석할 수 있다.
- 단기 유동성과 장기 자산 간의 변화
- 단기 유동성 확보를 위한 현금, 정기 예금, 매출채권 등 유동 자산의 비중은 점차 축소되는 추세로, 이는 기업이 일부 유동자산을 매각하거나 운용 형태를 변경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반면, 장기 자산인 부동산, 광산 개발 자산 등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어, 장기적 성장 전략 또는 자산 포트폴리오의 안정성 확보와 관련된 전략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 기타 주요 자산 항목의 변화와 특징
- 기타 미수금, 파생 상품 자산, 이연 소득세 자산 등의 항목들은 일부 기간에 따라 수치의 변화가 있으며, 특히 파생 상품 자산은 2022년 이후 비중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항목들의 변화는 시장 또는 운영 환경의 변화 및 위험 관리 전략의 변화를 반영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