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익 계산서
12개월 종료 | 순 매출액 | 영업이익 | 코스트코에 귀속되는 순이익 |
---|---|---|---|
2024. 9. 1. | 249,625) | 9,285) | 7,367) |
2023. 9. 3. | 237,710) | 8,114) | 6,292) |
2022. 8. 28. | 222,730) | 7,793) | 5,844) |
2021. 8. 29. | 192,052) | 6,708) | 5,007) |
2020. 8. 30. | 163,220) | 5,435) | 4,002) |
2019. 9. 1. | 149,351) | 4,737) | 3,659) |
2018. 9. 2. | 138,434) | 4,480) | 3,134) |
2017. 9. 3. | 126,172) | 4,111) | 2,679) |
2016. 8. 28. | 116,073) | 3,672) | 2,350) |
2015. 8. 30. | 113,666) | 3,624) | 2,377) |
2014. 8. 31. | 110,212) | 3,220) | 2,058) |
2013. 9. 1. | 102,870) | 3,053) | 2,039) |
2012. 9. 2. | 97,062) | 2,759) | 1,709) |
2011. 8. 28. | 87,048) | 2,439) | 1,462) |
2010. 8. 29. | 76,255) | 2,077) | 1,303) |
2009. 8. 30. | 69,889) | 1,777) | 1,086) |
2008. 8. 31. | 70,977) | 1,969) | 1,283) |
2007. 9. 2. | 63,088) | 1,609) | 1,083) |
2006. 9. 3. | 58,963) | 1,626) | 1,103) |
2005. 8. 28. | 51,862) | 1,474) | 1,063)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09-01), 10-K (보고 날짜: 2023-09-03), 10-K (보고 날짜: 2022-08-28), 10-K (보고 날짜: 2021-08-29), 10-K (보고 날짜: 2020-08-30), 10-K (보고 날짜: 2019-09-01), 10-K (보고 날짜: 2018-09-02), 10-K (보고 날짜: 2017-09-03), 10-K (보고 날짜: 2016-08-28), 10-K (보고 날짜: 2015-08-30), 10-K (보고 날짜: 2014-08-31), 10-K (보고 날짜: 2013-09-01), 10-K (보고 날짜: 2012-09-02), 10-K (보고 날짜: 2011-08-28), 10-K (보고 날짜: 2010-08-29), 10-K (보고 날짜: 2009-08-30), 10-K (보고 날짜: 2008-08-31), 10-K (보고 날짜: 2007-09-02), 10-K (보고 날짜: 2006-09-03), 10-K (보고 날짜: 2005-08-28).
주어진 기간의 세 가지 주요 재무 지표는 전반적으로 상승 추세를 보였으며, 특히 2009년의 소폭 감소를 제외하면 지속적인 개선 흐름이 나타났다. 모든 수치는 US$ 단위의 백만 달러로 제시되며, 연도 표기에는 2005년 말부터 2024년 말까지의 회계 기간이 포함되어 있다. 분석은 매출의 규모 확대와 이익의 마진 개선 측면에 초점을 맞춘다.
매출은 초기 수치에서 점차 상승하다가 2009년에는 소폭 감소를 보였으나 이후 다시 강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2005년 51,862에서 2008년 70,977로 증가한 후 2009년 69,889로 하락했고, 2010년 이후에는 매년 증가폭이 확대되며 2024년까지 249,625에 이르게 되었다. 이 기간 동안 매출의 장기적 상승은 규모의 확장과 매년 발생한 물가상승이나 판매 채널의 확대 등으로 설명될 수 있다.
영업이익은 2005년 1,474에서 시작해 2009년에는 1,777로 소폭 증가했다가 2010년 이후 뚜렷한 상승세를 보이며 2024년 9,285에 도달했다. 이 기간의 영업이익은 매출 증가에 더해 비용 관리의 개선 및 운영 효율성의 향상으로 인해 점진적으로 마진이 개선되었다는 신호를 제공한다. 특히 2011년 이후의 증가폭이 두드러지며 이익 규모가 꾸준히 확장되었다.
코스트코에 귀속되는 순이익은 2005년 1,063에서 시작해 2009년 소폭 감소를 겪었으나, 2010년 이후 견조하게 상승했다. 2014년 이후 급속한 증가를 보이며 2024년에는 7,367에 이르는 기록을 남겼다. 전체 기간에 걸친 이익은 매출 증가와 함께 마진 관리의 개선, 비영업 요건의 효율화 등으로 인해 상승세를 견인했다. 특히 2020년대에 들어서서는 이전 대비 큰 폭의 증가를 보이며 연간 이익이 꾸준히 확대되었다.
- 순 매출액
- 2005: 51,862; 2006: 58,963; 2007: 63,088; 2008: 70,977; 2009: 69,889; 2010: 76,255; 2011: 87,048; 2012: 97,062; 2013: 102,870; 2014: 110,212; 2015: 113,666; 2016: 116,073; 2017: 126,172; 2018: 138,434; 2019: 149,351; 2020: 163,220; 2021: 192,052; 2022: 222,730; 2023: 237,710; 2024: 249,625
- 영업이익
- 2005: 1,474; 2006: 1,626; 2007: 1,609; 2008: 1,969; 2009: 1,777; 2010: 2,077; 2011: 2,439; 2012: 2,759; 2013: 3,053; 2014: 3,220; 2015: 3,624; 2016: 3,672; 2017: 4,111; 2018: 4,480; 2019: 4,737; 2020: 5,435; 2021: 6,708; 2022: 7,793; 2023: 8,114; 2024: 9,285
- 코스트코에 귀속되는 순이익
- 2005: 1,063; 2006: 1,103; 2007: 1,083; 2008: 1,283; 2009: 1,086; 2010: 1,303; 2011: 1,462; 2012: 1,709; 2013: 2,039; 2014: 2,058; 2015: 2,377; 2016: 2,350; 2017: 2,679; 2018: 3,134; 2019: 3,659; 2020: 4,002; 2021: 5,007; 2022: 5,844; 2023: 6,292; 2024: 7,367
대차 대조표: 자산
유동 자산 | 총 자산 | |
---|---|---|
2024. 9. 1. | 34,246) | 69,831) |
2023. 9. 3. | 35,879) | 68,994) |
2022. 8. 28. | 32,696) | 64,166) |
2021. 8. 29. | 29,505) | 59,268) |
2020. 8. 30. | 28,120) | 55,556) |
2019. 9. 1. | 23,485) | 45,400) |
2018. 9. 2. | 20,289) | 40,830) |
2017. 9. 3. | 17,317) | 36,347) |
2016. 8. 28. | 15,218) | 33,163) |
2015. 8. 30. | 17,299) | 33,440) |
2014. 8. 31. | 17,588) | 33,024) |
2013. 9. 1. | 15,840) | 30,283) |
2012. 9. 2. | 13,526) | 27,140) |
2011. 8. 28. | 13,706) | 26,761) |
2010. 8. 29. | 11,708) | 23,815) |
2009. 8. 30. | 10,337) | 21,979) |
2008. 8. 31. | 9,462) | 20,682) |
2007. 9. 2. | 9,324) | 19,607) |
2006. 9. 3. | 8,232) | 17,495) |
2005. 8. 28. | 8,086) | 16,514)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09-01), 10-K (보고 날짜: 2023-09-03), 10-K (보고 날짜: 2022-08-28), 10-K (보고 날짜: 2021-08-29), 10-K (보고 날짜: 2020-08-30), 10-K (보고 날짜: 2019-09-01), 10-K (보고 날짜: 2018-09-02), 10-K (보고 날짜: 2017-09-03), 10-K (보고 날짜: 2016-08-28), 10-K (보고 날짜: 2015-08-30), 10-K (보고 날짜: 2014-08-31), 10-K (보고 날짜: 2013-09-01), 10-K (보고 날짜: 2012-09-02), 10-K (보고 날짜: 2011-08-28), 10-K (보고 날짜: 2010-08-29), 10-K (보고 날짜: 2009-08-30), 10-K (보고 날짜: 2008-08-31), 10-K (보고 날짜: 2007-09-02), 10-K (보고 날짜: 2006-09-03), 10-K (보고 날짜: 2005-08-28).
본 분석은 주어진 기간의 자산 구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추세와 패턴을 정리한 내부용 요약이다. 두 항목의 수치가 모두 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현재 자산의 비중은 자산총액 대비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아래에 주요 관찰점을 정리한다.
- 총 자산의 장기 추세
- 2005년 16,514백만 달러에서 2024년 69,831백만 달러로 증가했다. 중간 기간에는 2012년~2016년 사이 다소 완만한 증가와 함께 2016년에 소폭 감소가 나타났으나, 2017년 이후 다시 높은 속도로 증가했다. 2019년에서 2020년 사이 가장 큰 증가를 보였고, 이후에도 상승 흐름이 지속되었다. 누적 증가율은 약 322–323%로 해석된다.
- 현재 자산의 추세 및 비중
- 2005년 8,086백만 달러에서 2024년 34,246백만 달러로 증가했다. 현재 자산의 총자산 대비 비중은 약 49%대에서 유지되며 비교적 안정적이었다. 예를 들어 2010년대 중반에는 약 46%대, 2020년대 초에는 약 50%대까지 상승했고, 2024년에도 약 49%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이처럼 현재 자산은 총자산 증가와 동행하는 흐름을 보이며, 유동성 버퍼 측면의 안정성을 시사한다.
- 연도별 변동 포인트 및 패턴
- 2012년 이후 현재 자산과 총자산이 모두 증가하는 흐름이 주를 이루었으나 2016년에 두 항목이 소폭 하락하는 변곡점이 나타났다(현재 자산 17,299에서 15,218; 총자산 33,440에서 33,163). 2017년 이후에는 다시 증가 속도가 빨라지며 2019년~2020년 사이 큰 확장을 보였고, 2021년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상승했다. 2023년에서 2024년으로의 변화는 소폭의 증가로 마무리되었다.
- 시사 점 및 해석
- 자산 규모의 지속적 확장은 운영 활동의 확장이나 자본 재구성의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현재 자산의 비중이 크게 변하지 않는 점은 유동성 관리의 안정성을 시사하며, 2020년대 초반의 급격한 총자산 증가에도 불구하고 유동성 버퍼가 상대적으로 유지되었음을 시사한다. 전 기간에 걸친 비슷한 성장 궤도는 구조적 성장 흐름이 지속될 가능성을 시사하지만, 2016년의 단기 변동과 특정 연도의 성장률 차이를 주의 깊게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대차 대조표: 부채 및 주주 자본
유동부채 | 총 부채 | 총 부채 | 코스트코 주주 자본 총계 | |
---|---|---|---|---|
2024. 9. 1. | 35,464) | 46,209) | 5,897) | 23,622) |
2023. 9. 3. | 33,583) | 43,936) | 6,458) | 25,058) |
2022. 8. 28. | 31,998) | 43,519) | 6,557) | 20,642) |
2021. 8. 29. | 29,441) | 41,190) | 7,491) | 17,564) |
2020. 8. 30. | 24,844) | 36,851) | 7,609) | 18,284) |
2019. 9. 1. | 23,237) | 29,816) | 6,823) | 15,243) |
2018. 9. 2. | 19,926) | 27,727) | 6,577) | 12,799) |
2017. 9. 3. | 17,495) | 25,268) | 6,659) | 10,778) |
2016. 8. 28. | 15,575) | 20,831) | 5,161) | 12,079) |
2015. 8. 30. | 16,540) | 22,597) | 6,147) | 10,617) |
2014. 8. 31. | 14,412) | 20,509) | 5,093) | 12,303) |
2013. 9. 1. | 13,257) | 19,271) | 4,998) | 10,833) |
2012. 9. 2. | 12,260) | 14,622) | 1,382) | 12,361) |
2011. 8. 28. | 12,050) | 14,188) | 2,153) | 12,002) |
2010. 8. 29. | 10,063) | 12,885) | 2,167) | 10,829) |
2009. 8. 30. | 9,281) | 11,875) | 2,303) | 10,024) |
2008. 8. 31. | 8,874) | 11,408) | 2,346) | 9,192) |
2007. 9. 2. | 8,582) | 10,914) | 2,222) | 8,623) |
2006. 9. 3. | 7,819) | 8,288) | 565) | 9,143) |
2005. 8. 28. | 6,609) | 7,574) | 768) | 8,88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09-01), 10-K (보고 날짜: 2023-09-03), 10-K (보고 날짜: 2022-08-28), 10-K (보고 날짜: 2021-08-29), 10-K (보고 날짜: 2020-08-30), 10-K (보고 날짜: 2019-09-01), 10-K (보고 날짜: 2018-09-02), 10-K (보고 날짜: 2017-09-03), 10-K (보고 날짜: 2016-08-28), 10-K (보고 날짜: 2015-08-30), 10-K (보고 날짜: 2014-08-31), 10-K (보고 날짜: 2013-09-01), 10-K (보고 날짜: 2012-09-02), 10-K (보고 날짜: 2011-08-28), 10-K (보고 날짜: 2010-08-29), 10-K (보고 날짜: 2009-08-30), 10-K (보고 날짜: 2008-08-31), 10-K (보고 날짜: 2007-09-02), 10-K (보고 날짜: 2006-09-03), 10-K (보고 날짜: 2005-08-28).
제공된 기간은 2005년 말부터 2024년 말까지의 연도별 수치를 포함하며, 유동부채, 총 부채(두 항목으로 제시된 구성) 및 주주 자본 총계가 주요 관찰 대상이다. 전반적으로 유동부채와 총 부채는 장기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며, 일부 연도에는 일시적 한두 해의 감소가 관찰된다. 주주 자본 총계는 초기에는 변동이 있었으나, 2019년 이후 크게 증가하는 흐름이 두드러진다. 이러한 패턴은 기간 동안 자본 형성과 채무 증가가 동시적으로 진행되었음을 시사한다.
- 유동부채의 변화 패턴
- 해당 항목은 2005년 6,609백만 달러에서 시작해 2024년 35,464백만 달러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기간 중 2016년 15,575백만 달러로 소폭 하락한 적이 있지만, 이후 2017년 17,495백만 달러, 2018년 19,926백만 달러 등으로 다시 큰 폭의 증가를 이어갔다. 2019년 이후 증가 속도가 빨라지며 2020년대에 들어 규모가 크게 확대되었다.
- 총 부채(항목 2)의 관찰
- 해당 항목은 2005년 7,574백만 달러에서 시작해 2024년 46,209백만 달러로 증가하는 큰 상승 흐름을 보인다. 2012년 이후 급격한 증가를 보였고, 2016년에는 20,831백만 달러로 소폭 감소했다가 2017년 25,268백만 달러, 2018년 27,727백만 달러로 다시 상승했다. 이후 2020년대에 들어 36,851백만 달러까지 확대되며 연간 변동 폭이 커지는 경향이다.
- 총 부채(항목 3)의 변동
- 이 항목은 2005년 768백만 달러로 시작해 2024년 5,897백만 달러로 관찰된다.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고 변동성이 크며, 2013년 4,998백만 달러, 2014년 5,093백만 달러로 증가한 뒤 2015년 6,147백만 달러, 2016년 5,161백만 달러로 다시 하락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후 2020년대 들어 7,609백만 달러까지 오르는 등 증가 흐름이 나타나지만, 2024년에는 5,897백만 달러로 다소 축소되었다.
- 주주 자본 총계의 변화
- 2005년 약 8,881백만 달러로 시작해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강하다. 2007년 8,623백만 달러, 2008년 9,192백만 달러, 2009년 10,024백만 달러 등 초기에는 완만한 증가를 보였고, 2013년에는 10,833백만 달러로 소폭 감소했다가 2014년 12,303백만 달러, 2015년 10,617백만 달러로 다시 하락하는 등의 변동이 나타났다. 이후 2019년 15,243백만 달러, 2020년 18,284백만 달러, 2023년 25,058백만 달러로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2024년에는 23,622백만 달러로 소폭 감소했다. 전 기간에 걸쳐 대체로 상승 흐름이 지속되었으나 특정 연도에 이익잉여금의 변동이나 배당/자본정책 영향으로 변동이 발생했다.
- 자본-부채 비율의 변화
- 2005년 자본총계가 총 부채(항목 2) 대비 약 1.17배 수준으로 시작했으나, 2013년~2015년 사이에는 약 0.46~0.79로 하락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후 2020년대에는 대략 0.45~0.57 범위로 재편되며 유지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써 자본의 상대적 크기가 초기보다 축소되는 흐름이 나타났고, 부채 증가가 자본 증가보다 더 빠르게 진행된 시기가 존재한다는 점이 관찰된다.
현금 흐름표
12개월 종료 |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 제공 | 투자 활동에 사용된 순현금 | 재무활동으로 제공된(사용된) 순현금 |
---|---|---|---|
2024. 9. 1. | 11,339) | (4,409) | (10,764) |
2023. 9. 3. | 11,068) | (4,972) | (2,614) |
2022. 8. 28. | 7,392) | (3,915) | (4,283) |
2021. 8. 29. | 8,958) | (3,535) | (6,488) |
2020. 8. 30. | 8,861) | (3,891) | (1,147) |
2019. 9. 1. | 6,356) | (2,865) | (1,147) |
2018. 9. 2. | 5,774) | (2,947) | (1,281) |
2017. 9. 3. | 6,726) | (2,366) | (3,218) |
2016. 8. 28. | 3,292) | (2,345) | (2,419) |
2015. 8. 30. | 4,285) | (2,480) | (2,324) |
2014. 8. 31. | 3,984) | (2,093) | (786) |
2013. 9. 1. | 3,437) | (2,251) | 44) |
2012. 9. 2. | 3,057) | (1,236) | (2,281) |
2011. 8. 28. | 3,198) | (1,180) | (1,277) |
2010. 8. 29. | 2,780) | (2,015) | (719) |
2009. 8. 30. | 2,092) | (1,101) | (439) |
2008. 8. 31. | 2,176) | (1,716) | (613) |
2007. 9. 2. | 2,076) | (655) | (165) |
2006. 9. 3. | 1,827) | (1,154) | (1,233) |
2005. 8. 28. | 1,783) | (2,059) | (519)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09-01), 10-K (보고 날짜: 2023-09-03), 10-K (보고 날짜: 2022-08-28), 10-K (보고 날짜: 2021-08-29), 10-K (보고 날짜: 2020-08-30), 10-K (보고 날짜: 2019-09-01), 10-K (보고 날짜: 2018-09-02), 10-K (보고 날짜: 2017-09-03), 10-K (보고 날짜: 2016-08-28), 10-K (보고 날짜: 2015-08-30), 10-K (보고 날짜: 2014-08-31), 10-K (보고 날짜: 2013-09-01), 10-K (보고 날짜: 2012-09-02), 10-K (보고 날짜: 2011-08-28), 10-K (보고 날짜: 2010-08-29), 10-K (보고 날짜: 2009-08-30), 10-K (보고 날짜: 2008-08-31), 10-K (보고 날짜: 2007-09-02), 10-K (보고 날짜: 2006-09-03), 10-K (보고 날짜: 2005-08-28).
제시된 연간 재무 데이터 세트에 기초하여 내부 보고서용으로 관찰된 추세를 요약한다. 모든 금액은 US 달러 백만 단위이며, 누락된 값은 해당 연도에 대한 측정치가 제공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아래는 각 항목별로 나타난 패턴과 시사점을 기술한 것이다.
-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 제공
- 장기적으로는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창출이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나, 연도에 따라 변동성이 크게 나타난다. 2005년대 초에는 비교적 소폭 증가 후 2007년에서 2012년 사이에는 완만한 증가 및 일부 해의 소폭 감소가 관찰된다. 2013년에서 2015년 사이에는 명확한 증가세가 지속되었고, 2016년에는 다소 하락했으나 2017년 이후로 다시 큰 폭으로 상승했다. 2017년 이후 2018~2021년까지는 변동성을 동반한 증가 흐름이 지속되며 2020년과 2021년에 특히 강하게 상승했다가 2022년에는 다소 하락했다. 2023년과 2024년에는 다시 큰 폭으로 증가하여 해당 기간의 현금창출 능력이 크게 개선된 모습을 보인다.
- 투자 활동에 사용된 순현금
- 계속적인 음수 값으로 나타나며, 전 기간에 걸쳐 현금이 투자활동에 지속적으로 사용되었음을 보여준다. 초기에는 규모가 비교적 작았으나 2010년대 중반 이후 점진적으로 음수 규모가 커졌고, 2013년 이후에도 큰 폭의 현금유출이 반복되었다. 2018년 이후에는 투자활동의 유출 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되었고, 2020년대에 들어서도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2023년에 가장 큰 음수(-약 4,972)로 정점을 찍은 뒤 2024년에도 여전히 높은 수준의 유출을 기록했다.
- 재무활동으로 제공된(사용된) 순현금
- 대체로 음수인 운용현금흐름이 나타나며 자금조달 및 상환과 같은 재무활동이 현금가치에 큰 영향을 미쳤다. 2013년에는 한 차례 양수로 반전되는 시기가 있었으나 이후로 재무활동의 순흐름은 주로 음수로 나타났다. 2021년에는 대규모 순유출이 나타났으며(약 -6,488), 2024년에는 사상 최대 규모의 순유출(-10,764)을 기록했다. 이로써 자본구조 관리나 배당/주주환원 정책 등 재무활동의 강도가 기간 중 크게 확대되었음을 시사한다.
- 종합 시사점
- 세 가지 활동의 상호작용에서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창출이 비교적 큰 폭으로 변동하되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투자활동에 의한 현금유출의 규모는 점진적으로 확대되었고, 특히 2020년대 초반 이후 큰 폭의 유출이 지속적으로 나타났다. 재무활동의 현금흐름은 대체로 음수로 유지되며, 2021년과 2024년에는 대규모 순유출이 관찰되어 자금조달 및 자본구조 관리의 강도가 크게 증가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2020년대 들어 현금흐름의 변동성이 확대되었으며, 특정 연도에 영업현금창출의 강점이 나타나더라도 투자 및 재무활동의 크기와 방향성에 의해 전체 현금흐름의 연간 변동성이 크게 좌우되었음을 시사한다.
주당 데이터
12개월 종료 | 기본 주당순이익1 | 희석된 주당순이익2 | 주당 배당금3 |
---|---|---|---|
2024. 9. 1. | 16.59 | 16.56 | 19.36 |
2023. 9. 3. | 14.18 | 14.16 | 3.84 |
2022. 8. 28. | 13.17 | 13.14 | 3.38 |
2021. 8. 29. | 11.30 | 11.27 | 12.98 |
2020. 8. 30. | 9.05 | 9.02 | 2.70 |
2019. 9. 1. | 8.32 | 8.26 | 2.44 |
2018. 9. 2. | 7.15 | 7.09 | 2.14 |
2017. 9. 3. | 6.11 | 6.08 | 8.90 |
2016. 8. 28. | 5.36 | 5.33 | 1.70 |
2015. 8. 30. | 5.41 | 5.37 | 6.51 |
2014. 8. 31. | 4.69 | 4.65 | 1.33 |
2013. 9. 1. | 4.68 | 4.63 | 8.17 |
2012. 9. 2. | 3.94 | 3.89 | 1.03 |
2011. 8. 28. | 3.35 | 3.30 | 0.89 |
2010. 8. 29. | 2.97 | 2.92 | 0.77 |
2009. 8. 30. | 2.50 | 2.47 | 0.68 |
2008. 8. 31. | 2.95 | 2.89 | 0.61 |
2007. 9. 2. | 2.42 | 2.37 | 0.55 |
2006. 9. 3. | 2.35 | 2.30 | 0.49 |
2005. 8. 28. | 2.24 | 2.18 | 0.43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09-01), 10-K (보고 날짜: 2023-09-03), 10-K (보고 날짜: 2022-08-28), 10-K (보고 날짜: 2021-08-29), 10-K (보고 날짜: 2020-08-30), 10-K (보고 날짜: 2019-09-01), 10-K (보고 날짜: 2018-09-02), 10-K (보고 날짜: 2017-09-03), 10-K (보고 날짜: 2016-08-28), 10-K (보고 날짜: 2015-08-30), 10-K (보고 날짜: 2014-08-31), 10-K (보고 날짜: 2013-09-01), 10-K (보고 날짜: 2012-09-02), 10-K (보고 날짜: 2011-08-28), 10-K (보고 날짜: 2010-08-29), 10-K (보고 날짜: 2009-08-30), 10-K (보고 날짜: 2008-08-31), 10-K (보고 날짜: 2007-09-02), 10-K (보고 날짜: 2006-09-03), 10-K (보고 날짜: 2005-08-28).
1, 2, 3 분할 및 주식 배당을 위해 조정된 데이터.
주어진 CSV 데이터의 기간은 2005년 말부터 2024년 말까지 연간 수치를 포함하며, 모든 항목은 숫자로 제시되어 있고 누락 값은 관찰되지 않는다. 내부 데이터의 패턴은 기본 주당순이익과 희석된 주당순이익이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반면, 주당 배당금은 연도별로 큰 변동성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을 시사한다. 아래 분석은 이러한 관찰을 바탕으로 데이터에서 나타나는 흐름과 변화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 기본 주당순이익의 추세
- 기본 주당순이익은 2005년 2.24달러에서 시작해 2024년 16.59달러로 점진적이면서도 지속적인 상승을 보인다. 중간에 2009년과 2016년에 소폭 하락이 나타났지만, 그 이후에는 연도별 증가폭이 큰 편이고 특히 2017년 이후의 상승 속도가 뚜렷하다. 2020년대에 들어서 단기적으로도 높은 수준의 이익이 지속되는 모습이 나타나 최종 시점은 초기 대비 큰 폭으로 개선된 모습을 보인다.
- 희석된 주당순이익의 추세
- 희석된 주당순이익 역시 2005년 2.18달러에서 시작해 2024년 16.56달러에 이르는 상승 흐름을 보인다. 기본 EPS와 패턴이 유사하게 전개되며, 2009년과 2016년의 소폭 하락이 존재하나 이후의 회복이 강하게 나타난다. 2011년~2014년 구간과 2017년 이후 구간에서 의미 있는 상승이 지속되고, 전반적으로 장기 성장 경로가 뚜렷하다. 두 지표 간 차이는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 주당 배당금의 추세
- 배당금은 2005년 0.43달러에서 시작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흐름을 보이다가 특정 연도에서 급격한 증가와 급격한 감소가 반복되는 양상을 보인다. 2013년 경의 급등, 2014년~2016년의 급락, 이후 2020년대에 재차 큰 상승 등 연도별 변동성이 큰 특징이 나타난다. 이러한 큰 변동은 배당 정책의 조정이나 일회성 요인으로 인한 영향 가능성이 있으며,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EPS 성장과 비교해 배당의 안정성은 다소 낮은 편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 따라서 데이터상 배당의 흐름은 상승 추세와 함께 불규칙한 변동이 동반되는 패턴으로 확인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