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금 흐름표
분기별 데이터
현금 흐름표는 회계 기간 동안 회사의 현금 영수증 및 현금 지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이러한 현금 흐름이 종료 현금 잔액을 회사의 대차 대조표에 표시된 시작 잔액과 어떻게 연결하는지 보여줍니다.
현금 흐름표는 세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영업 활동(사용)에 의해 제공되는 현금 흐름, 투자 활동(에 사용)에 의해 제공되는 현금 흐름, 재무 활동(에 사용)에 의해 제공되는 현금 흐름.
보고서 기준: 10-Q (보고 날짜: 2022-09-30), 10-Q (보고 날짜: 2022-06-30), 10-Q (보고 날짜: 2022-03-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Q (보고 날짜: 2021-09-30), 10-Q (보고 날짜: 2021-06-30), 10-Q (보고 날짜: 2021-03-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Q (보고 날짜: 2020-09-30), 10-Q (보고 날짜: 2020-06-30), 10-Q (보고 날짜: 2020-03-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Q (보고 날짜: 2019-09-30), 10-Q (보고 날짜: 2019-06-30), 10-Q (보고 날짜: 2019-03-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Q (보고 날짜: 2018-09-30), 10-Q (보고 날짜: 2018-06-30), 10-Q (보고 날짜: 2018-03-31).
- 수익성 및 손익 추세
- 분석 기간 동안, 당기순이익(손실)은 상당한 변동성을 보여주며, 일부 기간에는 큰 손실을 기록하였고, 일부 기간에는 이익이 상당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예를 들어, 2018년 3월 31일에는 약 1,445만 달러의 손실을 기록하였으며, 이후 2018년 6월 30일에는 약 1,36만 달러의 이익으로 반전되었다. 2018년 말 이후에는 다시 손실이 확대되거나 축소되는 모습이 반복되었으며, 2021년 초에는 또 다른 이익 기록 이후 2021년 말에는 큰 손실로 돌아섰다. 2022년에는 일부 기간에 강한 이익이 나타나는 등, 수익성과 손실 간 차이가 크다.
- 비용 구조와 감가상각
- 감가상각 및 고갈 비용은 전반적으로 일정한 수준에서 유지되면서 일부 기간에 약간의 증감이 나타났다. 예를 들어, 2018년에는 약 437,893달러에서 2019년·2020년에는 소폭 하락하였다. 무형자산의 상각 비용은 특정 기간(2018년과 2019년)에만 기록되었으며 이후에는 자료가 누락되었다. 이러한 비용은 회사의 감가상각 정책 또는 무형자산 변화에 따라 변동할 수 있다.
- 특이 항목과 비경상손익
- 자산 손상 및 매각, 영업권 손상, 투자 손실 등 일회성 또는 비경상적 요소는 상당한 변동을 보여주었다. 특히, 수명이 긴 자산의 손상 및 매각 손실은 2018년 12월 31일에 약 1,553만 달러로 정점에 달했으며, 2019년 또한 큰 금액을 기록하였다. 파생상품 손실은 2018년부터 극단적인 변동을 보여 2018년 12월에는 상당히 큰 손실을 입었으며, 2021년과 2022년에는 이익 또는 손실이 급증하는 모습이 관찰된다.
- 유동성 및 유동자산·부채 구조
- 유동자산은 일부 기간에 급격히 변화했으며, 미수금과 미지급금은 일정 수준에서 변동하였다. 미수금은 2020년 9월에 큰 폭으로 증가한 반면, 2020년 12월에는 급감하는 패턴이 관찰된다. 미지급금 역시 변동성이 크며, 특정 기간에 대규모 변동이 있다. 유동성 관련 기타 자산과 부채는 일부 기간에 매우 커졌다 또는 감소하였음을 보여주어, 재무 위험 관리 또는 영업 활동의 변동성을 반영한다.
- 영업활동 현금흐름
-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 흐름은 일관되게 긍정적이거나 적어도 지속적인 제공 상태를 보였으며, 2020년과 2021년에는 큰 규모의 현금 흐름을 기록하였다(예: 2019년 12월에는 약 由 2,017만 달러). 자본 지출과 투자 활동으로 인한 현금 유출이 동시에 존재했으며, 특히 2022년에는 자본 지출이 크게 증가하였다. 이는 설비 투자와 유지보수 활동 증가를 시사한다.
- 재무 활동과 부채 관리
- 단기 및 장기 차입금의 규모는 지속적으로 변화하며,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상당한 수준에서 움직이고 있다. 차입금 증가와 상환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며, 2020년 초에는 차입금이 급증하였고 이후 일부 상환 조치도 있었다. 채권 발행은 일부 기간에 중요한 자금 조달 수단으로 작용하였으며, 채무 상환은 여러 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배당금 지급 역시 일정하게 이어졌으며, 특히 2022년에는 배당금 규모의 증대가 뚜렷하다.
- 주식 및 기타 재무 활동
- 보통주 환매는 특정 기간(2018년과 2021년 12월 등)에 기록되었으며, 회사의 자사주 매입 정책 또는 자본 배분 전략을 반영한다. 주식 기반 보상 비용은 전반적으로 증액 추세를 보여, 직원 인센티브 프로그램의 강화 또는 변경이 있었음을 시사한다. 비지배 지분의 변동은 일부 기간 동안 큰 영향을 미쳤으며, 지분 배분 전략 또는 기업 구조 조정의 일환으로 보인다.
- 현금 및 현금성자산 순변동
- 전반적으로 현금 흐름은 견고하거나 또는 부정적 영향을 받으며 변동하였다. 2020년 12월에는 상당한 유출이 있었으며, 2021년 이후에는 일부 회복세를 보였다. 이러한 현금 변동은 영업, 투자, 재무 활동의 복합적 영향의 결과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