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익계산서의 구조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9-08-31), 10-K (보고 날짜: 2018-08-31), 10-K (보고 날짜: 2017-08-31), 10-K (보고 날짜: 2016-08-31), 10-K (보고 날짜: 2015-08-31), 10-K (보고 날짜: 2014-08-31).
- 매출 대비 매출 원가 비율의 상승
- 2014년부터 2019년까지 매출 원가는 지속적으로 매출 대비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4년 71.77%에서 2019년 78.03%로 증가하여, 매출 대비 원가가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원가 상승이나 제품 및 서비스의 가격 구조 변화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 매출 총이익률의 하락
- 매출 대비 총이익률은 28.23%에서 21.97%로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하락은 원가 상승에 따른 수익성의 압박을 반영하며, 경쟁 심화 또는 제품/서비스 가격 유지에 어려움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 판매비 및 일반관리비의 안정적 감소
- 판매비와 일반관리비는 2014년의 23.55%에서 2019년의 18.44%로 점차 낮은 수준을 유지하거나 축소되고 있다. 이는 비용 효율화 또는 운영 구조의 개선을 통해 비용절감 전략이 실행된 것으로 보인다.
- 기타 수익 및 비용의 변동
- 기타 수입(비용)은 2014년과 2015년에는 일정한 양상으로 나타났으며, 이후 2016년 이후에는 소폭의 변동성을 보여왔다. 특히, 영업이익률은 2014년 5.49%에서 2019년 3.65%로 하락하는 모습이 뚜렷하며, 이는 전반적인 수익성의 하락세를 반영한다.
- 이자 및 소득세 차감 전 이익과 세후 이익의 변화
- 이자 및 소득세 차감 전 이익률은 일정 수준(약 4.86%~5.72%)을 유지하며 수익성을 유지하려는 노력을 보여줬다. 그러나 2019년에는 3.82%로 하락하여, 전반적인 이익률 하락과 함께 수익성 저하가 지속됨을 확인할 수 있다. 소득세 충당금은 매출 대비 비중이 감소하는 추세로, 세후 순이익률 역시 2014년 2.66%에서 2019년 2.89%로 다소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 순이익 및 지분에 따른 최종 이익
- 2020년까지는 순이익 비율이 비교적 안정적이었으며, 2019년에 4.14%에서 2019년 이후 2.89%로 일부 하락하였다. 통상적 수익성의 하락과 원가 압박, 경쟁 심화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