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차 대조표의 구조 : 자산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 현금 및 현금성자산
- 2020년부터 2024년까지의 기간 동안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총 자산의 약 11%에서 13% 사이를 유지하며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다만, 2022년에 일시적으로 9.42%로 감소한 후 다시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 유동성 관리에 일관성이 약간 흔들릴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 유가증권
- 유가증권 비중은 2021년 2.73%로 최고치를 기록하였으며, 이후 2022년과 2023년에는 0.13%, 0.86%로 낮아졌다. 이러한 변동은 투자 포트폴리오의 전략적 조정 또는 시장 상황에 따른 유가증권 보유 규모의 변화로 해석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 비중은 작지만, 2024년에는 다시 0.55%로 상승하였다.
- 미수금 및 유사 항목
- 순 거래 미수금은 2020년 6.09%에서 점차 상승하여 2024년에는 9.73%에 달하였다. 이는 매출 채권의 증가 또는 채권 회수 기간의 연장 가능성을 나타낼 수 있다. 유수금 비중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 회사의 채권 규모가 커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 기타 자산 항목
- 얼라이언스, 로열티, VAT 및 기타 항목은 안정적으로 1-2% 사이를 유지하며, 특정 시기에 다소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패턴은 계약 또는 라이선스 기반 수익의 증대를 반영할 수 있다. 한편, 연구개발비는 약 0.4-0.8% 사이로 점차 증가세를 나타내며 미래 성장에 대한 투자 확대를 보여준다.
- 유동자산
- 유동자산의 비중은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2020년 25.48%에서 2023년 33.39%로 높아지고 있다. 이는 회사의 유동성 확보와 단기 자산운용의 적극성을 의미한다. 유동자산 내에서는 친선(아마도 상품권 등 무형자산으로 추정)과 기타 무형자산이 각각 20% 이상 차지하며, 무형 자산은 전체 유동자산의 주요 구성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 비유동자산
- 비유동자산은 2020년 74.52%에서 2023년 66.61%로 감소했으며, 이후 2024년에는 67.84%를 기록하였다. 특히, 무형자산 비중이 2020년 44.94%에서 2024년 25.17%로 줄어드는 반면, '그 외의 비유동자산'은 5.92%에서 6.59%로 증가하였다. 이는 무형자산의 감가상각 또는 전략적 처분을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고정자산과 금융자산의 구성이 변동하는 특징을 보여준다.
- 이연소득세
- 이연소득세 항목은 2020년 0.98%에서 2024년 4.57%로 상당히 증가하였으며, 이는 세무상 차이 또는 미래 세금 부담의 증가를 시사한다. 이는 세무전략 또는 회계처리의 변동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