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익 계산서
12개월 종료 | 수익 | 영업이익 | 순수입 |
---|---|---|---|
2022. 12. 31. | 1,375,218) | 378,679) | 281,389) |
2021. 12. 31. | 1,055,524) | 253,567) | 195,960) |
2020. 12. 31. | 841,434) | 186,123) | 143,453) |
2019. 12. 31. | 737,671) | 226,224) | 180,576) |
2018. 12. 31. | 566,336) | 173,715) | 137,065) |
2017. 12. 31. | 433,047) | 78,625) | 66,807) |
2016. 12. 31. | 329,141) | 57,971) | 43,840) |
2015. 12. 31. | 224,653) | 34,435) | 20,945) |
2014. 12. 31. | 150,929) | 15,700) | 5,663)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 수익의 추세 및 변화
- 2014년부터 2022년까지 수익은 꾸준한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으며, 연평균 성장률이 상당히 높게 유지되고 있습니다. 150,929천 달러에서 1,375,218천 달러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2015년 이후로 연평균 성장률이 가팔라게 상승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이러한 성장 패턴은 회사가 시장에서 지속적으로 확장을 이루고 있음을 시사하며,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수요 증가와 매출 기회 확대를 반영할 수 있습니다.
- 영업이익의 변화와 수익성
- 영업이익은 2014년 15,700천 달러에서 2022년 378,679천 달러로 크게 증가하였으며,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수익성 신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2015년 이후로는 급격한 상승이 두드러지며, 2018년 이후에는 일정한 등락을 보이면서도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모습입니다. 이는 영업 효율성과 비용 통제에 대한 개선, 규모의 경제 효과를 통해 수익성을 강화해 왔음을 시사합니다.
- 순수익 성과 및 수익성 유지
- 순수익은 2014년 5,663천 달러에서 2022년 281,389천 달러로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전체적으로 강한 수익성 증대를 보여줍니다. 2015년 이후에는 큰 폭의 성장세가 지속되었으며, 특히 2018년 이후에는 순이익이 1.8억 달러 이상으로 확대되어 수익 확보 능력을 개선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수익 증가는 회사의 전체적인 재무 건전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대차 대조표: 자산
유동 자산 | 총 자산 | |
---|---|---|
2022. 12. 31. | 2,764,172) | 3,902,513) |
2021. 12. 31. | 2,252,038) | 3,215,145) |
2020. 12. 31. | 1,864,605) | 2,607,912) |
2019. 12. 31. | 1,871,100) | 2,486,917) |
2018. 12. 31. | 1,064,622) | 1,521,926) |
2017. 12. 31. | 1,149,862) | 1,355,164) |
2016. 12. 31. | 925,583) | 1,078,613) |
2015. 12. 31. | 761,138) | 876,773) |
2014. 12. 31. | 693,393) | 798,942)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 유동 자산
- 2014년부터 2022년까지 눈에 띄는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총 자산 대비 유동 자산의 비중도 꾸준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2014년 약 69,3억 달러에서 2022년 276억 달러로 증가하였는데, 이는 단기간에 상당한 유동성을 확보했음을 시사한다. 특히 2019년 이후 가파른 증가를 보여 2020년 이후에도 지속적인 확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 총 자산
- 총 자산은 2014년 약 79.9억 달러에서 2022년 390억 달러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연평균 성장률이 높은 편으로, 자산의 규모가 점차 확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2019년 이후 가속화된 증가세는 사업 규모의 확장과 재무적 안정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대차 대조표: 부채 및 주주 자본
유동부채 | 총 부채 | 유동 부분을 포함한 장기 부채 | 주주의 자본 | |
---|---|---|---|---|
2022. 12. 31. | 2,377,037) | 2,719,906) | 29,000) | 1,182,607) |
2021. 12. 31. | 1,990,410) | 2,321,431) | 29,155) | 893,714) |
2020. 12. 31. | 1,718,030) | 1,952,269) | 30,894) | 655,643) |
2019. 12. 31. | 1,753,522) | 1,960,289) | 32,633) | 526,628) |
2018. 12. 31. | 1,028,682) | 1,187,173) | 34,389) | 334,753) |
2017. 12. 31. | 1,140,152) | 1,219,762) | 35,302) | 135,402) |
2016. 12. 31. | 898,894) | 962,086) | 29,824) | 116,527) |
2015. 12. 31. | 727,534) | 778,459) | 25,860) | 98,314) |
2014. 12. 31. | 678,772) | 724,804) | 26,978) | 74,138)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 유동부채
- 2014년부터 2022년까지 유동부채는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여주며, 총 규모는 약 2,377,037천 달러에 이르렀다. 초기에는 수치가 다소 낮았으나, 2017년 이후에는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기 시작하여 2022년에는 약 2,377,037천 달러의 최고치를 기록하였다. 이 같은 증가 추세는 기업의 유동성 압박이 확대되고 있음을 시사할 수 있으며, 단기 채무 부담이 상당히 커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 총 부채
- 총 부채 역시 전 기간에 걸쳐 꾸준히 증가하였다. 2014년 약 724,804천 달러에서 2022년 약 2,719,906천 달러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2017년 이후 증가 속도가 가속화되었다. 이러한 추세는 부채의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재무 안정성에 대한 관심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특히, 부채비율이 높아지면서 재무 건전성에 대한 평가가 중요해질 수 있다.
- 유동 부분을 포함한 장기 부채
- 이 부문은 전 기간에 걸쳐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며, 2014년 26,978천 달러에서 2022년 29,000천 달러에 이르기까지 안정적인 증가를 보였다. 이 수치는 회사의 장기적 부채 규모가 일정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음을 나타내며, 단기 부채와의 관계를 고려할 때 재무 구조의 적절성을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
- 주주의 자본
- 주주의 자본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2014년 약 74,138천 달러에서 2022년 약 1,182,607천 달러로 상승하였다. 이는 주주 가치가 꾸준히 확대되고 있음을 시사하며, 기업이 성장을 거듭함에 따라 내부 유보와 신주 발행 등을 통해 자본 구조를 강화하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자본 증가는 기업의 재무 건전성과 자금 조달 능력을 긍정적으로 반영한다.
현금 흐름표
12개월 종료 |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 제공 | 투자 활동으로 제공된 순현금(사용) | 재무활동으로 제공된(사용된) 순현금 |
---|---|---|---|
2022. 12. 31. | 365,103) | (23,286) | 254,587) |
2021. 12. 31. | 319,362) | (257,670) | 165,724) |
2020. 12. 31. | 227,207) | (117,877) | (165,909) |
2019. 12. 31. | 224,263) | (219,545) | 650,672) |
2018. 12. 31. | 184,817) | 62,620) | (247,796) |
2017. 12. 31. | 130,600) | (290,346) | 145,665) |
2016. 12. 31. | 98,953) | (205,051) | 115,542) |
2015. 12. 31. | 42,972) | (52,324) | 34,922) |
2014. 12. 31. | 22,337) | (219,050) | 208,495)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 제공
- 2014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14년 약 22,337천 달러에서 2022년에는 365,103천 달러에 달하는 높은 수준을 기록하였다. 이 기간 동안,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 흐름은 지속적으로 개선되어 기업의 핵심 영업역량이 강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2016년과 2018년 사이, 그리고 2021년 이후 강한 성장세가 관찰된다.
- 투자 활동으로 제공된 순현금(사용)
- 이 항목은 상당한 변동성을 띄며, 2014년과 2016년, 2017년에는 대규모의 현금 유출이 나타난 반면, 2015년, 2018년, 그리고 2019년에는 현금 유입이 관찰된다. 전반적으로 볼 때, 이 기간 동안 투자를 위한 현금 지출이 크기 때문에 기업이 적극적인 투자활동을 진행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2017년에 투자 활동에서 상당한 현금 유출이 발생한 점은 주목할 만하다.
- 재무활동으로 제공된(사용된) 순현금
- 이 항목은 2014년부터 2022년까지 전반적으로 변동이 크지만, 다수의 연도에서 현금 유입이 강하게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예를 들어, 2014년, 2017년, 2019년, 2020년, 그리고 2022년에는 각각 상당한 현금 유입이 일어났으며, 이는 주로 부채 증서, 채권 발행, 또는 자본 조달 활동 등을 통한 자금 조달을 의미할 수 있다. 특히 2019년에는 650,672천 달러의 강한 현금 유입이 관찰되어 재무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진 것을 보여준다.
주당 데이터
12개월 종료 | 기본 주당순이익1 | 희석된 주당순이익2 | 주당 배당금3 |
---|---|---|---|
2022. 12. 31. | 4.86 | 4.84 | 0.00 |
2021. 12. 31. | 3.39 | 3.37 | 0.00 |
2020. 12. 31. | 2.49 | 2.46 | 0.00 |
2019. 12. 31. | 3.14 | 3.09 | 0.00 |
2018. 12. 31. | 2.37 | 2.34 | 0.00 |
2017. 12. 31. | 1.15 | 1.13 | 0.00 |
2016. 12. 31. | 0.76 | 0.74 | 0.00 |
2015. 12. 31. | 0.37 | 0.36 | 0.00 |
2014. 12. 31. | 0.11 | 0.11 | 0.00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 2, 3 분할 및 주식 배당을 위해 조정된 데이터.
- 수익성과 관련된 지표의 전반적인 추세
- 기본 주당순이익과 희석된 주당순이익 모두 2014년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2018년 이후에는 주요 수익성이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2014년의 각각 0.11달러와 0.11달러에서 2022년에는 각각 4.86달러와 4.84달러로 상승하였다. 이는 전년 대비 수익성 증가가 상당하며, 전반적인 수익성 개선이 회사의 성장과 수익 구조의 강화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 수익성 지표의 변동성과 안정성
- 2015년과 2016년 사이에 일부 완만한 성장을 보이다가 2017년부터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가며, 이후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지속적인 상승세가 나타난다. 특히, 2019년과 2020년 사이에는 희석된 EPS가 약간 감소하는 모습을 보여, 일시적인 수익성 변동 가능성이 존재한다. 그러나 전반적으로는 강한 상승 추세를 유지하고 있어, 재무 성과가 지속적으로 호전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 배당 정책에 대한 관점
- 2022년까지 배당금 지급 데이터가 누락되어 있어, 배당 정책 관련 구체적인 동향 분석은 어려우며, 회사의 배당 정책이 적극적이거나 정기적이지 않을 가능성도 시사된다. 향후 배당 정책이 발표될 경우, 수익성 증가와의 연관성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