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에서 2022년 사이에 현금 및 현금성자산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주며, 2022년 말 기준 2,177,889천 달러에서 2023년 말에는 1,508,101천 달러로 감소하였다. 특히 2022년에는 급격한 증가가 나타났으며, 이는 자산 유동성 강화를 목적으로 한 현금 보유 비중이 높아짐을 시사한다. 제한된 현금은 2023년부터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일부 현금이 제한된 형태로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다.
미수금, 순
2018년부터 2023년까지 미수금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2018년 31,412천 달러에서 2023년 59,763천 달러로 증가했으며, 이는 매출이나 채권 회수 활동의 활발함 또는 고객 신용 판매의 확대를 반영할 수 있다. 특히 2020년 이후 미수금 증가세가 지속되어 수금 능력 혹은 판매 전략에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해석 가능하다.
상품 재고
상품 재고는 2018년 527,026천 달러에서 2023년 801,841천 달러로 전반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21년에 일시적 감소 이후 다시 증가하여, 재고 수준이 높아졌음을 시사한다. 이는 재고 회전율 변화 또는 판매 전략 조정으로 볼 수 있으며, 향후 재고 관리의 효율성 검토가 필요할 수 있다.
유동 자산
유동 자산은 2018년 644,930천 달러에서 2022년 3,091,442천 달러로 크게 증가하였다. 2023년에는 다소 축소된 모습이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증가는 유동성 확보와 운영 자금의 확대를 의미하며, 기업의 단기 지급 능력과 재무 유연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로 볼 수 있다.
비유동 자산
비유동 자산은 2018년 1,087,936천 달러에서 2023년 2,796,625천 달러로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건설 중인 자산 및 설비투자 증가로 인해 규모가 확대되었으며, 기업이 장기적 성장과 미래 수익 창출을 위해 자산 포트폴리오를 확장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와 함께 무형 자산, 이연법인세 자산 등 다양한 비유동자산의 증대도 눈에 띄며, 기업의 자산 구조가 점차 장기적 성장을 지향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총 자산
총 자산은 2018년 1,732,866천 달러에서 2022년 5,540,470천 달러로 증가하였다가 2023년 5,309,289천 달러로 소폭 감소하였다. 이는 여러 자산 항목의 증가와 함께 자산 규모가 확장된 것을 보여주며, 기업의 자산 규모 확장 전략이 일부 조정 또는 재평가 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는 큰 폭의 자산 증대와 함께, 유동성과 비유동성 자산 모두의 강화를 통해 견고한 재무 구조를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