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 사용자를 위한 영역
무료 체험하기
이번 주에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Illumina Inc. 페이지:
데이터는 뒤에 숨겨져 있습니다.
이것은 일회성 지불입니다. 자동 갱신은 없습니다.
우리는 받아 들인다 :
손익 계산서
12개월 종료 | 수익 | 영업이익(손실) | Illumina 주주에게 귀속되는 순이익(손실) |
---|---|---|---|
2020. 12. 31. | |||
2019. 12. 29. | |||
2018. 12. 30. | |||
2017. 12. 31. | |||
2017. 1. 1. | |||
2016. 1. 3. | |||
2014. 12. 28. | |||
2013. 12. 29. | |||
2012. 12. 30. | |||
2012. 1. 1. | |||
2011. 1. 2. | |||
2010. 1. 3. | |||
2008. 12. 28. | |||
2007. 12. 30. | |||
2006. 12. 31. | |||
2006. 1. 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29), 10-K (보고 날짜: 2018-12-30),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7-01-01), 10-K (보고 날짜: 2016-01-03), 10-K (보고 날짜: 2014-12-28), 10-K (보고 날짜: 2013-12-29), 10-K (보고 날짜: 2012-12-30), 10-K (보고 날짜: 2012-01-01), 10-K (보고 날짜: 2011-01-02), 10-K (보고 날짜: 2010-01-03), 10-K (보고 날짜: 2008-12-28), 10-K (보고 날짜: 2007-12-30),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6-01-01).
제시된 데이터는 US$ 단위의 백만 달러로 기록된 16개의 시점 수치를 포함하며, 기간은 2006년에서 2020년까지의 연말 포인트를 주로 다룬다. 내부 보고서 형식의 시각으로 데이터에서 나타나는 흐름과 패턴을 중립적으로 요약한다.
- 수익
- 수익은 시작 시점 74에서 이후 연말 포인트들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2019년 말에 3,543로 정점에 이른 뒤 2020년 말에는 3,239로 소폭 하락했다. 기간 전반에 걸쳐 연간 증가가 비교적 안정적으로 나타났고, 2010년대 중반 이후의 증가폭이 특히 큰 구간이 multiple 있다. 이는 매출 규모가 장기간에 걸쳐 큰 폭으로 확장되었음을 시사한다.
- 영업이익(손실)
- 초기에는 흑자 전환이 나타났으나 2007년 말에 큰 손실(-301)이 발생했다. 이후 2008년 말에는 흑자(80)로 회복했고, 2010년대 초반부터 흑자 규모가 점진적으로 증가했다. 2014년 말 134에서 2016년 초 613으로 증가하며 높은 흑자 수준을 보였고, 2017년 말 606, 2018년 말 883, 2019년 말 985로 정점을 찍은 뒤 2020년 말에는 580으로 다소 축소됐다. 전 기간에 걸쳐 흑자 기조가 유지되었으나 특정 연도에는 큰 변동성을 보였다.
- Illumina 주주에게 귀속되는 순이익(손실)
- 순이익은 2006년 말 40으로 시작해 2007년 말 -278의 심한 적자를 기록하는 등 변동성이 컸다. 이후 2010년대 전반에 걸쳐 점진적으로 개선되었고, 2014년 말 353, 2016년 말 462, 2017년 말 463, 2018년 말 826, 2019년 말 1,002로 증가하여 높은 수준의 이익을 달성했다. 2020년 말에는 656으로 감소했으나 여전히 양의 값을 유지한다. 전 기간에 걸쳐 성장 흐름이 뚜렷하며, 특히 2017년 이후의 상승 폭이 큰 편이다.
대차 대조표: 자산
유동 자산 | 총 자산 | |
---|---|---|
2020. 12. 31. | ||
2019. 12. 29. | ||
2018. 12. 30. | ||
2017. 12. 31. | ||
2017. 1. 1. | ||
2016. 1. 3. | ||
2014. 12. 28. | ||
2013. 12. 29. | ||
2012. 12. 30. | ||
2012. 1. 1. | ||
2011. 1. 2. | ||
2010. 1. 3. | ||
2008. 12. 28. | ||
2007. 12. 30. | ||
2006. 12. 31. | ||
2006. 1. 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29), 10-K (보고 날짜: 2018-12-30),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7-01-01), 10-K (보고 날짜: 2016-01-03), 10-K (보고 날짜: 2014-12-28), 10-K (보고 날짜: 2013-12-29), 10-K (보고 날짜: 2012-12-30), 10-K (보고 날짜: 2012-01-01), 10-K (보고 날짜: 2011-01-02), 10-K (보고 날짜: 2010-01-03), 10-K (보고 날짜: 2008-12-28), 10-K (보고 날짜: 2007-12-30),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6-01-01).
제공된 연간 재무 데이터의 패턴과 변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데이터는 달러 단위 백만 달러로 제시되며, 일부 기간은 누락되어 있어 연속 비교에 주의가 필요하다. 전체 자산은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확대되었고, 유동 자산은 특히 2017년 말 이후 급격한 증가를 보이며 총자산의 증가 속도보다 더 큰 폭의 변화를 나타냈다.
- 전반적 성장 동향
- 2006년 초 시작가 101에서 2020년 말 7,585로 증가하여 총자산은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확대되었다. 2016년 이후에는 가파른 상승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2017년 말 총자산은 4,281에서 2018년 말 6,959로 큰 폭으로 증가했다. 이후 2019년 말 7,585로 마감하며 상승 흐름이 유지되었다. 이 기간의 연간 규모 증가는 약 75배 증가에 해당하며, 연평균 성장률은 대략 36%대 수준으로 추정된다. 다만 일부 기간의 값 누락으로 해석에 주의가 필요하다.
- 유동 자산의 흐름
- 유동 자산은 2006년 80에서 시작해 2008년 말 865까지 증가했고, 2010년대 초반에도 점진적으로 상승했다(예: 2010년 982, 2011년 1258, 2012년 1545, 2014년 1890). 2016년 말 2,097, 2017년 말 2,318로 증가하였고, 2018년 말에는 급격히 4,490으로 상승했다. 이후 2019년 말 4,451, 2020년 말 4,483로 다소 안정화되었다. 총자산 대비 유동 자산의 비중은 2016년 말 약 57%, 2017년 말 약 54%, 2018년 말 약 61%로 상승했다. 이러한 변화는 현금성 자산 또는 단기 금융자산의 증가를 시사한다.
- 총 자산의 흐름
- 총 자산은 연간 증가 추세를 지속했고, 특히 2016년 말부터 2018년 말까지 가파른 확장을 보였다. 2016년 말 3,688에서 2017년 말 4,281, 2018년 말 6,959로 크게 증가한 뒤 2019년 말 7,585로 마무리되었다. 2017~2018년 구간의 증가가 전체 자산의 상승을 주도한 것으로 보인다.
- 패턴의 요약과 시사점
- 전반적으로 자산 규모의 증가가 뚜렷하며, 특히 2017~2018년 사이 유동 자산의 큰 증가가 총자산 증가를 크게 견인했다. 2018년 이후 유동 자산의 비중은 다소 변동을 보였으나 2019~2020년에는 약 58~59% 수준으로 안정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누락된 기간이 존재하므로 비연속 시계열로의 해석에 주의가 필요하다.
대차 대조표: 부채 및 주주 자본
유동부채 | 장기 부채 | Illumina 주주 지분 | |
---|---|---|---|
2020. 12. 31. | |||
2019. 12. 29. | |||
2018. 12. 30. | |||
2017. 12. 31. | |||
2017. 1. 1. | |||
2016. 1. 3. | |||
2014. 12. 28. | |||
2013. 12. 29. | |||
2012. 12. 30. | |||
2012. 1. 1. | |||
2011. 1. 2. | |||
2010. 1. 3. | |||
2008. 12. 28. | |||
2007. 12. 30. | |||
2006. 12. 31. | |||
2006. 1. 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29), 10-K (보고 날짜: 2018-12-30),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7-01-01), 10-K (보고 날짜: 2016-01-03), 10-K (보고 날짜: 2014-12-28), 10-K (보고 날짜: 2013-12-29), 10-K (보고 날짜: 2012-12-30), 10-K (보고 날짜: 2012-01-01), 10-K (보고 날짜: 2011-01-02), 10-K (보고 날짜: 2010-01-03), 10-K (보고 날짜: 2008-12-28), 10-K (보고 날짜: 2007-12-30),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6-01-01).
해당 기간의 재무 항목별 추세는 다음과 같이 관찰된다. 세 가지 항목은 모두 US$ 백만 단위로 표기되며, 기간 중 일부 구간에서 큰 변동성과 뚜렷한 방향 전환이 나타난다. 전반적으로 주주 지분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유동부채는 강한 변동성으로 특징지어지며, 장기 부채는 2010년대 중반 이후 증가했다가 2018년 정점 이후 다소 감소하는 흐름을 보였다. 각 항목의 구체적 패턴은 아래에 요약된다.
- 유동부채
- 초기에는 소폭 증가하다가 2007~2008년 사이에 급격히 상승했다(2006년 22→2008년 510). 이후 2010년대 중반에 재차 변동이 나타났으며 2012년에는 238로 감소하는 등 단기간의 하락도 관찰된다. 2014년에는 722로 다시 크게 증가했고, 2016년 초에는 610으로 하락했다가 2017년 말 746, 2018년 말에 1,804로 급등하는 등 큰 변동성이 지속되었다. 2019년에는 665로 급락했고 2020년 말에는 1,244로 회복되며 2018년의 최고치에는 미치지 못하는 수준으로 남아 있다. 전 기간에 걸쳐 큰 상승 구간과 급격한 하락 구간이 번갈아 나타나며, 단기 유동성 관리나 운전자본의 변화가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 장기 부채
- 처음에는 0에서 시작하여 2007~2008년 사이에 400으로 증가하는 초기 흐름이 나타난다. 2010년대 초반에는 290~312로 비교적 안정적이었으나 2012년대에 들어서는 807~842로 빠르게 증가했고, 2014년에는 1,291로 급격히 확대되었다. 이후 2016년 1,100으로 소폭 감소한 뒤 2017년 1,272, 2018년 1,336에서 다시 1,997로 정점에 이른다. 2019년에는 1,141로 감소하고, 2020년에는 1,184로 다소 반등하는 양상을 보인다. 전반적으로 장기 부채는 2010년대 중반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흐름을 보이다가 2018년 이후 일부 상환 및 재구성을 반영하는 듯한 감소를 나타낸다.
- 주주 지분
- 2006년 72에서 시작해 2006년 말 247, 2007년 412, 2008년 849로 빠르게 증가했다. 2010년대 초반에는 864로 소폭 증가를 지속하다가 2011년에는 1,198로 정점에 이르고, 2012년에는 1,075로 약간 감소했다. 이후 2013년 1,319, 2014년 1,533으로 회복하며 상승세를 이어갔고, 2016년에는 1,463으로 소폭 하락했다가 2017년 1,849, 2017년 말 2,197로 상승 폭이 확대된다. 2018년 2,749, 2019년 3,758, 2020년 4,694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상당한 축적을 보여준다. 이러한 흐름은 누적 이익의 증가와 외부 자본 유입의 효과로 해석될 수 있으며, 2011년 이후의 회복세가 2014년~2018년 구간의 가파른 상승을 주도한 것으로 보인다.
현금 흐름표
12개월 종료 | 영업활동으로 제공된(사용된) 순현금 | 투자 활동으로 제공된 순현금(사용) | 재무활동으로 제공된(사용된) 순현금 |
---|---|---|---|
2020. 12. 31. | |||
2019. 12. 29. | |||
2018. 12. 30. | |||
2017. 12. 31. | |||
2017. 1. 1. | |||
2016. 1. 3. | |||
2014. 12. 28. | |||
2013. 12. 29. | |||
2012. 12. 30. | |||
2012. 1. 1. | |||
2011. 1. 2. | |||
2010. 1. 3. | |||
2008. 12. 28. | |||
2007. 12. 30. | |||
2006. 12. 31. | |||
2006. 1. 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29), 10-K (보고 날짜: 2018-12-30),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7-01-01), 10-K (보고 날짜: 2016-01-03), 10-K (보고 날짜: 2014-12-28), 10-K (보고 날짜: 2013-12-29), 10-K (보고 날짜: 2012-12-30), 10-K (보고 날짜: 2012-01-01), 10-K (보고 날짜: 2011-01-02), 10-K (보고 날짜: 2010-01-03), 10-K (보고 날짜: 2008-12-28), 10-K (보고 날짜: 2007-12-30),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6-01-01).
- 영업활동으로 제공된(사용된) 순현금
- 해당 기간의 영업활동으로 제공된 순현금 흐름은 초기에는 마이너스에서 시작해 점차 양의 흐름으로 회복되며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2006년 1월 1일의 마이너스 값에서 시작하여 2006년 말 39, 2007년 말 56, 2008년 말 88로 상승했고 2010년 초에는 174, 2011년 초에는 273에 이르렀다. 2012년 초에는 358로 정점에 근접했으나 연말에는 292로 소폭 하락했다. 이후 2013년 386, 2014년 501로 다시 상승했고 2016년 660, 2017년 687로 증가하다가 2017년 말에는 875에 도달했다. 2018년에는 1142로 정점에 가까운 수치를 기록했고, 2019년에는 1051로 소폭 하락했으며 2020년에는 1080으로 다시 상승해 비교적 높은 수준에서 유지되었다.
- 투자 활동으로 제공된 순현금(사용)
- 투자 활동으로 제공된 순현금 흐름은 전 기간에 걸쳐 주로 음수인 흐름이 지속되었다. 초기에는 2006년 말 -161로 악화되었고 2007년 -68, 2008년 -277, 2010년 -256, 2011년 -285, 2012년 초 -401로 큰 음의 흐름이 나타났다. 2012년 말에는 -150으로 다소 개선되었으며 2013년 -70, 2014년 -407로 다시 큰 음의 흐름이 이어졌다. 2016년 -106, 2017년 -515, 2017년 말 -214로 음의 흐름이 지속되었고 2018년에는 -1813으로 가장 큰 규모의 현금 유출이 발생했다. 2019년에는 현금 유입이 +745로 급반전했고, 2020년에는 -554로 다시 음의 흐름이 강화되었다. 전 기간에 걸친 대체로 큰 규모의 자본 지출과 자산 매매 활동이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 재무활동으로 제공된(사용된) 순현금
- 재무활동으로 제공된 순현금 흐름은 초기에는 양수 또는 증가를 보이며 자금 조달의 흐름이 다소 활발하였으나 이후에는 지속적으로 음의 흐름으로 전환되는 경향이 관찰된다. 2006년 초반에는 6에서 시작해 2006년 말 109, 2007년 148, 2008년 338까지 증가하였다. 그러나 2010년에는 -99로 하락했고 2011년 116, 2012년 97로 소폭 회복되었다가 2012년 말에는 -11, 2013년 -39, 2014년 -167로 연속적인 음의 흐름이 나타났다. 2016년 -419, 2017년 -205, 2017년 말 -176에서도 음의 흐름이 지속되었다. 2018년에는 +594로 크게 개선되었으나 2019년에는 -897, 2020년에는 -766으로 다시 큰 음의 흐름으로 전환되었다. 이러한 흐름은 주로 배당 지급, 자사주 매입, 차입 상환 등 재무활동의 자금 재배치와 관련된 변화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주당 데이터
12개월 종료 | 기본 주당순이익1 | 희석된 주당순이익2 | 주당 배당금3 |
---|---|---|---|
2020. 12. 31. | |||
2019. 12. 29. | |||
2018. 12. 30. | |||
2017. 12. 31. | |||
2017. 1. 1. | |||
2016. 1. 3. | |||
2014. 12. 28. | |||
2013. 12. 29. | |||
2012. 12. 30. | |||
2012. 1. 1. | |||
2011. 1. 2. | |||
2010. 1. 3. | |||
2008. 12. 28. | |||
2007. 12. 30. | |||
2006. 12. 31. | |||
2006. 1. 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29), 10-K (보고 날짜: 2018-12-30),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7-01-01), 10-K (보고 날짜: 2016-01-03), 10-K (보고 날짜: 2014-12-28), 10-K (보고 날짜: 2013-12-29), 10-K (보고 날짜: 2012-12-30), 10-K (보고 날짜: 2012-01-01), 10-K (보고 날짜: 2011-01-02), 10-K (보고 날짜: 2010-01-03), 10-K (보고 날짜: 2008-12-28), 10-K (보고 날짜: 2007-12-30),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6-01-01).
1, 2, 3 분할 및 주식 배당을 위해 조정된 데이터.
주어진 연간 재무 데이터는 두 종류의 주당순이익(EPS)과 배당금 항목으로 구성되며, 단위는 미국 달러로 표기된다. 기간은 2006년 초부터 2020년 말까지의 시계열로 제시되어 있으며, 배당금 항목은 빈 값으로 누락되어 있다.
두 EPS 시계열은 초기 구간의 변동성을 거친 뒤 양의 값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가는 경향을 보인다. 기본 EPS는 2006년 초에 -0.26에서 점차 회복되어 2007년에는 -2.57로 다시 하락한 뒤, 2008년 이후로 양의 값으로 전환되며 2010년대 중반까지 상승세를 이어간다. 2014년 2.61, 2016년 3.19를 거쳐 2017년 말에 4.96까지 상승했고, 2018년 5.63, 2019년 6.81로 최고치를 기록한 후 2020년 4.48로 다소 감소했다.
희석 주당순이익도 기본 EPS와 유사한 방향성을 보이나 대체로 약간 낮은 값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초기에는 기본과 같은 값을 보였으나(2006년), 이후에는 2008년 0.38, 2010년대 초반에 0.53~0.87 수준으로 차이가 나타난 뒤, 2014년 2.37, 2016년 3.10, 2019년 말 6.74, 2020년 말 4.45로 역시 상승 followed by 하향 조정이 나타난다. 전 기간에 걸쳐 기본 EPS보다 약간 낮은 수준으로 기록되는 점이 관찰된다.
- 기본 주당순이익의 장기적 추세
- 음수였던 시기가 있었지만 2010년대 초반부터 양의 값으로 전환되며 장기적으로 증가하는 흐름이 확인된다. 2014년 이후 상승 폭이 커졌고, 2019년 말에는 최고치에 근접했다. 다만 2020년에는 비교적 감소가 나타났다.
- 희석 주당순이익의 장기적 추세
- 대체로 기본 EPS의 방향과 일치하되, 약간 낮은 수치를 보이는 경향이 지속된다. 2006년을 제외하고는 차이가 미세하지만 존재하며, 2019년 말에는 6.74로 상승했고 2020년 말에는 4.45로 하향 조정되었다.
- 배당금 현황
- 배당금 항목의 값이 모든 기간에서 비어 있어, 배당 지급 여부나 규모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없다.
- 패턴 간 비교 및 시사점
- 두 EPS 시계열은 유사한 방향으로 움직이며, 희석 EPS가 일반적으로 기본 EPS보다 작다. 이는 주당 이익의 희석 효과를 반영하는 일반적 경향으로 해석될 수 있다. 2019년 말까지의 상승은 이익 창출력의 확장 가능성을 시사하지만, 2020년의 하향 조정은 단기적 요인이나 이익의 정상화 가능성을 시사할 수 있다. 배당금 정보의 부재로 인해 배당 정책 변화 여부에 대한 직접적 해석은 불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