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차 대조표의 구조 : 자산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06-30), 10-K (보고 날짜: 2022-06-30), 10-K (보고 날짜: 2021-06-30), 10-K (보고 날짜: 2020-06-30), 10-K (보고 날짜: 2019-06-30), 10-K (보고 날짜: 2018-06-30).
- 유동자산 구성 및 변화
- 2018년부터 2023년까지 분석할 때, 유동자산의 비중이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특히 2019년과 2022년 이후에 상승하는 경향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2018년에 약 49.08%였던 유동자산의 비중은 2019년 이후 다소 증가하였다가, 2023년에는 약 39.03%로 하락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이 추세는 회사가 유동성 확보를 위해 일부 자산을 장기 자산으로 전환하거나, 유동성 관리를 조정하는 전략을 취했음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 현금 및 단기투자 현황
-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2018년 17.35%, 2019년 22.7%, 2020년 28.24%까지 늘어난 후, 2021년 이후에는 각각 22.57%, 18.92%, 17.21%로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줍니다. 단기 투자는 2018년에만 언급되었으며, 이후 데이터에서 확인되지 않아 기록이 불완전하나, 전체적으로 현금 및 단기 유동성 자산을 조정하는 전략이 수행되었음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 미수금, 재고 및 유동자산 비중 변화
- 미수금은 2018년 11.83%에서 2020년 6.72%로 낮아졌다가, 이후 2021년과 2022년에 약 7.75%, 7.79%를 유지하며 안정세를 보입니다. 이는 고객 채권 회수 및 신용 정책의 안정화 또는 변화에 따른 결과일 수 있습니다. 반면, 재고 및 판촉 상품은 2019년 15.25%에서 2022년 13.96%로 다소 감소하거나 유지되고 있어, 재고관리에 대해 보수적이거나 효율적으로 전환했음을 시사합니다.
- 비유동자산의 증가와 구성 변화
- 2020년부터 2023년까지 비유동자산은 총 자산의 약 50%에서 60%까지 증가하며, 2023년에는 60.97%로 나타나 비유동자산의 비중이 점차 증가하는 경향이 두드러집니다. 재산, 식물 및 장비, 기타 무형 자산, 유작 사용권 자산 등 다양한 항목에서 비중 변화가 두드러지는데, 특히 기타 무형 자산이 2018년 10.15%에서 2023년 23.92%로 크게 늘어난 점은 브랜드 가치 또는 지적재산권 등 무형 자산에 대한 투자가 활발히 이루어졌음을 보여줍니다.
- 기타 자산의 비중 증가
- 기타 자산은 2018년 10.93%에서 2023년 5.18%로 일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면서도, 2020년 이후 다시 4.57%에서 5.18%로 회복되어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 항목의 변동은 기타 유형의 자산에 대한 재평가 또는 신규 자산 취득을 암시할 수 있으며, 전체 자산 구성에서 비중이 낮은 편이지만 꾸준히 유지되고 있습니다.
- 전반적인 자산구조의 추세
- 전체적으로, 비유동자산의 비중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반면, 유동자산의 비중은 감소하는 양상을 보여줍니다. 이는 회사가 장기적 성장과 자산 구조의 안정성을 도모하는 방향으로 자산 포트폴리오를 조정하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으며, 특히 무형 자산과 유형 자산에 대한 투자가 확대되는 모습은 브랜드 또는 지적재산권 강화를 위한 전략적 투자임을 시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