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 사용자를 위한 영역
무료 체험하기
이번 주에 무료로 제공되는 O’Reilly Automotive Inc. 페이지:
데이터는 뒤에 숨겨져 있습니다.
이것은 일회성 지불입니다. 자동 갱신은 없습니다.
우리는 받아 들인다 :
손익 계산서
12개월 종료 | 영업 | 영업이익 | 순수입 |
---|---|---|---|
2021. 12. 31. | |||
2020. 12. 31.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
2012. 12. 31. | |||
2011. 12. 31. | |||
2010. 12. 31. | |||
2009. 12. 31. | |||
2008. 12. 31. | |||
2007. 12. 31. | |||
2006. 12. 31. | |||
2005.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다음 요약은 주어진 기간 동안의 손익 데이터를 바탕으로 내부 보고서 형식의 추세를 분석한 것이다. 단위는 US$ 천이며, 매출 및 이익 수치는 연말 기준이다. 빈 값은 누락된 데이터로 간주된다.
- 매출 추세 및 규모 확장
- 2005년 약 2.05십억 달러에서 시작해 2021년 약 13.33십억 달러로 증가하면서 지속적으로 규모가 확장되었다. 매년 값이 증가하는 일관된 증가 흐름이 관찰되며, 특히 2008년 이후의 증가 폭이 확대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2005년 대비 2021년의 매출은 약 6.5배 성장했고, 기간 동안 연평균 성장률은 대략 12~13% 범위에 근접한 것으로 보인다.
- 영업이익 추세 및 마진
- 영업이익은 2005년 약 0.253십억 달러에서 시작해 2021년 약 2.92십억 달러로 크게 증가했다. 매출 대비 영업이익 마진은 초기 약 12%대에서 시작하여 점차 개선되었고, 2010년대 중반 이후에는 약 19%대에서 2020년대에 이르러 21% 내외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흐름이 나타난다. 이는 매출 증가와 더불어 비용 관리 및 운영 효율성 개선이 병행되었음을 시사한다.
- 순이익 추세 및 수익성 변화
- 순이익은 2005년 약 0.164십억 달러에서 시작해 2020년 약 2.165십억 달러로 증가했다. 초기에는 매출 대비 순이익 마진이 낮았으나, 2009년 이후 마진이 크게 개선되며 2010년대 말까지 상승세를 이어갔다. 2019~2020년에는 순이익이 크게 증가했고, 2021년 데이터는 누락되어 확인이 불가하다.
- 영업이익과 순이익의 관계 및 시사점
- 전반적으로 영업이익의 성장 폭이 매출 증가를 상회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순이익 역시 운영이익의 흐름을 따라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기간 중반 이후 수익성 지표가 개선되었고, 특히 2019년 이후의 구간에서 이익 품질이 높아지는 경향이 확인된다. 다만 2021년 순이익 수치가 누락되어, 최종적인 순이익 마진의 최신 상태를 완전히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 데이터 한계 및 주의사항
- 2021년 순이익 값은 누락되어 있어 최근 해의 순이익 수준과 마진을 완전히 확인하기 어렵다. 또한 표에 제시된 수치만으로는 원가 구성의 변화나 비정상적 손익 요소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으므로, 보완 데이터를 통한 재확인이 필요하다.
대차 대조표: 자산
유동 자산 | 총 자산 | |
---|---|---|
2021. 12. 31. | ||
2020. 12. 31.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
2012. 12. 31. | ||
2011. 12. 31. | ||
2010. 12. 31. | ||
2009. 12. 31. | ||
2008. 12. 31. | ||
2007. 12. 31. | ||
2006. 12. 31. | ||
2005.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해당 기간의 두 자산 항목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고, 특정 시점에 급격한 확장이 나타났다. 2005년 말 대비 2021년 말의 총 자산은 크게 성장했고, 유동 자산 역시 같은 기간 증가했다. 이로써 자산 규모의 확장이 지속되었으며, 비유동 자산의 증가 가능성도 시사된다.
유동 자산은 2005년 910,655천 달러에서 2007년 1,102,304천 달러로 증가한 뒤 2008년 1,875,433천 달러로 급증했다. 이후 2009년부터 2014년까지는 점진적인 증가를 보였고, 2019년 말 3,833,662천 달러에서 2020년 4,499,787천 달러로 큰 폭으로 상승한 뒤 2021년에는 4,504,262천 달러로 소폭 증가했다. 이러한 패턴은 운전자본의 확충과 재고나 현금성 자원의 확대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총 자산은 2005년 1,713,899천 달러에서 2008년 4,193,317천 달러로 급격히 증가했고, 이후 2009년~2014년 사이에는 비교적 완만하게 상승했다. 2019년 말에 10,717,160천 달러로 급등했고, 2020년 11,596,642천 달러로 추가 상승한 뒤 2021년 11,718,707천 달러로 소폭 증가했다. 이는 자산 구성의 규모가 크게 확대되었고, 비유동 자산의 증가 역시 동반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유동 자산이 차지하는 비율은 초기 약 0.53 수준에서 점차 하락해 2020년대에는 약 0.38~0.39로 낮아졌다. 이는 총자산의 증가 속도가 유동 자산보다 더 빨랐음을 시사하며, 2019년에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구간도 확인된다. 2014년에서 2015년 사이에는 유동 자산이 소폭 감소하기도 했다.
- 관찰 요약
- 총 자산은 2007-2008년에 급격히 증가했고, 2019년 이후에도 큰 폭으로 확장되었다. 유동 자산 역시 같은 기간에 증가했으나, 총 자산의 성장 속도에 비해 다소 완만한 경향을 보였다. 2014-2015년 사이 CA의 소폭 감소가 나타났으며, 2019-2021년 구간에 걸쳐 두 자산 모두 증가세가 재차 강화되었다.
- 비율적 해석 포인트
- 유동 자산이 차지하는 비율은 기간 내내 하락 추세를 보였으며, 이는 총자산의 확대가 주로 비유동 자산의 증가와 연결되었음을 시사한다. 다만 2019년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CA/TA 비율이 관찰되며, 그 시점에 유동 자산의 상대적 중요도가 일시적으로 증가했다.
- 연도별 특징 요약
- 2008년의 급격한 자산 확장, 2019년의 대폭적 증가, 2020년의 지속적 증가가 주요 특징으로 나타난다. 또한 2014-2015년에 소폭 감소가 관찰되며, 이후 재차 상승으로 전환되었다.
대차 대조표: 부채 및 주주 자본
유동부채 | 장기 부채 | 주주자본(적자) | |
---|---|---|---|
2021. 12. 31. | |||
2020. 12. 31.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
2012. 12. 31. | |||
2011. 12. 31. | |||
2010. 12. 31. | |||
2009. 12. 31. | |||
2008. 12. 31. | |||
2007. 12. 31. | |||
2006. 12. 31. | |||
2005.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다음 분석은 제공된 연도별 재무 지표에서 나타난 추세를 바탕으로 내부 보고서를 요약하는 형식으로 정리된다. 수치는 US$ 천 단위로 표기되어 있으며 빈 값은 누락 데이터를 의미한다. 전체 기간은 2005년부터 2021년까지의 연말 데이터를 포함한다.
- 유동부채
-
2005년에서 2006년 사이 소폭 감소한 뒤 2007년까지 상승 흐름을 보이다가 2008년 이후 급격히 증가했다. 2008년 1,053,501천에서 2009년 1,231,375천으로도 높았고, 2010년에는 1,228,958천으로 소폭 안정된 모습을 보였다. 2011년 이후 1,580,010천으로 증가를 재개했고, 2012년 2,272,865천, 2013년 2,423,010천, 2014년 2,830,556천으로 연속 상승했다. 2015년 3,046,398천, 2016년 3,640,649천으로 증가폭이 커졌으며 2017년 3,647,366천으로 소폭 완만한 증가를 보였다. 2018년 3,894,020천, 2019년 4,469,427천으로 상승폭이 확대되고, 이후 2020년 5,264,615천, 2021년 5,874,615천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전 기간에 걸쳐 단기 부채의 규모가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명확히 나타난다. 이러한 흐름은 운전자본 관리의 중요성과 단기 유동성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필요성을 시사한다.
- 장기 부채
-
초기에는 비교적 낮은 수준에서 변동하다가 2008년 이후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2005년 100,774천에서 2008년 732,695천으로 큰 폭으로 상승했고 2009년 790,748천으로 일부를 더했다가 2010년에는 358,704천으로 감소했다. 2011년 797,574천으로 상승을 재개했고 2012년 1,095,956천, 2013년 1,396,208천으로 증가했다. 2014년 1,396,640천으로 거의 안정화된 뒤 2015년 1,390,018천으로 소폭 하락했다. 2016년 1,887,019천으로 다시 상승했고 2017년 2,977,390천으로 급격히 증가했다. 2018년 3,417,122천, 2019년 4,120,527천, 2020년 4,123,217천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했으며 2021년에는 3,826,978천으로 다소 감소했다.
장기 부채의 흐름은 2010년대 중반 이후 차입이 확대되면서 자본구조가 확장된 모습을 나타낸다. 최고점은 2020년대 초반에 형성되었다가 2021년 다소 축소되었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 주주자본(적자)
-
주주자본은 2005년 1,145,769천으로 시작해 2010년대 초반까지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가 2011년 2,844,851천으로 감소하기 시작했다. 2012년 2,108,307천, 2013년 1,966,321천으로 하향 흐름을 보였고 2014년 2,018,418천으로 소폭 반등했다. 2015년 1,961,314천로 감소를 지속했고 2016년 1,627,136천으로 낮아졌다. 2017년 653,046천으로 급락했고 2018년 353,667천, 2019년 397,340천, 2020년 140,258천으로 점차 축소되었다. 2021년에는 -66,423천으로 마이너스로 전환되었다.
자본은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특히 2017년 이후 큰 폭으로 감소했다. 2021년에는 순자본이 마이너스로 전환되었다는 점은 누적된 이익잉여금의 감소와 외부 자본 조달의 증가에 따른 자본 구조 악화를 시사한다.
종합적으로 보면, 해당 기간 동안 단기 채무의 비중이 증가하고 장기 차입이 확산되었으며, 순자본은 지속적으로 축소되어 2021년에 이르러 자본 구조가 크게 악화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패턴은 레버리지의 증가와 자본의 축소를 통해 재무적 안정성에 대한 우려를 시사한다.
현금 흐름표
12개월 종료 |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 제공 | 투자 활동에 사용된 순현금 | 재무활동으로 제공된(사용된) 순현금 |
---|---|---|---|
2021. 12. 31. | |||
2020. 12. 31.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
2012. 12. 31. | |||
2011. 12. 31. | |||
2010. 12. 31. | |||
2009. 12. 31. | |||
2008. 12. 31. | |||
2007. 12. 31. | |||
2006. 12. 31. | |||
2005.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해당 데이터 세트의 세 가지 현금 흐름 항목은 서로 다른 시간대에 뚜렷한 방향성을 보이며, 운영 능력의 변화와 자본 배분 방식의 변화를 함께 시사한다. 운영활동으로 인한 순현금 제공은 전반적으로 증가 추세를 띠고 있으며, 2010년 이후 급격한 성장세가 두드러진다. 투자활동에 사용된 순현금은 연차적으로 음수로 나타나 지속적인 현금 유출을 보여 주며, 2019년 정점을 기록한 뒤 2020~2021년에는 다소 완화된 흐름을 보인다. 재무활동으로 제공된(또는 사용된) 순현금은 2005년대 중반까지 양의 흐름으로 시작하다가 2010년대 초반 이후 강한 음수로 전환되어, 자금조달 활동이 현금의 대규모 유출을 견인하는 구조를 형성한다.
-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 제공 추세
- 초반에는 연간 수치가 비교적 낮은 편이나 2010년대 초중반에 급격히 증가하며 안정적 성장 구간으로 진입한다. 2010년 703,687에서 2011년 1,118,991로 급증하고, 2012년 1,251,555를 거쳐 2013년 908,026으로 소폭 하락하는 등 단기 변동은 있었으나 2014년 1,190,430, 2015년 1,281,476, 2016년 1,454,167로 재차 상승하며 2017년 1,408,687로 소폭 감소 후 2018년 1,727,555, 2019년 1,708,479로 다시 확대된다. 2020년에는 2,836,603으로 대폭 증가하고 2021년에는 3,207,310까지 상승하며 전체 기간 중 최대치를 기록한다.
- 투자활동에 사용된 순현금 추세
- 연간 값은 모두 음수로 나타나 지속적인 현금 유출을 반영한다. 초기에는 -269,073에서 시작해 점진적으로 음의 규모가 확대되다가 2010년대 중반에 -351,277, 2012년 -317,407 등으로 변동하다가 2019년 -796,746로 최대치에 근접한다. 이후 2020년 -614,895, 2021년 -615,620으로 소폭 축소되거나 유지되며, 대체로 높은 수준의 투자활동 현금유출이 지속된다.
- 재무활동으로 제공된(사용된) 순현금 추세
- 2005년대 중반까지 양수로 시작해 2009년까지 소폭 증가한 뒤, 2010년부터 크게 음수로 전환된다. 2010년 -349,624를 시작으로 2011년 -467,507, 2012년 -1,047,572 등으로 급격한 유출이 발생하며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음수 폭이 확대된다. 2013년 -536,082, 2014년 -747,786, 2015년 -1,008,547, 2016년 -894,774, 2017년 -1,039,714, 2018년 -1,028,286, 2019년 -902,811로 나타났다. 2020년 -1,796,577, 2021년 -2,694,858로 가장 큰 음수 규모를 기록하며, 자금조달 활동이 현금 흐름에 큰 부정적 영향을 지속적으로 행사하는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주당 데이터
12개월 종료 | 기본 주당순이익1 | 희석된 주당순이익2 | 주당 배당금3 |
---|---|---|---|
2021. 12. 31. | |||
2020. 12. 31.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
2012. 12. 31. | |||
2011. 12. 31. | |||
2010. 12. 31. | |||
2009. 12. 31. | |||
2008. 12. 31. | |||
2007. 12. 31. | |||
2006. 12. 31. | |||
2005.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1, 2, 3 분할 및 주식 배당을 위해 조정된 데이터.
다음 분석은 연간 데이터에서 관찰된 패턴과 변화에 초점을 맞춰, 내부 보고서 형식으로 요약한다. 주당순이익의 기본 및 희석 지표가 주된 관찰 대상이며, 주당 배당금 항목은 데이터가 비어 있어 해석이 불가하다. 모든 수치는 미국 달러를 단위로 하며, 연도는 12월 말 기준이다.
- 기본 주당순이익
- 2005년 1.47에서 시작해 2008년 소폭 하락한 뒤 2009년부터 꾸준히 증가하기 시작했다. 2012년 이후 상승세가 가팔라지며 2013년 6.14, 2014년 7.46, 2015년 9.32, 2016년 10.87, 2017년 12.82로 연도별 증가가 지속됐다. 이후 2018년 16.27, 2019년 18.07, 2020년 23.74, 2021년 31.39로 급격한 성장을 기록했다. 2008년의 소폭 감소를 제외하면 전 기간에 걸쳐 상승 추세가 유지되었고, 기간 말단의 수치는 시작 시점 대비 크게 상승했다. 약 16년 간의 변화 흐름을 통해 연평균 성장률이 높게 나타나며, 말년에 이르는 수치의 상승폭이 두드러진다.
- 희석된 주당순이익
- 2005년 1.45에서 시작해 2008년 1.48로 소폭 하락한 뒤, 2009년 이후 연속적으로 증가했다. 2012년 4.75, 2013년 6.03, 2014년 7.34, 2015년 9.17, 2016년 10.73, 2017년 12.67, 2018년 16.10으로 상승했고, 2019년 17.88, 2020년 23.53, 2021년 31.10으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기본 EPS와 유사한 흐름을 보이며 2008년 이후 상승폭이 큰 편이고, 기간 말단으로 갈수록 두 지표 간 차이가 줄어드는 경향이 관찰된다. 전반적으로 이익창출의 개선이 지속적으로 반영되며, 주요 상승 구간은 2012년 이후에 집중된다.
- 주당 배당금
- 데이터가 비어 있어 분석이 불가능하다. 배당정책의 방향성이나 실제 지급액의 추이를 파악하려면, 향후 공시 자료의 배당 관련 항목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