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해 ROE 는 순이익을 주주 자본으로 나눈 값을 구성 요소 비율의 곱으로 표현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ROE 두 가지 구성 요소로 세분화
보고서 기준: 10-Q (보고 날짜: 2022-10-29), 10-Q (보고 날짜: 2022-07-30), 10-Q (보고 날짜: 2022-04-30), 10-K (보고 날짜: 2022-01-29), 10-Q (보고 날짜: 2021-10-30), 10-Q (보고 날짜: 2021-07-31), 10-Q (보고 날짜: 2021-05-01), 10-K (보고 날짜: 2021-01-30), 10-Q (보고 날짜: 2020-10-31), 10-Q (보고 날짜: 2020-08-01), 10-Q (보고 날짜: 2020-05-02), 10-K (보고 날짜: 2020-02-01), 10-Q (보고 날짜: 2019-11-02), 10-Q (보고 날짜: 2019-08-03), 10-Q (보고 날짜: 2019-05-04), 10-K (보고 날짜: 2019-02-02), 10-Q (보고 날짜: 2018-11-03), 10-Q (보고 날짜: 2018-08-04), 10-Q (보고 날짜: 2018-05-05), 10-K (보고 날짜: 2018-02-03), 10-Q (보고 날짜: 2017-10-28), 10-Q (보고 날짜: 2017-07-29), 10-Q (보고 날짜: 2017-04-29), 10-K (보고 날짜: 2017-01-28), 10-Q (보고 날짜: 2016-10-29), 10-Q (보고 날짜: 2016-07-30), 10-Q (보고 날짜: 2016-04-30).
- 자산수익률비율 (ROA)
- 전반적으로 기간 동안 점진적인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2019년까지 안정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2020년 이후에는 일부 하락세를 보였으나, 2021년 초반에는 다시 상승하는 모습이 관찰된다. 특히 2016년 후반부터 2022년까지의 데이터 흐름은 회사가 자산을 활용한 수익 창출 효율이 일정 기간 개선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2022년 들어서는 점차 하락하는 추세도 눈에 띈다.
- 재무 레버리지 비율
- 이 비율은 전체 기간 동안 비교적 안정된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작은 변동성을 보이고 있다. 특히 2016년 이후로 2를 약간 상회하거나 하회하는 범위 내에서 움직였으며, 2020년 이후 조금씩 상승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는 회사의 부채 비중이 점차 늘어나거나 재무구조가 조정되고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전체적으로 큰 변동 없이 안정된 재무 레버리지 구조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자기자본비율 (ROE)
- 이 지표는 2016년 후반부터 2022년까지 상당한 변동이 나타나며, 특히 2017년 초반 이후 뚜렷한 성장세를 보였다. 2019년 말까지는 높은 수치를 기록하며 회사의 자기자본 대비 순이익률이 강하게 증가하는 추세였다. 이후 2020년과 2021년에는 일시적 하락세가 나타났으며, 특히 2020년 후반에는 10%대까지 하락하였다. 그러나 2021년 이후 다시 상승하는 경향이 나타나며, 2022년에는 일반적으로 30% 초중반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변동은 회사의 수익성 변화와 재무 구조 조정의 영향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ROE 세 가지 구성 요소로 세분화
보고서 기준: 10-Q (보고 날짜: 2022-10-29), 10-Q (보고 날짜: 2022-07-30), 10-Q (보고 날짜: 2022-04-30), 10-K (보고 날짜: 2022-01-29), 10-Q (보고 날짜: 2021-10-30), 10-Q (보고 날짜: 2021-07-31), 10-Q (보고 날짜: 2021-05-01), 10-K (보고 날짜: 2021-01-30), 10-Q (보고 날짜: 2020-10-31), 10-Q (보고 날짜: 2020-08-01), 10-Q (보고 날짜: 2020-05-02), 10-K (보고 날짜: 2020-02-01), 10-Q (보고 날짜: 2019-11-02), 10-Q (보고 날짜: 2019-08-03), 10-Q (보고 날짜: 2019-05-04), 10-K (보고 날짜: 2019-02-02), 10-Q (보고 날짜: 2018-11-03), 10-Q (보고 날짜: 2018-08-04), 10-Q (보고 날짜: 2018-05-05), 10-K (보고 날짜: 2018-02-03), 10-Q (보고 날짜: 2017-10-28), 10-Q (보고 날짜: 2017-07-29), 10-Q (보고 날짜: 2017-04-29), 10-K (보고 날짜: 2017-01-28), 10-Q (보고 날짜: 2016-10-29), 10-Q (보고 날짜: 2016-07-30), 10-Q (보고 날짜: 2016-04-30).
- 순이익률(Net Profit Margin Ratio)
- 분기별 순이익률은 전반적으로 높고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특히 2017년 후반부터 2019년 초까지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다. 그러나 2020년 이후로는 상당한 변동성을 보이며, 2020년 상반기와 하반기에 각각 큰 폭의 하락과 회복이 관찰되었다. 2022년 이후로는 다시 상승하는 양상을 보여, 결론적으로 수익성 측면에서 일정한 회복 또는 개선 흐름이 존재한다.
- 자산회전율
- 자산회전율은 전반적으로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며, 특히 2019년 이후 급격한 감소가 관찰된다. 이는 회사의 자산 효율이 낮아지고 있음을 시사하며, 일부 기간에는 1.0대 후반에서 2.4 이상까지 큰 폭의 변동이 있었다. 이러한 변화는 재고 관리 혹은 자산 활용의 비효율성을 반영할 수 있으며, 이후 2021년까지 점진적으로 회복하는 모습을 보여주지만, 2022년에는 다시 하락 양상을 보이고 있다.
- 재무 레버리지 비율
- 재무 레버리지 비율은 2016년부터 꾸준히 상승하는 흐름이 지속되었다. 2배를 약간 넘는 수준에서 시작하여, 2020년 이후에는 3.16에 이르는 등 상당한 레버리지 확대를 보여준다. 이러한 증가는 부채 비중이 증가했음을 시사하며, 경기 대응이나 자본 구조의 변화에 따른 전략적 선택을 반영할 수 있다. 최근에는 3.16 내외에서 안정화된 모습이 관찰된다.
- 자기자본비율 (ROE)
- ROE는 2016년부터 2019년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강한 수익성 추세를 나타냈으며, 2020년에는 일시적으로 낮아졌다. 이후 2021년에는 다시 상승하며 최고점을 경신했으나, 2022년 이후에는 하락하거나 변동성이 크다. 특히 2020년 이후의 ROE 변동은 기업의 수익성과 자본 효율성이 시기에 따라 영향을 받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2021년 이후 일부 기간에는 비교적 긍정적인 개선세가 관찰된다.
ROA 두 가지 구성 요소로 세분화
보고서 기준: 10-Q (보고 날짜: 2022-10-29), 10-Q (보고 날짜: 2022-07-30), 10-Q (보고 날짜: 2022-04-30), 10-K (보고 날짜: 2022-01-29), 10-Q (보고 날짜: 2021-10-30), 10-Q (보고 날짜: 2021-07-31), 10-Q (보고 날짜: 2021-05-01), 10-K (보고 날짜: 2021-01-30), 10-Q (보고 날짜: 2020-10-31), 10-Q (보고 날짜: 2020-08-01), 10-Q (보고 날짜: 2020-05-02), 10-K (보고 날짜: 2020-02-01), 10-Q (보고 날짜: 2019-11-02), 10-Q (보고 날짜: 2019-08-03), 10-Q (보고 날짜: 2019-05-04), 10-K (보고 날짜: 2019-02-02), 10-Q (보고 날짜: 2018-11-03), 10-Q (보고 날짜: 2018-08-04), 10-Q (보고 날짜: 2018-05-05), 10-K (보고 날짜: 2018-02-03), 10-Q (보고 날짜: 2017-10-28), 10-Q (보고 날짜: 2017-07-29), 10-Q (보고 날짜: 2017-04-29), 10-K (보고 날짜: 2017-01-28), 10-Q (보고 날짜: 2016-10-29), 10-Q (보고 날짜: 2016-07-30), 10-Q (보고 날짜: 2016-04-30).
- 순이익률(Net Profit Margin Ratio)
- 2017년 초반부터 2018년 말까지는 꾸준한 증가세를 보여, 2018년 이내에 약 10.7%에 이르렀다. 이후 2019년 초까지 비교적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2020년 이후에는 급격한 하락이 관찰되었다. 특히 2020년 10월 이후에는 수익률이 점차 낮아져 2020년 하반기와 2021년 초에서 2% 대에 머무르며, 이후 서서히 회복세를 보였지만 2022년에는 다시 하락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경영 환경의 변화, 시장 경쟁, 또는 외부 충격 등에 따른 수익성의 변동 가능성을 시사한다.
- 자산회전율
- 2016년 이후 일정 수준을 유지하며 대체로 2.4 부근의 수치를 보였다. 2020년 초반에는 1.31로 급감하는 모습을 보여,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자산 활용도에 제한이 생겼음을 반영한다. 이후 점차 회복세를 보여 2022년 말에는 1.4 수준을 기록하며, 자산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려는 노력의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 자산수익률 (ROA)
- 2017년부터 2018년까지 점차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며 약 25% 내외를 기록하였다. 이 시기에는 수익성과 효율성이 양호하였다. 그러나 2019년 이후, 특히 2020년에는 큰 폭으로 하락하여 0.67%까지 내려갔으며, 이후 서서히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 2021년과 2022년에는 10%대 후반까지 회복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기업의 수익성과 자산 활용도의 회복 과정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