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차 대조표의 구조 : 자산
분기별 데이터
보고서 기준: 10-Q (보고 날짜: 2025-06-30), 10-Q (보고 날짜: 2025-03-31),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Q (보고 날짜: 2024-09-30), 10-Q (보고 날짜: 2024-06-30), 10-Q (보고 날짜: 2024-03-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Q (보고 날짜: 2023-09-30), 10-Q (보고 날짜: 2023-06-30), 10-Q (보고 날짜: 2023-03-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Q (보고 날짜: 2022-09-30), 10-Q (보고 날짜: 2022-06-30), 10-Q (보고 날짜: 2022-03-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Q (보고 날짜: 2021-09-30), 10-Q (보고 날짜: 2021-06-30), 10-Q (보고 날짜: 2021-03-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Q (보고 날짜: 2020-09-30), 10-Q (보고 날짜: 2020-06-30), 10-Q (보고 날짜: 2020-03-31).
- 현금 및 현금성자산
- 2020년 3월 이후로 전체 기간에 걸쳐 현금 및 현금성자산의 비중이 안정적이거나 약간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2024년 3월과 2025년 3월에는 약 9% 내외로 유지되며, 변동폭이 크지 않았습니다. 이는 유동성 확보를 위해 지속적인 현금 유입을 유지하거나 현금 관리에 신경을 쓴 결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유가증권
- 이 항목은 2020년부터 2023년까지 비중이 상당히 변동적입니다. 2020년대 초반에는 0.4%대에 머물다가 2021년부터 2023년 사이에는 1~6% 범위 내로 증가하며 증가하는 추세가 나타납니다. 특히 2021년 4분기 이후 2023년 초까지는 두 자릿수 비중(약 2~6%)으로 확대됐으며, 이는 시장성 유가증권 또는 단기 투자 자산을 적극 활용했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 단기금융채권, 투자유치채권, 충당금 순
- 이 항목 역시 비중이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입니다. 2020년 초반 7.9% 수준에서 점차 축소되어 2024년에는 3.5% 내외로 낮아졌으며, 이는 단기 금융자산의 포트폴리오 조정 또는 만기 연장 전략의 일환일 수 있습니다. 다만, 2024년 후반부터는 약간 회복하는 모습도 관찰됩니다.
- 기타 미수금, 충당금 순
- 이 항목은 전 기간에 걸쳐 0.6%에서 0.8% 범위 내에서 안정적이며, 상대적으로 작은 비중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다만, 간헐적으로 약간의 변동이 있으며, 이는 회수율 또는 충당금 정책 변화와 연관될 수 있습니다.
- 완성품 및 공정 및 원료 작업
- 이 두 항목은 대체로 0.12%에서는 0.2% 범위 내에서 경기 변동에 따라 작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제조 및 재고 수준의 변화로 볼 때, 생산 활동의 규모 또는 재고 관리 전략에 따른 변화로 해석됩니다.
- 평균 비용 또는 순 실현 가능 가치보다 낮은 재고
- 이 비율은 2020년 이후 점차 낮아지는 추세를 보이며, 특히 2024년에는 0.86%에서 1% 정도로 안정화되고 있습니다. 이는 재고 가치평가 및 재고 손실 방지 조치를 통한 금융 안정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 이연 비용
- 이 항목은 2020년부터 2024년까지 비교적 안정적이면서도 일정 수준(1.2~1.5%)를 유지하고 있으며, 세금 또는 기타 장기 비용 조정 기제로 작용하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특정 분기에는 약간의 변동이 있으나 전반적으로 큰 변화는 없습니다.
- 선불 비용 및 기타 유동 자산
- 이 비율은 전체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1.4%부터 2.7%까지 변화하며 비교적 높게 유지되고 있습니다. 특히 2021년 이후에는 2%를 상회하는 수준으로 높아졌는데, 이는 선불 지출 또는 장기 계약 등에 따른 비용 선지급이 증가했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 유동 자산
- 유동 자산은 2020년 3월 이후 20~26% 범위 내로 꾸준히 등락하며, 2023년에는 21.4%에서 26.7%로 다소 상승하는 양상을 보입니다. 이는 유동성 확보와 관련된 전략의 일부로 판단되며, 단기 자산의 비중 조정이 이루어진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재산, 공장 및 장비
- 이 항목은 전체 기간 내내 12%대 후반에서 22% 초반까지 변화하며, 설비투자와 자산 감가상각의 영향을 반영합니다. 특히 2020년대 초반에는 약 20% 이후 15%대로 낮아졌으며, 감가상각 비중이 증가하며 축소하는 경향도 관찰됩니다.
- 누적 감가상각
- 이 항목은 점차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 감가상각 누적 규모가 커지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2020년 3월 이후 -14%에서 2025년 6월에는 약 -8%로 상당히 축소된 모습이 관찰되어, 감가상각 누계와 순 재산의 차이가 줄어든 것으로 해석됩니다.
- 무형 자산, 순 자산
- 무형자산의 비중은 8%내외에서 변동하며, 2024년 이후 약간 상승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이는 특허·상표 등 무형자산의 평가와 관련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 친선 (친숙자산)
- 이 항목은 약 37%에서 45% 범위 내에서 비교적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기타 자산 구성의 중요한 부분임을 보여줍니다. 특히 2024년 후반부터는 44% 이상을 유지하며, 자산 구성의 안정성을 보여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