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금 흐름표
분기별 데이터
현금 흐름표는 회계 기간 동안 회사의 현금 영수증 및 현금 지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이러한 현금 흐름이 종료 현금 잔액을 회사의 대차 대조표에 표시된 시작 잔액과 어떻게 연결하는지 보여줍니다.
현금 흐름표는 세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영업 활동(사용)에 의해 제공되는 현금 흐름, 투자 활동(에 사용)에 의해 제공되는 현금 흐름, 재무 활동(에 사용)에 의해 제공되는 현금 흐름.
보고서 기준: 10-Q (보고 날짜: 2025-06-30), 10-Q (보고 날짜: 2025-03-31),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Q (보고 날짜: 2024-09-30), 10-Q (보고 날짜: 2024-06-30), 10-Q (보고 날짜: 2024-03-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Q (보고 날짜: 2023-09-30), 10-Q (보고 날짜: 2023-06-30), 10-Q (보고 날짜: 2023-03-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Q (보고 날짜: 2022-09-30), 10-Q (보고 날짜: 2022-06-30), 10-Q (보고 날짜: 2022-03-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Q (보고 날짜: 2021-09-30), 10-Q (보고 날짜: 2021-06-30), 10-Q (보고 날짜: 2021-03-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Q (보고 날짜: 2020-09-30), 10-Q (보고 날짜: 2020-06-30), 10-Q (보고 날짜: 2020-03-31).
- 수익성 및 손익 구조 변화
- 분기별 순이익은 큰 변동성을 보여주며, 특히 2020년 6월과 2021년 3월에는 각각 손실과 높은 이익이 관찰됩니다. 2020년 6월 이후 순이익은 부정적인 수치를 기록하는 기간이 지속되었으며, 2022년 12월과 2023년 3월에도 높은 순이익을 기록하다가 이후 다시 하락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감가상각비는 전반적으로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이나 일부 분기에서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나, 자산 감가상각이 일정 수준 이상 진행됨을 시사합니다. 무형 자산의 상각액 역시 일정 수준을 유지하며, 일부 기간에는 크게 증가하여 자본비용으로서의 역할이 강조됩니다.
- 이연 소득세 및 우발채무 변동
- 이연 소득세 금액은 전체적으로 대체로 부정적이고, 큰 변동을 보이며 특정 분기에는 큰 손실이 발생하는 모습이 확인됩니다. 우발채무의 공정가치 변동은 2020년 6월부터 2023년 말까지 매우 높은 변동성을 보이며, 일부 분기에는 급격한 감소나 증가를 나타냅니다. 특히 2021년 12월과 2022년 9월에는 큰 변동이 있었으며, 우발채무 지급액은 일부 기간에 집중적으로 발생하여 재무 건전성 측면에서 안정성에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습니다.
- 운영활동 현금흐름과 자본 조달 활동
- 운영활동에서 창출되는 현금흐름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이나 변동성이 크고, 2020년 6월과 2022년 12월에 각각 고수익과 저조한 흐름이 관찰됩니다. 특히 2024년 이후에는 일부 분기에서 현금 유입이 크게 감소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영업 성과의 계절적 또는 일시적 변화임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재무활동 부문에서는 배당금 지급과 자사주 매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2020년대 후반에는 배당금과 자사주 매입이 급증하는 양상이 도드라집니다. 또한, 장기 채권 발행과 단기 차입금의 증감이 재무구조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며, 일부 분기에는 부채 증가로 인한 유동성 압박이 나타났습니다.
- 투자활동과 자산 변동
- 투자활동에서의 현금 유출입은 주기적이며, 2022년과 2024년에는 투자 증권의 매입 이후 판매가 활발히 이루어지는 모습입니다. 자산 및 장비 취득은 꾸준하고 적은 규모로 유지되며, 일부 기간에 급증하는 현금 유출이 관찰됩니다. 투자 증권의 매입과 매도는 운용의 전략적 조율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이며, 2020년과 2024년에는 특히 현금 흐름에 큰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습니다.
- 환율 변동과 현금의 최종 변동
- 환율 변동이 현금흐름에 미치는 영향은 일부 분기마다 상당한 변동폭을 기록하며, 양쪽 방향 모두 영향이 불균형적으로 나타납니다. 마지막으로, 현금 및 등가물의 순변동은 여러 요인들의 상호작용으로 복합적이며, 2020년 이후 일부 분기에는 유동성 감소가, 일부에는 큰 유입이 발생하는 등 비정상적 흐름이 반복됩니다. 전반적으로, 현금잔고의 증감은 회사의 유동성 상태를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로 보여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