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ocoPhillips 는 6개 부문으로 운영됩니다: 알래스카; 하위 48 (L48); 캐나다; 유럽, 중동 및 북아프리카(EMENA); 아시아 태평양 (AP); 및 기타 국제 (OI).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2024. 12. 31. | 2023. 12. 31. |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
---|---|---|---|---|---|
알래스카 | 20.24% | 25.05% | 29.75% | 25.29% | -21.10% |
하위 48 (L48) | 13.98% | 16.89% | 20.81% | 16.83% | -11.37% |
캐나다 | 12.63% | 8.25% | 11.59% | 11.23% | -19.57% |
유럽, 중동 및 북아프리카(EMENA) | 20.54% | 20.31% | 19.91% | 19.77% | 23.35% |
아시아 태평양(AP) | 93.34% | 102.51% | 104.99% | 17.56% | 40.71% |
기타 국제(OI) | — | — | — | -2,675.00% | -914.29%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하위 48 (L48) 부문의 이익률은 2020년 마이너스 11.37%에서 시작되어 2021년 16.83%로 급증하였고, 2022년에는 20.81%로 더욱 상승한 후, 2023년에는 16.89%, 2024년에는 13.98%로 점차 하락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이는 이 부문이 2020년 이후 전반적으로 수익성을 회복하였으나, 최근 들어서 수익률이 다소 낮아지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그러나 여전히 긍정적인 수익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과거보다 낮은 수준에서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캐나다 부문의 보고 가능한 부문 이익률은 2020년 -19.57%로 낮았으나, 2021년부터 2022년까지 각각 11.23%, 11.59%로 개선되었습니다. 이후 2023년에는 8.25%로 하락했고, 2024년에는 12.63%로 다시 상승하였습니다. 전체적으로, 캐나다 부문은 2020년의 손실 이후 수익성이 회복되고, 일부 변동성을 겪으며 연평균 수익성 향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EMENA(유럽, 중동 및 북아프리카)의 보고 가능한 부문 이익률은 2020년 23.35%에서 2021년과 2022년 각각 19.77%, 19.91%로 다소 하락했으나, 2023년과 2024년에는 각각 20.31%, 20.54%로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이 부문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이고 높은 수익률을 지속적으로 기록하고 있어, 전반적인 수익성의 견고함을 보여줍니다.
아시아 태평양 부문의 보고 가능한 부문 이익률은 2020년 40.71%로 높았으며, 2021년에는 17.56%로 급감했습니다. 그러나 2022년에는 104.99%로 급증하였고, 이후 2023년과 2024년에는 각각 102.51%, 93.34%로 매우 높은 수익률을 지속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이러한 큰 변동성은 2022년과 2023년의 비정상적으로 높은 수익률이 일시적 또는 특수한 시장 환경에 기인할 가능성을 시사하며, 전반적으로 매우 높은 수익성을 유지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기타 국제 부문은 2020년과 2021년에 각각 -914.29%, -2675%의 극단적인 손실률을 기록하며 매우 저조한 실적을 보여주었으며, 이후 데이터 누락으로 파악할 수 없습니다. 이 부문은 최근 실적이 불확실하고 매우 부정적인 상황임을 나타내며, 향후 개선 여부는 추가 자료와 시장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겠습니다.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알래스카
2024. 12. 31. | 2023. 12. 31. |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ConocoPhillips에 귀속되는 순이익(손실) | 1,326) | 1,778) | 2,352) | 1,386) | (719) |
판매 및 기타 영업 수익 | 6,553) | 7,098) | 7,905) | 5,480) | 3,408)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1 | 20.24% | 25.05% | 29.75% | 25.29% | -21.10%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 2024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100 × ConocoPhillips에 귀속되는 순이익(손실) ÷ 판매 및 기타 영업 수익
= 100 × 1,326 ÷ 6,553 = 20.24%
- 순이익(손실) 추이
- 2020년에는 약 -719백만 달러로 적자가 기록된 반면, 2021년에는 약 1,386백만 달러로 확실한 흑자를 기록하며 손익의 전환을 보여주었다. 이후 2022년에는 약 2,352백만 달러로 최고의 실적을 기록했고, 2023년에는 약 1,778백만 달러로 다소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2024년에는 약 1,326백만 달러로 또다시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내며, 전반적으로 수익이 안정화되기보다는 변동성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판매 및 기타 영업 수익
- 매출은 2020년 약 3,408백만 달러에서 시작하여 2021년 약 5,480백만 달러로 크게 증가하였다. 이후 2022년에는 약 7,905백만 달러까지 상승하여 최고치를 기록했고, 2023년에는 약 7,098백만 달러로 조금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2024년에도 약 6,553백만 달러로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며 사용자 수익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이익률은 2020년에는 -21.1%로 부진하였으나, 2021년에는 25.29%로 급증하며 수익성 개선을 나타냈다. 2022년에는 29.75%로 최고치를 기록했고, 이후 2023년에는 25.05%로 조정을 보였다. 2024년에는 20.24%로 다소 둔화되었으나, 전반적으로는 긍정적인 수익성 지속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매출 증가와 더불어 수익성 향상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금융 성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하단 48 (L48)
2024. 12. 31. | 2023. 12. 31. |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ConocoPhillips에 귀속되는 순이익(손실) | 5,175) | 6,461) | 11,015) | 4,932) | (1,122) |
판매 및 기타 영업 수익 | 37,028) | 38,244) | 52,921) | 29,306) | 9,872)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1 | 13.98% | 16.89% | 20.81% | 16.83% | -11.37%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 2024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100 × ConocoPhillips에 귀속되는 순이익(손실) ÷ 판매 및 기타 영업 수익
= 100 × 5,175 ÷ 37,028 = 13.98%
- 시간에 따른 순이익 및 영업 수익의 변화
- 2020년에는 순이익이 손실 상태였으며, 약 -11억 2천만 달러를 기록하였다. 그러나 이후 2021년에는 순이익이 약 49억 3천만 달러로 급증하였으며, 2022년에는 더욱 증가하여 약 110억 1천 5백만 달러를 기록하였다. 이후 2023년과 2024년에는 각각 약 64억 6천 1백만 달러와 51억 7천 5백만 달러의 순이익이 발생했고, 이 두 해의 순이익은 이전 최고치인 2022년보다 다소 낮아졌음을 알 수 있다.
- 판매 및 기타 영업 수익의 추이와 규모
- 판매 및 기타 영업수익은 2020년 약 98억 7천 2백만 달러에서 2021년 크게 증가하여 293억 6천 만 달러를 기록하였다. 이후 2022년에는 계속 증가하여 약 529억 2천 1백만 달러에 달하였으며, 2023년과 2024년에는 각각 약 382억 4천 4백만 달러와 370억 2천 8백만 달러로 전년 대비 소폭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변화는 기업의 매출 규모가 2020년 이후 급격히 성장한 후 어느 정도 안정화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 부문 이익률의 변화와 추세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은 2020년 -11.37%로 적자를 기록했으나, 2021년에는 16.83%로 크게 개선되어 흑자 전환을 보여주었다. 이후 2022년에는 20.81%로 확대되었으며, 2023년에는 다시 다소 축소되어 16.89%로 하락하였다. 2024년에는 13.98%로 또 다시 낮아졌으나, 전체적으로는 2020년의 적자에서 벗어나 안정적인 이익률 수준을 유지하는 모습이다. 이러한 흐름은 수익성의 회복과 함께 수익률이 점차 조정되었음을 보여준다.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캐나다
2024. 12. 31. | 2023. 12. 31. |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ConocoPhillips에 귀속되는 순이익(손실) | 712) | 402) | 714) | 458) | (326) |
판매 및 기타 영업 수익 | 5,636) | 4,873) | 6,159) | 4,077) | 1,666)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1 | 12.63% | 8.25% | 11.59% | 11.23% | -19.57%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 2024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100 × ConocoPhillips에 귀속되는 순이익(손실) ÷ 판매 및 기타 영업 수익
= 100 × 712 ÷ 5,636 = 12.63%
- 순이익(손실)의 추이
- 2020년에는 약 -326백만 달러로 순손실이 발생하였으며, 그 이후 2021년에는 약 458백만 달러의 순이익으로 전환되었습니다. 2022년에는 순이익이 약 714백만 달러로 확대되어 수익성이 개선된 모습을 보였으며, 2023년에는 다소 하락하여 402백만 달러로 감소하였으나, 2024년에는 다시 712백만 달러로 회복하는 양상을 나타냈습니다. 전반적으로 볼 때, 2020년의 적자 이후 빠른 회복과 함께 수익성의 안정적 향상이 관찰됩니다.
- 판매 및 기타 영업 수익의 변화
- 2020년에는 약 1,666백만 달러였던 판매 수익이 2021년에는 큰 폭으로 증가하여 4,077백만 달러를 기록하였고, 이후 2022년에는 6,159백만 달러로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그러나 2023년에는 약 4,873백만 달러로 일시적인 하락세를 나타냈으며, 2024년에는 재차 상승하여 5,636백만 달러를 기록하였습니다. 전체적으로 수익은 2020년 이후 꾸준히 성장하다가 2023년 잠시 하락 후 재반등하는 모습이 관찰됩니다.
- 부문 이익률의 변화
- 보고 대상 부문의 이익률은 2020년 약 -19.57%로 적자 상태였으나, 2021년부터 2022년까지 11% 내외의 긍정적인 수치를 유지하며 수익성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23년에는 약 8.25%로 다소 둔화되었으나, 2024년에는 12.63%로 다시 상승하는 양상을 보이며, 전체적으로 안정적이고 긍정적인 수익률 현상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영업 효율성이나 수익성 개선의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유럽, 중동 및 북아프리카(EMENA)
2024. 12. 31. | 2023. 12. 31. |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ConocoPhillips에 귀속되는 순이익(손실) | 1,189) | 1,189) | 2,244) | 1,167) | 448) |
판매 및 기타 영업 수익 | 5,788) | 5,854) | 11,271) | 5,902) | 1,919)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1 | 20.54% | 20.31% | 19.91% | 19.77% | 23.35%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 2024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100 × ConocoPhillips에 귀속되는 순이익(손실) ÷ 판매 및 기타 영업 수익
= 100 × 1,189 ÷ 5,788 = 20.54%
- 순이익(손실)의 추세와 관찰
- 2020년에는 4억 4,800만 달러의 순이익을 기록하였으며, 이후 2021년에는 크게 증가하여 11억 6,700만 달러에 달하였다. 2022년에는 다시 상승하여 22억 4,400만 달러로 정점에 도달하였으며, 그 이후 2023년과 2024년에는 각각 11억 8,900만 달러로 유지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2020년과 2021년 사이, 그리고 2022년의 급격한 이익 증가 후, 이후 일정 수준에서 유지되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 판매 및 기타 영업 수익의 변화와 패턴
- 2020년에는 19억 1,900만 달러였던 수익이 2021년에는 대폭 상승하여 59억 2,000만 달러를 기록하였다. 이후 2022년에는 112억 7,100만 달러로 크게 증가하였으며, 2023년과 2024년에는 각각 약 58억 5,400만 달러와 57억 8,800만 달러 수준으로, 2022년의 정점 이후 다소 감소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전반적으로, 수익은 2020년 이후 빠른 성장세를 보인 후, 2022년 정점을 기록하며 이후 수익이 다소 안정적인 수준으로 조정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부문 이익률의 변화와 해석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은 2020년 23.35%에서 2021년에는 19.77%로 하락하였다. 이후 2022년에는 19.91%, 2023년에는 20.31%, 2024년에는 20.54%로 점진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이익률의 이러한 패턴은 수익이 급증하는 기간 동안 다소 압박을 받을 수 있음을 시사하며, 이후 수익 증가와 함께 수익성 또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회사의 수익성 유지 또는 향상에 긍정적인 신호로 볼 수 있다.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아시아 태평양 (AP)
2024. 12. 31. | 2023. 12. 31. |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ConocoPhillips에 귀속되는 순이익(손실) | 1,724) | 1,961) | 2,736) | 453) | 962) |
판매 및 기타 영업 수익 | 1,847) | 1,913) | 2,606) | 2,579) | 2,363)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1 | 93.34% | 102.51% | 104.99% | 17.56% | 40.7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 2024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100 × ConocoPhillips에 귀속되는 순이익(손실) ÷ 판매 및 기타 영업 수익
= 100 × 1,724 ÷ 1,847 = 93.34%
- 순이익(손실)의 추이
- 2020년에는 약 962백만 달러의 순이익이 발생하였으며, 2021년에는 크게 감소하여 453백만 달러를 기록하였다. 이후 2022년에는 다시 큰 폭으로 증가하여 2,736백만 달러에 달했으며, 2023년과 2024년에는 각각 1,961백만 달러와 1,724백만 달러로 나타나, 본질적으로는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보면, 단기 변동성을 보이면서도, 2022년의 강한 실적 이후 다소 조정된 모습을 보여준다.
- 판매 및 기타 영업 수익의 변화
- 2020년 약 2,363백만 달러에서 2021년 2,579백만 달러로 약간 상승하였다가, 2022년에는 2,606백만 달러로 소폭 증가하였다. 그러나 2023년에는 1,913백만 달러로 하락하였고, 2024년에는 1,847백만 달러로 계속 저하되는 추세이다. 이는 일부 수익 흐름의 축소 또는 시장 가격 변화의 영향을 반영할 수 있으며, 수익 구조의 불확실성과 시장 환경 변화에 따른 변동성을 보여준다.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의 패턴
- 2020년 40.71%에서 시작하여 2021년에는 급감하여 17.56%를 기록하였다. 이후 2022년에는 104.99%로 급등하며 매우 높은 수익성을 나타냈다. 2023년과 2024년에는 각각 102.51%와 93.34%로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지만, 일부 수익률이 다소 하락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수익률의 급등은 특정 요인에 대한 일시적 또는 특별이익 발생 가능성을 시사하며, 이후 수익률이 조정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기타 국제 (OI)
2024. 12. 31. | 2023. 12. 31. |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ConocoPhillips에 귀속되는 순이익(손실) | (1) | (13) | (51) | (107) | (64) |
판매 및 기타 영업 수익 | —) | —) | —) | 4) | 7)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1 | — | — | — | -2,675.00% | -914.29%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 2024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100 × ConocoPhillips에 귀속되는 순이익(손실) ÷ 판매 및 기타 영업 수익
= 100 × -1 ÷ 0 = —
- 순이익(손실)의 추이
- 2020년에는 약 6,400만 달러의 순손실이 발생하였으며, 이후 2021년에는 약 1억700만 달러의 더 큰 손실이 이어졌습니다. 2022년에는 손실 규모가 다소 축소되었으며, 약 5,100만 달러로 감소하였지만 여전히 손실 상태를 유지하였습니다. 2023년과 2024년에는 손실이 점차 경감되어 각각 약 1,300만 달러와 100만 달러 수준으로 줄어들었으며, 손실이 최소화된 상태를 나타냅니다.
- 매출 및 영업 수익
- 2020년과 2021년의 매출은 각각 7백만 달러와 4백만 달러로, 상당히 낮은 수치를 기록하였으며, 이후 자료가 제공되지 않아 2022년 이후의 추세는 확인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수치는 매출이 매우 제한적이거나 일시적인 요인으로 인해 낮았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2020년의 부문 이익률은 약 -914.29%로 매우 낮았으며, 이는 부문적 손실이 극심했음을 의미합니다. 2021년에는 이 수치가 더욱 악화되어 약 -2675%를 기록하여, 손실의 정도가 크게 늘어났음을 보여줍니다. 이후 데이터에서는 이 수치의 변화 또는 구체적 값이 제공되지 않아, 추가적인 추세 분석은 어려우나, 전반적으로 부문 이익률이 매우 낮거나 부정적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회사는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지속적인 손실을 기록하였으며, 손실 규모는 점차 축소되는 경향이 관찰됩니다. 매출과 부문 이익률은 낮거나 부정적인 수치로 나타나, 영업 활동이 어려운 상황임을 시사합니다. 이후 해에 대해 구체적인 데이터는 부족하지만, 손실이 점차 감소하는 추세는 잠재적인 회복 또는 비용 절감 노력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2024. 12. 31. | 2023. 12. 31. |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
---|---|---|---|---|---|
알래스카 | 7.35% | 10.99% | 15.55% | 9.36% | -4.92% |
하위 48 (L48) | 7.73% | 15.23% | 25.65% | 11.83% | -9.40% |
캐나다 | 7.48% | 3.91% | 10.24% | 6.16% | -4.75% |
유럽, 중동 및 북아프리카(EMENA) | 12.17% | 14.16% | 27.16% | 12.79% | 5.12% |
아시아 태평양(AP) | 20.55% | 22.03% | 28.77% | 4.60% | 8.57% |
기타 국제(OI) | -12.50% | — | — | -10,700.00% | -28.32%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 전반적으로, 여러 지역과 세그먼트의 자산 수익률은 연도별로 다양한 변동을 보여주고 있다.
-
2020년에는 대부분의 세그먼트가 부정적인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특히 기타 국제 부문의 수익률이 급락하여 -28.32%를 기록하였다. 또 다른 세그먼트인 하위 48 지역은 이례적으로 부정적인 수익률에서 11.83%로 크게 상승하였다. 이 시기에는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과 낮은 유가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2021년에는 일부 지역에서 전년 대비 수익률이 크게 상승하며 회복세를 보였다. 특히 유럽, 중동 및 북아프리카(EMENA)와 아시아 태평양 지역은 각각 12.79%와 4.6%에서 27.16%와 28.77%로 크게 개선되었으며, 이익률이 두 자리 수를 기록하였다. 하위 48 지역도 11.83%에서 25.65%로 추천되며 긍정적인 흐름을 나타냈다. 그러나, 기타 국제 부문은 여전히 부정적인 영향을 유지하였다.
- 2022년에는 전체적으로 수익률이 큰 폭으로 상승하였다. 대부분의 지역에서 10% 이상의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특히 EMENA와 아시아 태평양 지역은 각각 27.16%와 28.77%로, 높은 수익성을 보여준다. 이 시기에는 글로벌 원유 가격 상승이나 생산 성과 향상에 힘입어 평균 수익률이 높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기타 국제 부문은 데이터 누락으로 인해 정밀한 분석이 어렵다.
- 2023년에는 일부 지역에서 수익률이 조정을 받았으나, 여전히 긍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아시아 태평양은 22.03%, EMENA는 14.16% 등 양호한 수익률을 기록하였다. 한편, 알래스카와 캐나다 세그먼트는 각각 10.99%와 3.91%로 다소 낮아졌으며, 하위 48도 15.23%로 유지되어 지역별 차별화된 회복세가 감지된다. 기타 국제 부문은 데이터 누락으로 명확한 평가가 어려우나, 일부 부정적 영향이 이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 2024년 예측 데이터는 일부 지역에서 수익률이 낮아졌거나 변동이 적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알래스카와 하위 48은 각각 7.35%와 7.73%로 수익률이 소폭 하락하거나 유지되고 있으며, 캐나다와 EMENA도 7.48%, 12.17%로 안정된 수준을 보이고 있다. 이는 글로벌 시장의 불확실성 또는 공급망, 원유 가격 변동 등에 대응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한편, 기타 국제 부문은 여전히 낮거나 부정적인 영향을 시사하는 데이터 누락이 지속되어 있으며, 전반적으로 수익률의 안정화 또는 소폭 하락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 2023년에는 일부 지역에서 수익률이 조정을 받았으나, 여전히 긍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아시아 태평양은 22.03%, EMENA는 14.16% 등 양호한 수익률을 기록하였다. 한편, 알래스카와 캐나다 세그먼트는 각각 10.99%와 3.91%로 다소 낮아졌으며, 하위 48도 15.23%로 유지되어 지역별 차별화된 회복세가 감지된다. 기타 국제 부문은 데이터 누락으로 명확한 평가가 어려우나, 일부 부정적 영향이 이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알래스카
2024. 12. 31. | 2023. 12. 31. |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ConocoPhillips에 귀속되는 순이익(손실) | 1,326) | 1,778) | 2,352) | 1,386) | (719) |
총 자산 | 18,030) | 16,174) | 15,126) | 14,812) | 14,623)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1 | 7.35% | 10.99% | 15.55% | 9.36% | -4.92%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 2024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 100 × ConocoPhillips에 귀속되는 순이익(손실) ÷ 총 자산
= 100 × 1,326 ÷ 18,030 = 7.35%
- 순이익(손실)의 변화 추이
- 2020년에는 대규모 적자를 기록하였으나, 이후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지속적으로 순이익이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2021년에 경기 회복과 함께 순이익이 큰 폭으로 상승하였으며, 2022년에는 정점을 이루었다. 이후 2024년까지는 다소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여전히 흑자를 유지하고 있어 안정적인 수익성을 나타내고 있다.
- 총 자산 규모의 변화
- 총 자산은 2020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2024년 말 기준 약 1,803억 달러에 달하였다. 이와 같은 자산 증가는 사업 확장 또는 자산 가치의 증가에 기인할 수 있다. 특히 2021년 이후 빠르게 자산 규모가 늘었으며, 2023년과 2024년에도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하였다.
- 부문 자산 수익률 변화
- 부문 자산 수익률은 2020년 -4.92%로 적자 상태를 기록하였으나, 2021년에 9.36%로 급증하며 수익성이 크게 개선되었다. 이후 2022년에는 15.55%라는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였으며, 이는 상당한 수익성 개선을 보여준다. 2023년과 2024년에는 각각 10.99%, 7.35%로 다소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과거의 부정적 수익률보다 훨씬 양호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하단 48 (L48)
2024. 12. 31. | 2023. 12. 31. |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ConocoPhillips에 귀속되는 순이익(손실) | 5,175) | 6,461) | 11,015) | 4,932) | (1,122) |
총 자산 | 66,977) | 42,415) | 42,950) | 41,699) | 11,932)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1 | 7.73% | 15.23% | 25.65% | 11.83% | -9.40%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 2024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 100 × ConocoPhillips에 귀속되는 순이익(손실) ÷ 총 자산
= 100 × 5,175 ÷ 66,977 = 7.73%
- 순이익(손실)의 추이와 변동성
- 2020년에는 약 -11억 달러의 손실이 보고되었으며, 이는 전년도와 비교해 부정적인 수익성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2021년에는 약 49억 달러의 순이익으로 전환되었고, 이후 2022년에는 최대치인 약 110억 달러를 기록하며 강한 수익성을 보여주었습니다. 2023년에는 약 64억 달러로 다소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고, 2024년에는 약 51억 달러로 다시 낮아졌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회사의 수익성 변동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특히 2021년과 2022년의 급증은 특정 이벤트 또는 시장조건으로 인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총 자산의 변화와 확장경향
- 총 자산은 2020년 약 119억 달러에서 시작하여 2021년에는 약 417억 달러로 급증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2022년에도 약 429억 달러로 계속 상승하였습니다. 이후 2023년에는 약 424억 달러로 소폭 감소했으나, 2024년에는 약 669억 달러까지 급증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전반적으로 자산 규모는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 2년간 큰 폭의 증가를 기록하여 회사의 자산 기반이 대폭 확장된 것으로 판단됩니다.
- 부문 자산 수익률의 변화와 수익성 지표
- 보고 대상 부문의 자산수익률은 2020년 -9.4%로 부정적이었으나, 2021년 11.83%, 2022년 25.65%로 크게 개선되어 수익성이 강하게 회복되었음을 보여줍니다. 이후 2023년에는 15.23%로 다소 하락했지만 여전히 양호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2024년에는 7.73%로 다시 낮아졌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수익성의 일시적 또는 지속적인 변동성을 반영하며, 2022년까지의 높은 수익률은 회사의 효율적 자산 활용과 관련된 긍정적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캐나다
2024. 12. 31. | 2023. 12. 31. |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ConocoPhillips에 귀속되는 순이익(손실) | 712) | 402) | 714) | 458) | (326) |
총 자산 | 9,513) | 10,277) | 6,971) | 7,439) | 6,863)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1 | 7.48% | 3.91% | 10.24% | 6.16% | -4.75%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 2024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 100 × ConocoPhillips에 귀속되는 순이익(손실) ÷ 총 자산
= 100 × 712 ÷ 9,513 = 7.48%
- 순이익(손실)의 추이
- 2020년에는 약 -326백만 달러로 적자를 기록하였으며, 이후 2021년에는 크게 반전되어 458백만 달러의 순이익을 실현하였다. 2022년에는 순이익이 714백만 달러로 증가하였으며, 2023년에는 402백만 달러로 다소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2024년에도 712백만 달러를 기록하며 전반적으로 양호한 수익 흐름을 유지하였다. 이와 같은 패턴은 코로나19 팬데믹 초기의 충격 이후 수익성 회복이 일어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총 자산의 변화
- 2020년의 총 자산은 약 6,863백만 달러였으며, 2021년에는 7,439백만 달러로 증가하였다. 하지만 2022년에는 6,971백만 달러로 감소세를 보였으며, 이후 2023년에는 눈에 띄게 10,277백만 달러로 크게 늘어났다. 2024년에는 다소 감소하여 9,513백만 달러를 기록하였다. 총 자산의 증감은 연도별로 변화폭이 크며, 특히 2023년의 큰 폭의 증가는 신규 자산 취득 또는 자산 재평가를 시사할 수 있다.
- 자산 수익률(ROA)의 흐름
- 2020년에는 약 -4.75%로, 자산 대비 상당한 손실이 발생한 상태였다. 2021년에는 6.16%로 급반등하며 흑자 전환을 보여 주었고, 2022년에는 10.24%로 수익률이 크게 상승하였다. 그러나 2023년에는 3.91%로 하락하였고, 2024년에는 7.48%로 다시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수익률 증감은 이익 성장과 자산 활용 효율성의 변화에 따른 것으로 보이며, 일시적인 변동성이 존재함을 나타낸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유럽, 중동 및 북아프리카(EMENA)
2024. 12. 31. | 2023. 12. 31. |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ConocoPhillips에 귀속되는 순이익(손실) | 1,189) | 1,189) | 2,244) | 1,167) | 448) |
총 자산 | 9,770) | 8,396) | 8,263) | 9,125) | 8,756)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1 | 12.17% | 14.16% | 27.16% | 12.79% | 5.12%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 2024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 100 × ConocoPhillips에 귀속되는 순이익(손실) ÷ 총 자산
= 100 × 1,189 ÷ 9,770 = 12.17%
- 순이익(손실)
- 2020년에는 약 4억 4천만 달러의 순이익으로 시작하여, 2021년에는 크게 증가하여 약 11억 7천만 달러를 기록하였다. 2022년에는 약 22억 4천만 달러로 최고치를 기록하며 상당한 성장세를 보였으며, 이후 2023년과 2024년에는 각각 11억 8천만 달러의 동일 수준을 유지하는 모습이다. 이러한 추세는 2021년과 2022년 동안의 급격한 성장 이후 안정화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총 자산
- 2020년 약 8,756백만 달러에서 시작하여 2021년에는 9,125백만 달러로 약간 증가하였다. 2022년에는 8,263백만 달러로 축소되었으며, 이후 2023년에는 다시 8,396백만 달러로 회복하는 모습을 보였다. 2024년에는 9,770백만 달러로 총 자산이 가장 높게 나타나, 최근 몇 년간의 변동성을 반영하며 점진적인 자산 규모의 증가 경향이 관찰된다.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 이 수치는 각 연도별로 회사의 부문 자산 대비 수익성을 보여준다. 2020년에는 5.12%로 시작하여, 2021년에는 두 배 이상인 12.79%로 상승하였다. 2022년에는 27.16%로 최고치를 기록하며 매우 강한 수익성을 나타냈다. 그러나 2023년에는 14.16%로 감소한 후, 2024년에는 약 12.17%로 유지되며 다시 하락하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부문 자산 수익률이 2022년 정점을 찍은 후 조정 국면에 들어갔음을 보여준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아시아 태평양 (AP)
2024. 12. 31. | 2023. 12. 31. |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ConocoPhillips에 귀속되는 순이익(손실) | 1,724) | 1,961) | 2,736) | 453) | 962) |
총 자산 | 8,390) | 8,903) | 9,511) | 9,840) | 11,231)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1 | 20.55% | 22.03% | 28.77% | 4.60% | 8.57%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 2024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 100 × ConocoPhillips에 귀속되는 순이익(손실) ÷ 총 자산
= 100 × 1,724 ÷ 8,390 = 20.55%
- 순이익(손실)의 추이
- 2020년에는 약 962백만 달러의 순이익을 기록하며 비교적 안정적인 성과를 보였으며, 2021년에는 급격히 감소하여 약 453백만 달러로 하락하였다. 이후 2022년에는 약 2,736백만 달러로 급증하며 최대 수익을 기록하였고, 2023년과 2024년에는 각각 약 1,961백만 달러와 1,724백만 달러로 다소 하락하는 추세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순이익은 2023년까지 크게 변동하였으며, 최근에는 2024년에 약간 감소하는 모습을 보여 전반적인 이익 흐름의 불확실성을 시사한다.
- 총 자산 규모의 변화
- 총 자산은 2020년부터 2024년까지 계속해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2020년에는 약 11,231백만 달러였고, 2021년에는 9,840백만 달러로 줄었으며, 이후 2022년에는 9,511백만 달러로 미세하게 감소하였다. 2023년에는 8,903백만 달러, 2024년에는 8,390백만 달러로 차례로 하락하여 회사의 자산 규모는 전반적으로 축소되는 흐름이 나타났다. 이러한 자산 축소는 기업의 자산 운용 또는 자본구조 조정과 관련 있을 수 있다.
- 부문 자산 수익률
- 부문 자산 수익률은 2020년 8.57%에서 2021년에는 급격히 하락하여 4.6%를 기록하였다. 이후 2022년에 급증하여 28.77%로 정점을 찍었으며, 2023년과 2024년에는 각각 22.03%와 20.55%로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수익률의 변화는 부문 성과의 변동성을 반영하며, 2022년에는 특히 높은 수익률로 인해 효율성이 크게 개선된 시기를 보여준다. 그러나 이후 점차 하락하는 추세는 외부 시장 조건 또는 내부 운영상의 변동성에 기인할 수 있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기타 국제 (OI)
2024. 12. 31. | 2023. 12. 31. |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ConocoPhillips에 귀속되는 순이익(손실) | (1) | (13) | (51) | (107) | (64) |
총 자산 | 8) | —) | —) | 1) | 226)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1 | -12.50% | — | — | -10,700.00% | -28.32%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 2024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 100 × ConocoPhillips에 귀속되는 순이익(손실) ÷ 총 자산
= 100 × -1 ÷ 8 = -12.50%
- 순이익(손실)의 추세
- 2020년과 2021년 모두 순이익이 크게 감소하여 적자를 기록하였으며, 2020년에는 약 64백만 달러, 2021년에는 약 107백만 달러의 손실을 보였습니다. 이후 2022년과 2023년, 2024년에는 손실 규모가 계속해서 축소되는 모습이 관찰됩니다. 특히 2024년에는 거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 수준으로 회복되는 경향이 나타났습니다. 이는 연간 이익 개선 또는 손실 축소를 위한 내부 또는 외부 요인의 변화가 있었음을 시사합니다.
- 총 자산 규모의 변화
- 2020년에는 약 226백만 달러로 나타나 초기 자산 규모가 확인됩니다. 2021년에는 데이터가 일부 누락되어 파악이 어려우나, 2022년 이후에 다시 자료가 제시되지 않으며, 2024년에는 약 8백만 달러로 상당히 축소된 자산 규모가 보고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자산의 매각, 감액 또는 구조조정 등으로 인한 재무구조의 변화를 반영할 수 있습니다.
- 부문 자산 수익률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은 2020년 약 -28.32%였으며, 2021년에는 극단적으로 -10700%로 집계되어 매우 큰 폭으로 하락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후 2022년 이후 데이터가 확인되지 않아 정확한 수치는 제공되지 않지만, 2023년과 2024년의 수익률은 각각 -12.5%와 어떤 값으로 제시되어 있어 일부 회복 또는 유지 단계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수익률의 변화는 부문별 수익성 저하와 회복 가능성을 시사하며, 실적의 변동성을 보여줍니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2024. 12. 31. | 2023. 12. 31. |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
---|---|---|---|---|---|
알래스카 | 0.36 | 0.44 | 0.52 | 0.37 | 0.23 |
하위 48 (L48) | 0.55 | 0.90 | 1.23 | 0.70 | 0.83 |
캐나다 | 0.59 | 0.47 | 0.88 | 0.55 | 0.24 |
유럽, 중동 및 북아프리카(EMENA) | 0.59 | 0.70 | 1.36 | 0.65 | 0.22 |
아시아 태평양(AP) | 0.22 | 0.21 | 0.27 | 0.26 | 0.21 |
기타 국제(OI) | 0.00 | — | — | 4.00 | 0.03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 알래스카 세그먼트 자산 회전율
-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알래스카 세그먼트 자산 회전율은 꾸준한 상승 추세를 보여 왔으며, 2022년에는 0.52로 최고치를 기록하였다. 이후 2023년에는 0.44로 약간 감소했으나, 2024년에는 다시 0.36으로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해당 세그먼트에서 자산의 효율적 활용이 개선이 있었던 시기가 있었지만, 최근에는 다소 둔화된 경향이 나타나고 있음을 시사한다. 전체적으로는 자산 회전율이 점진적 상승 이후 일부 축소되는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 하위 48지역 (L48) 세그먼트 자산 회전율
- 이 세그먼트의 자산 회전율은 2020년 0.83에서 2022년 1.23으로 급증하는 모습을 보여 강한 자산 활용 효율성을 시사한다. 그러나 2023년에는 0.9로 다소 감소하였으며, 2024년에는 0.55로 대폭 하락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러한 변화는 해당 지역의 운영 효율이 최근 들어 악화되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으며, 시장 환경이나 내부 효율성 변화가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 캐나다 세그먼트 자산 회전율
- 캐나다 세그먼트는 2020년 0.24에서 점차 상승하여 2022년 0.88로 상당히 개선된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후 2023년에는 0.47로 감소하였으며, 2024년에는 0.59로 소폭 회복하였다. 이는 캐나다 세그먼트의 자산이 어느 정도 효율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일시적인 변동성을 겪고 있지만, 전반적으로 2022년 이후의 상승세가 다소 둔화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유럽, 중동 및 북아프리카(EMENA) 세그먼트 자산 회전율
- 2020년 0.22에서 2022년 1.36까지 상승 곡선을 그리며, 해당 지역의 자산 효율성이 크게 향상되었음을 보여준다. 이후 2023년에는 0.7로 다소 축소되었고, 2024년에는 0.59로 유지되고 있어, 일부 조정이 이루어진 듯하다. 이 패턴은 해당 시장에서의 활동 또는 전략 조정이 있었던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자산 활용이 다소 불균형적이거나 일시적 개선 이후 안정세를 보인 것으로 볼 수 있다.
- 아시아 태평양(AP) 세그먼트 자산 회전율
- 이 지역은 2020년 0.21에서 2022년 0.27로 비교적 낮은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이후 2023년과 2024년에는 각각 0.21과 0.22로 오히려 점진적인 변화가 크지 않다. 이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이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정된 자산 활용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또는 시장 특성상 낮은 회전율이 지속되어 왔음을 의미할 수 있다.
- 기타 국제(OI) 세그먼트 자산 회전율
- 2020년에는 0.03으로 매우 낮은 수준이며, 이후 데이터가 제공되지 않거나 누락된 것으로 보인다. 이는 해당 세그먼트에 대한 정보가 제한적임을 보여주며, 회전율이 흔히 낮거나 불확실성으로 인해 측정이 어려운 상황임을 시사한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알래스카
2024. 12. 31. | 2023. 12. 31. |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판매 및 기타 영업 수익 | 6,553) | 7,098) | 7,905) | 5,480) | 3,408) |
총 자산 | 18,030) | 16,174) | 15,126) | 14,812) | 14,623) |
보고 대상 세그먼트 활동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1 | 0.36 | 0.44 | 0.52 | 0.37 | 0.23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 2024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 판매 및 기타 영업 수익 ÷ 총 자산
= 6,553 ÷ 18,030 = 0.36
- 판매 및 기타 영업 수익
- 2020년에는 약 3,408백만 달러에서 2021년에는 약 5,480백만 달러로 증가하였으며, 이후 2022년에는 7,905백만 달러로 큰 폭의 성장세를 보였다. 그러나 2023년에는 약 7,098백만 달러로 다소 감소하였으며, 2024년에는 약 6,553백만 달러로 계속해서 하락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수익이 2022년까지 가파르게 상승한 후, 이후에는 수익성이 약화되면서 조정된 것으로 해석된다.
- 총 자산
- 총 자산은 2020년 약 14,623백만 달러에서 2021년 14,812백만 달러로 소폭 증가하였고, 2022년에는 15,126백만 달러로 상향 조정된 후, 2023년에는 16,174백만 달러로 다시 증가하였다. 2024년에는 18,030백만 달러로 상당한 성장을 보여, 자산 규모가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추세임을 알 수 있다. 이는 기업이 지속적으로 자산을 확충하며 성장 기반을 강화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 이 비율은 2020년 0.23에서 2021년 0.37로 크게 상승하였으며, 2022년에는 0.52로 계속 증가하였다. 그러나 2023년에는 다시 0.44로 약간 하락하였고, 2024년에는 0.36으로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자산을 활용한 매출 창출 효율이 2022년까지 개선되었음을 보여주며, 이후에는 일정 수준의 하락이 있어 자산 활용 효율이 감소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전체적으로 볼 때, 자산의 회전율은 2022년을 정점으로 하락하는 경향을 따르고 있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하단 48 (L48)
2024. 12. 31. | 2023. 12. 31. |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판매 및 기타 영업 수익 | 37,028) | 38,244) | 52,921) | 29,306) | 9,872) |
총 자산 | 66,977) | 42,415) | 42,950) | 41,699) | 11,932) |
보고 대상 세그먼트 활동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1 | 0.55 | 0.90 | 1.23 | 0.70 | 0.83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 2024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 판매 및 기타 영업 수익 ÷ 총 자산
= 37,028 ÷ 66,977 = 0.55
- 판매 및 기타 영업 수익
- 2020년에서 2022년까지의 기간 동안 판매 및 기타 영업 수익은 점진적인 증가세를 보였으며, 2022년에는 약 52,921백만 달러로 정점을 이루었습니다. 그러나 2023년에는 다소 감소하여 38,244백만 달러로 하락한 후, 2024년에는 소폭 하락하여 37,028백만 달러에 머무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시장 환경 또는 내외부 요인에 따른 수익성 변화가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 총 자산
- 총 자산은 꾸준한 증가 추세를 보여, 2020년 11,932백만 달러에서 2022년 약 42,950백만 달러로 급증하였으며, 이후 2023년에는 약 42,415백만 달러로 다소 감소하였으나, 2024년에는 다시 크게 증가하여 66,977백만 달러에 이르렀습니다. 이 같은 자산 증가는 기업이 지속적으로 자산 기반을 확장하거나 재무 구조를 강화하는 데 집중했음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 이 비율은 2020년과 2021년에 각각 0.83과 0.70으로 낮아졌으며, 이후 2022년에는 1.23으로 크게 상승하였고, 2023년에는 다시 0.90으로 하락하였으며, 2024년에는 0.55로 추가 하락하였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자산의 효율적 활용 및 영업 성과의 변동과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2022년의 급증은 일시적인 생산성 향상 또는 자산 효율 증대를 반영할 수 있고, 이후 감소세는 외부 또는 내부 환경의 변화, 투자 구조 조정 등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캐나다
2024. 12. 31. | 2023. 12. 31. |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판매 및 기타 영업 수익 | 5,636) | 4,873) | 6,159) | 4,077) | 1,666) |
총 자산 | 9,513) | 10,277) | 6,971) | 7,439) | 6,863) |
보고 대상 세그먼트 활동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1 | 0.59 | 0.47 | 0.88 | 0.55 | 0.24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 2024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 판매 및 기타 영업 수익 ÷ 총 자산
= 5,636 ÷ 9,513 = 0.59
- 판매 및 기타 영업 수익
- 2020년 이후 급격한 성장을 보인 후, 2022년에는 절정을 기록하였으며 2023년과 2024년에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이는 시장 환경 또는 회사의 영업 전략 변화에 따른 일시적인 수익 변동일 수 있으며, 2022년의 높은 수익은 잠정적인 성과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후의 하락세는 경쟁 강화 또는 수익 구조 조정의 영향을 반영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총 자산
- 총 자산은 2020년과 2021년에 점진적 증가세를 나타내었으며, 2022년에는 일부 감소하는 모습이 관찰됩니다. 이후 2023년과 2024년에는 다시 큰 폭으로 증가하여 2023년에는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고, 이후 약간 절감된 수치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자산 규모의 변동은 기업의 자산 재조정 또는 전략적 자산 매각/확장과 관련될 수 있으며, 시장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대응하는 모습을 나타냅니다.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 이 비율은 2020년부터 2022년까지 가파르게 상승하며, 기업이 보유한 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특히 2022년에는 0.88로 최고치를 기록하였으며, 이후 2023년과 2024년에는 다소 떨어졌지만 여전히 0.5 이상을 유지하고 있어, 자산 활용의 효율성이 비교적 안정적임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추세는 기업이 자산 활용도를 강화하고자 하는 전략적 노력을 지속했음을 암시합니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유럽, 중동 및 북아프리카(EMENA)
2024. 12. 31. | 2023. 12. 31. |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판매 및 기타 영업 수익 | 5,788) | 5,854) | 11,271) | 5,902) | 1,919) |
총 자산 | 9,770) | 8,396) | 8,263) | 9,125) | 8,756) |
보고 대상 세그먼트 활동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1 | 0.59 | 0.70 | 1.36 | 0.65 | 0.22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 2024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 판매 및 기타 영업 수익 ÷ 총 자산
= 5,788 ÷ 9,770 = 0.59
- 판매 및 기타 영업 수익
- 2020년부터 2022년까지 급격한 증가가 관찰되며, 2020년에는 약 19억 달러에서 2022년에는 112억 달러로 약 6배 이상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회사의 영업 활동이 활발해지고 매출이 크게 성장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후 2023년과 2024년에는 각각 약 5,854억 달러와 5,788억 달러로 다소 하락하거나 유지되는 모습을 보여, 일시적인 수익 정체 또는 안정기를 보이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 총 자산
- 2020년 87억 5,760만 달러에서 2022년 82억 6,300만 달러로 조금 감소하였으나, 2023년과 2024년에 각각 83억 9,600만 달러와 97억 7,000만 달러로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전체적으로 자산 규모는 변동성을 보이면서도 2023년 이후로는 회복 또는 확장하는 기미를 보이고 있어, 회사의 자산이 점차 확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 이 비율은 2020년 0.22에서 2021년 0.65로 급증하였고, 이후 2022년에는 1.36까지 치솟았습니다. 이는 부문 자산이 매출에 더욱 효율적으로 기여하고 있음을 의미하며, 자산 투입 대비 수익 창출 능력이 크게 향상된 것으로 해석됩니다. 이후 2023년과 2024년에는 각각 0.7과 0.59로 다소 하락하는 모습이 나타나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자산 활용 효율성이 개선된 점은 긍정적입니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아시아 태평양 (AP)
2024. 12. 31. | 2023. 12. 31. |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판매 및 기타 영업 수익 | 1,847) | 1,913) | 2,606) | 2,579) | 2,363) |
총 자산 | 8,390) | 8,903) | 9,511) | 9,840) | 11,231) |
보고 대상 세그먼트 활동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1 | 0.22 | 0.21 | 0.27 | 0.26 | 0.2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 2024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 판매 및 기타 영업 수익 ÷ 총 자산
= 1,847 ÷ 8,390 = 0.22
- 판매 및 기타 영업 수익
- 2020년 이후 2021년과 2022년에 걸쳐 수익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2021년에는 약 9.7%, 2022년에는 약 0.9%의 성장을 기록하여 일정 수준의 매출 성장세를 유지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2023년과 2024년에는 각각 약 26.7%와 3.4%의 감소가 확인되어, 최근 몇 년간 매출이 둔화 또는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 총 자산
- 2020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2021년부터 2024년까지 약 14.3%의 감액이 관찰됩니다. 이는 자산 규모가 축소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으로, 미자산 또는 자산 효율성의 개선, 또는 매각 및 감가상각 등으로 인한 자산 감소를 시사할 수 있습니다.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 이 비율은 0.21에서 0.27까지 증가하다가 다시 2023년과 2024년에 각각 0.21과 0.22로 축소되는 패턴을 보입니다. 초기에는 자산 활용 효율이 개선되는 모습을 나타내었으나, 이후에는 다시 낮아지거나 안정화되는 모습입니다. 이는 자산의 활용성이 일부 이전보다 저하되거나, 자산 회전율이 제한적임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기타 국제 (OI)
2024. 12. 31. | 2023. 12. 31. |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판매 및 기타 영업 수익 | —) | —) | —) | 4) | 7) |
총 자산 | 8) | —) | —) | 1) | 226) |
보고 대상 세그먼트 활동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1 | 0.00 | — | — | 4.00 | 0.03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 2024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 판매 및 기타 영업 수익 ÷ 총 자산
= 0 ÷ 8 = 0.00
- 수익 추세
- 2020년에는 판매 및 기타 영업 수익이 7백만 달러로 기록되어 있었으며, 이후 2021년에 4백만 달러로 감소하였습니다. 2022년, 2023년, 2024년 데이터는 확인할 수 없지만, 2020년과 2021년 사이에 수익이 하락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연속적인 데이터 부족으로 이후 수익 변동은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 총 자산 규모
- 총 자산은 2020년 226백만 달러로 표시되어 있으며, 2024년까지 8백만 달러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21년과 2022년 데이터는 제공되지 않지만,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자산 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주면서, 자산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운영되었음을 시사합니다.
- 자산 회전율
- 2020년의 자산 회전율은 0.03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2021년에는 4로 급증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는 자산을 활용한 수익 창출 효과가 상당히 증가했음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이후 데이터는 부족하여 2022년 이후의 변화 추세를 확인할 수 없습니다. 전체적으로, 2020년 대비 2021년에는 효율성이 크게 향상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2024. 12. 31. | 2023. 12. 31. |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
---|---|---|---|---|---|
알래스카 | 2.46 | 1.61 | 1.16 | 0.98 | 1.04 |
하위 48 (L48) | 1.01 | 1.13 | 1.16 | 0.77 | 0.56 |
캐나다 | 0.86 | 1.09 | 1.32 | 0.52 | 1.90 |
유럽, 중동 및 북아프리카(EMENA) | 1.34 | 1.89 | 1.36 | 0.62 | 0.77 |
아시아 태평양(AP) | 0.87 | 0.78 | 3.63 | 0.26 | 0.47 |
기타 국제(OI) | — | — | — | — | —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 알래스카 부문
-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알래스카 지역의 감가상각 비율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20년 1.04에서 2024년에는 2.46으로 두 배 이상 확대되었습니다. 이는 자본 지출이 해당 지역에서 점차 감가상각 비용에 더 큰 영향을 미치거나, 회계 처리 방식이 변경되었거나, 자산 수명이 단축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이러한 증가 추세는 해당 부문의 투자 활동 또는 자산의 노후 정도가 증가했음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 하위 48 (L48) 부문
- 이 부문의 감가상각 비율은 2020년 0.56에서 2022년 1.16까지 약 두 배로 상승했고, 이후 2023년에는 1.13, 2024년에는 1.01로 다소 감소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2022년 이후 다소 정체 또는 소폭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2020년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해당 지역에서의 자본 지출과 감가상각 비용이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거나 조정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 캐나다 부문
- 캐나다 지역의 감가상각 비율은 2020년 1.9에서 2021년 0.52로 크게 하락하였고, 이후 2022년 1.32, 2023년 1.09, 2024년 0.86으로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자산의 감가상각 방식 또는 자산의 활용과 관련된 정책 변동을 반영할 수 있으며, 자본 지출이나 자산 수명에 대한 조정이 이루어졌을 가능성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EMENA 부문
- 유럽, 중동 및 북아프리카 지역의 감가상각 비율은 2020년 0.77에서 2022년 1.36까지 증가했고, 2023년에는 1.89로 최고치를 기록한 후 2024년에는 1.34로 다소 감소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는 해당 지역에서의 투자 또는 자본 지출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졌음을 반영하며, 자산의 노후화 또는 감가상각 정책의 변화로 인한 값의 변동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 아시아 태평양 부문
- 이 지역은 2020년 0.47에서 2022년 3.63까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이후 2023년 0.78, 2024년 0.87로 빠르게 하락하는 특징을 보입니다. 2022년의 급증은 잠정적으로 중요한 자본 지출 또는 감가상각 방식의 일시적 변경과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이후에는 안정 또는 조정의 과정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변동성이 큰 구간임을 보여줍니다.
- 기타 국제 부문
- 이 항목은 데이터가 제공되지 않거나 누락되어 있어 해석이 어렵습니다.
전반적으로, 여러 지역에서 감가상각 비율의 변화는 각각의 지역별 자본 지출, 자산 수명, 감가상각 정책 또는 회계 처리의 차이와 관련된 다양한 내외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알래스카와 유럽 지역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며 감가상각 비용의 점진적 증가를 시사하는 반면, 캐나다와 아시아 태평양은 피크 후 조정 단계에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패턴은 지역별 자산 활용 전략, 투자 규모 또는 회계 정책 차이 등을 분석하는 데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습니다.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알래스카
2024. 12. 31. | 2023. 12. 31. |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자본 지출 및 투자 | 3,194) | 1,705) | 1,091) | 982) | 1,038) |
감가상각, 고갈, 상각(DD&A) | 1,299) | 1,061) | 939) | 1,002) | 996) |
보고 대상 부문 재무 비율 |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1 | 2.46 | 1.61 | 1.16 | 0.98 | 1.04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 2024 계산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자본 지출 및 투자 ÷ 감가상각, 고갈, 상각(DD&A)
= 3,194 ÷ 1,299 = 2.46
- 자본 지출 및 투자
-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자본 지출 및 투자 규모는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20년의 1038백만 달러에서 2024년에는 3194백만 달러로 크게 늘어나, 연평균적으로 확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증가는 기업이 장기적인 성장 전략을 위해 더 많은 자본을 투입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2023년부터 2024년까지의 증가폭이 상당하며, 이 기간 동안 추가 투자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 감가상각, 고갈, 상각(DD&A)
- 2020년부터 2024년까지 DD&A 비용은 연평균적으로 비교적 안정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2020년 996백만 달러에서 2024년에는 1299백만 달러로 약간 증가했으며, 이는 기업의 감가상각 관련 비용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음을 반영한다. 이 증가는 자본 지출의 확대와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기업의 규모 확장과 관련된 자산 감가상각이 점차적 증가 추세임을 나타낸다.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이 비율은 2020년 1.04에서 2024년 2.46까지 상승하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자본 지출이 감가상각 비용에 비해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증가는 기업이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자본 투자를 통해 성장 모멘텀을 강화하고자 하는 전략적 방향을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2023년부터 2024년까지의 비율 상승은 투자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하단 48 (L48)
2024. 12. 31. | 2023. 12. 31. |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자본 지출 및 투자 | 6,510) | 6,487) | 5,630) | 3,129) | 1,881) |
감가상각, 고갈, 상각(DD&A) | 6,442) | 5,722) | 4,865) | 4,067) | 3,358) |
보고 대상 부문 재무 비율 |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1 | 1.01 | 1.13 | 1.16 | 0.77 | 0.56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 2024 계산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자본 지출 및 투자 ÷ 감가상각, 고갈, 상각(DD&A)
= 6,510 ÷ 6,442 = 1.01
- 자본 지출 및 투자
- 2020년부터 2024년까지 기간 동안 자본 지출 및 투자는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줍니다. 2020년의 1,881백만 달러에서 2024년에는 6,510백만 달러에 이르러 거의 세 배 가까이 상승하였으며, 특히 2021년 이후 빠른 성장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러한 증가는 회사가 미래 성장을 위해 적극적으로 설비 투자와 개발 활동에 집중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 감가상각, 고갈, 상각(DD&A)
- 감가상각, 고갈, 상각 비용은 2020년 3,358백만 달러에서 2024년 6,442백만 달러로 증가하였으며, 이는 자본 투자 증가에 따른 감가상각 비용의 상승을 반영합니다. 연도별 추이를 보면, 지속적인 증가세를 유지하며, 최근에는 연간 비용이 6,400백만 달러를 상회하고 있습니다. 이는 자산의 감가상각이 확대됨에 따라, 감가상각 비용이 수익성 분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이 비율은 2020년 0.56에서 2022년에는 1.16까지 상승하였으며, 이후 2023년과 2024년에는 각각 1.13과 1.01로 다소 하락하는 양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 지표의 증가는 자본 지출이 감가상각에 비해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줬음을 의미하며, 이는 투자활동이 감가상각 비용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이루어졌음을 시사합니다. 그러나 2023년 이후 비율이 하락하는 것은, 자본 투자가 감가상각 비용과 비슷하거나 더 느리게 증가하는 정황을 반영하여, 투자 전략이 변화했거나 감가상각 관련 정책 또는 자산 활용에 변화가 있었을 가능성을 암시합니다.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캐나다
2024. 12. 31. | 2023. 12. 31. |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자본 지출 및 투자 | 551) | 456) | 530) | 203) | 651) |
감가상각, 고갈, 상각(DD&A) | 639) | 420) | 402) | 392) | 342) |
보고 대상 부문 재무 비율 |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1 | 0.86 | 1.09 | 1.32 | 0.52 | 1.90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 2024 계산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자본 지출 및 투자 ÷ 감가상각, 고갈, 상각(DD&A)
= 551 ÷ 639 = 0.86
- 자본 지출 및 투자
- 2020년 이후 연간 자본 지출은 변동이 크지 않으며, 2020년 651백만 달러에서 2021년 급감했고, 이후 점차 회복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2021년의 투자 규모가 크게 감소한 반면, 2022년부터 다시 증가하는 모습이 나타납니다. 이러한 패턴은 프로젝트 중단 또는 투자 전략상의 일시적 조정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2024년 예상 자본 지출도 2023년 대비 소폭 증가하여, 회사가 성장 또는 유지 차원에서 투자를 지속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 감가상각, 고갈, 상각(DD&A)
- 2020년부터 2024년까지 감가상각 비용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며, 2020년 342백만 달러에서 2024년 639백만 달러로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자산의 감가상각이 점차 확대되고 있음을 나타내며, 자산의 노후화 또는 신규 투자에 따른 감가상각 증가 양상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감가상각 비용의 증가는 회계 처리상의 자연스러운 현상임과 동시에, 회사의 자산 포트폴리오의 변화 또는 투자 규모의 증대와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이 비율은 2020년 1.9에서 2021년 0.52로 매우 낮아졌으며, 이후 점차 증가하는 흐름을 보입니다. 2022년과 2023년에는 각각 1.32와 1.09로 회복되었고, 2024년에는 0.86으로 다시 소폭 하락하였으나, 여전히 2021년 수준보다 높게 유지되고 있습니다. 이 비율은 자본 지출과 감가상각 비용 간의 관계를 보여주며, 2021년의 급감은 투자 축소 또는 감가상각 비용과의 차이 조정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이후의 회복은 투자 활동이 다시 활발해지고 있음을 시사하며, 감가상각 규모가 자본 지출과 비교하여 점차 적절하게 조정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유럽, 중동 및 북아프리카(EMENA)
2024. 12. 31. | 2023. 12. 31. |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자본 지출 및 투자 | 1,021) | 1,111) | 998) | 534) | 600) |
감가상각, 고갈, 상각(DD&A) | 761) | 587) | 736) | 862) | 775) |
보고 대상 부문 재무 비율 |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1 | 1.34 | 1.89 | 1.36 | 0.62 | 0.77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 2024 계산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자본 지출 및 투자 ÷ 감가상각, 고갈, 상각(DD&A)
= 1,021 ÷ 761 = 1.34
- 자본 지출 및 투자
- 2020년 이후로 자본 지출이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22년에 가장 높았던 998백만 달러 이후 2023년과 2024년에 각각 1111백만 달러와 1021백만 달러로 조정을 거쳤다. 이러한 증가는 생산능력 확장 또는 유지, 신규 프로젝트 또는 자산 구매와 연관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사가 미래 성장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속적인 투자를 진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감가상각, 고갈, 상각(DD&A)
- 감가상각 관련 비용은 2020년 775백만 달러에서 2021년 862백만 달러로 증가한 이후, 2022년에는 736백만 달러로 다소 하락한다. 이후 2023년에는 587백만 달러로 다시 낮아지고, 2024년에는 761백만 달러로 회복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러한 변동은 감가상각 대상 자산의 전략적 재평가 또는 자산 활용도 변화와 관련 있을 수 있다. 감가상각 비용이 변동함에 따라 순이익과 현금 흐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경영진이 자산 운용에 대해 적극적으로 조정하는 신호일 수 있다.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이 비율은 2020년 0.77에서 2021년 0.62로 감소하였다가, 2022년 1.36으로 급증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후 2023년에는 1.89로 상당히 높아졌다가, 2024년에는 1.34로 하락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자본 지출이 감가상각 비용 대비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하며, 특히 2022년과 2023년에 높은 비율을 기록하면서 투자 활동이 감가상각 비용보다 훨씬 큰 규모로 집행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회사가 집중적으로 신규 자산에 대한 투자를 추진하면서 단기적으로 감가상각 비용에 비해 상당한 자본 지출을 유지하는 전략을 택했음을 암시한다.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아시아 태평양 (AP)
2024. 12. 31. | 2023. 12. 31. |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자본 지출 및 투자 | 370) | 354) | 1,880) | 390) | 384) |
감가상각, 고갈, 상각(DD&A) | 425) | 455) | 518) | 1,483) | 809) |
보고 대상 부문 재무 비율 |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1 | 0.87 | 0.78 | 3.63 | 0.26 | 0.47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 2024 계산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자본 지출 및 투자 ÷ 감가상각, 고갈, 상각(DD&A)
= 370 ÷ 425 = 0.87
- 자본 지출 및 투자 현황
- 2020년부터 2021년까지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다가, 2022년에 크게 증가하여 약 1,880백만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이후 2023년과 2024년에는 다시 감소하거나 비슷한 수준(약 354-370백만 달러)으로 조정된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변화는 자본적 지출의 일시적인 확대를 반영하거나, 전략적 프로젝트 또는 설비투자 확대 후 현금 흐름 조절의 일환인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감가상각, 고갈, 상각(DD&A) 비용
- 이 비용은 2020년과 2021년에 각각 809백만 달러, 1,483백만 달러로 크게 증가한 후, 2022년에는 518백만 달러로 일정 수준으로 낮아졌고, 이후 2023년과 2024년은 각각 455백만 달러와 425백만 달러로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2021년의 급증은 딥 프레임을 기반으로 한 감가상각 비용 증가 혹은 추가 자산의 상각 시작을 시사할 수 있으며, 이후에는 안정된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이 비율은 2020년 약 0.47에서 2021년 약 0.26으로 감소하였다가, 2022년에는 비율이 크게 상승하여 3.63으로 급증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후 2023년과 2024년에는 각각 0.78과 0.87로 낮아졌으며, 두 해 모두 2020년보다 매우 높은 수준입니다. 이 패턴은 2022년 특히 자본 지출이 감가상각 비용에 비해 상당히 비중 있게 이루어진 것을 보여주며, 2023년과 2024년에는 다시 비율이 안정화되었음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변동은 자본 투자 전략의 조정 또는 감가상각 정책의 차이에 기인할 수 있으며, 회사가 자본 효율성을 달성하려는 노력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기타 국제 (OI)
2024. 12. 31. | 2023. 12. 31. |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자본 지출 및 투자 | —) | —) | —) | 33) | 121) |
감가상각, 고갈, 상각(DD&A) | —) | —) | —) | —) | —) |
보고 대상 부문 재무 비율 |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1 | — | — | — | — | —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 2024 계산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자본 지출 및 투자 ÷ 감가상각, 고갈, 상각(DD&A)
= 0 ÷ 0 = —
- 자본 지출 및 투자
- 2020년부터 2021년까지 자본 지출은 상당히 감소하여 121백만 달러에서 33백만 달러로 축소되었으며, 이후 데이터에서는 값이 제공되지 않아 추세를 명확히 판단하기 어렵다. 그러나 초기 기간 동안의 축소는 투자 또는 프로젝트 규모의 축소 또는 조정 가능성을 시사한다.
- 감가상각, 고갈, 상각(DD&A)
- 해당 항목에 대한 값이 최근 기간에 걸쳐 제공되지 않아, 감가상각 비용의 변화 추세와 관련된 내부적 조정 또는 보고서 작성상의 차이로 인한 것인지 파악하기 어렵다. 추가 데이터가 확보될 경우 보다 명확한 분석이 가능할 것이다.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이 비율에 대한 구체적 수치가 제시되지 않음으로써, 해당 지표를 통한 효율성 또는 비용 구조에 대한 평가 역시 제한적이다. 다만, 관련 데이터가 확보될 경우, 자본 지출과 감가상각 간의 상관관계 또는 효율성 평가에 활용될 수 있다.
판매 및 기타 영업 수익
2024. 12. 31. | 2023. 12. 31. |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
---|---|---|---|---|---|
알래스카 | 6,553) | 7,098) | 7,905) | 5,480) | 3,408) |
하위 48 (L48) | 37,028) | 38,244) | 52,921) | 29,306) | 9,872) |
캐나다 | 5,636) | 4,873) | 6,159) | 4,077) | 1,666) |
유럽, 중동 및 북아프리카(EMENA) | 5,788) | 5,854) | 11,271) | 5,902) | 1,919) |
아시아 태평양(AP) | 1,847) | 1,913) | 2,606) | 2,579) | 2,363) |
기타 국제(OI) | —) | —) | —) | 4) | 7) |
법인 및 기타 | 54) | 63) | 122) | 75) | 18) |
통합 | 56,906) | 58,045) | 80,984) | 47,423) | 19,253)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 판매 및 기타 영업 수익의 전반적 동향은 꾸준한 성장과 변동을 보이고 있습니다.
-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전체 판매 수익은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 2020년 19,253백만 달러에서 2022년 80,984백만 달러로 급증하였으며, 이는 주로 L48 지역과 EMENA 지역에서 높은 성장세에 기인합니다. 광고 효과 및 시장 확장으로 인한 수익 증가가 관찰됩니다.
- 특정 지역별 수익은 다양한 패턴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 L48 지역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2020년 9,872백만 달러에서 2022년 52,921백만 달러로 급증하였고, 이후 다소 감소하거나 정체 기간도 있었으나 2024년 기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유럽, 중동 및 북아프리카 지역도 계속적인 성장세를 보였으며, 2022년 약 11,271백만 달러를 기록하였으나 2023년과 2024년에는 다소 감소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 중국, 아시아 태평양 지역은 상대적으로 성장률이 낮거나 정체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2022년 이후 수익이 낮거나 감소하는 추세입니다.
- 기타 국제와 법인 및 기타 지역은 전체 수익에 비해 작은 규모이며, 2020년에서 2022년 사이 일부 성장 후 이후에는 정체 또는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습니다.
- 통합 수익은 연도별 변동성을 나타내며, 2022년까지 급격한 상승 후 2023년 및 2024년에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 관찰됩니다.
- 요약하자면, 전체적으로 판매 수익은 글로벌 시장 확장과 특정 지역의 성장에 힘입어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이후 일정한 정체 또는 소폭 하락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이와 관련된 지역별 수익 구조 및 시장 동향 파악이 향후 전략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 기타 국제와 법인 및 기타 지역은 전체 수익에 비해 작은 규모이며, 2020년에서 2022년 사이 일부 성장 후 이후에는 정체 또는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습니다.
감가상각, 고갈, 상각(DD&A)
2024. 12. 31. | 2023. 12. 31. |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
---|---|---|---|---|---|
알래스카 | 1,299) | 1,061) | 939) | 1,002) | 996) |
하위 48 (L48) | 6,442) | 5,722) | 4,865) | 4,067) | 3,358) |
캐나다 | 639) | 420) | 402) | 392) | 342) |
유럽, 중동 및 북아프리카(EMENA) | 761) | 587) | 736) | 862) | 775) |
아시아 태평양(AP) | 425) | 455) | 518) | 1,483) | 809) |
기타 국제(OI) | —) | —) | —) | —) | —) |
법인 및 기타 | 33) | 25) | 44) | 76) | 54) |
통합 | 9,599) | 8,270) | 7,504) | 7,882) | 6,334)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 감가상각, 고갈, 상각(DD&A) 관련 비용의 추세
-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전반적으로 해당 비용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특히, 알래스카 지역은 연평균 수치가 꾸준히 상승했으며, 2024년에는 1,299백만 달러로 전년도에 비해 증가하였다. 하위 48 지역 역시 가장 큰 증감 폭을 보이며 2024년에는 6,442백만 달러로 증가하였다. 캐나다와 기타 국제 지역은 비교적 안정적인 변화를 보였으며, 특히 캐나다는 2024년 639백만 달러로 소폭 상승하였다. EMENA와 아시아 태평양 지역은 각각의 요인으로 인해 일부 연도에 변동성이 있지만, 전체적으로 약간의 상승 또는 하락을 반복하다 2024년에는 각각 761백만 달러와 425백만 달러로 나타났다. 법인 및 기타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유지하면서도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전체적으로 보면, 절감 비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은 부동산 가치 조정이나 운영 규모 확장 등의 요소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전체 통합 수치는 2020년 6,334백만 달러에서 2024년 9,599백만 달러로 상승했으며, 이는 비용이 증가하는 전반적인 흐름을 반영한다.
- 지역별 세부 분석
- 개별 지역별로 살펴보면, 하위 48 지역은 가장 큰 증가세를 보이며 2024년까지 꾸준히 수치가 상승했다. 알래스카도 마찬가지로 동일한 추세를 이어가며, 특히 2024년에는 현저한 증가를 보여주었다. 캐나다를 비롯한 EMENA와 아시아 태평양 지역은 상대적으로 변동이 크지 않거나 소폭 상승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들 지역은 글로벌 원자재 가격이나 운영 전략에 따라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 기타 국제 지역은 자료가 누락되어 있어 명확한 추세 분석이 어렵다. 전체적으로 볼 때, 여러 지역에서의 비용 증가는 글로벌 비즈니스 확장 또는 기존 인프라의 유지·보수 비용 증가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이를 반영하는 전체 비용도 상승하는 모습이 나타난다.
- 결론 및 시사점
- 2020년 이후 감가상각, 고갈, 상각 비용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주며 이는 기업의 자산 가치 조정 혹은 자본 투자 확대의 징후일 수 있다. 지역별 차이를 고려할 때, 하위 48 지역과 알래스카의 비용 증가가 두드러지며, 이는 해당 지역의 자산 또는 활동 수준이 확대되었음을 시사할 수 있다. 전체 비용 증가와 함께, 이들 추세는 기업의 장기적 운영 전략, 자본 투자 및 자산 유지 정책의 영향을 반영한다. 앞으로도 이 비용이 계속 증가한다면, 비용 통제 및 효율성을 위한 전략적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ConocoPhillips에 귀속되는 순이익(손실)
2024. 12. 31. | 2023. 12. 31. |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
---|---|---|---|---|---|
알래스카 | 1,326) | 1,778) | 2,352) | 1,386) | (719) |
하위 48 (L48) | 5,175) | 6,461) | 11,015) | 4,932) | (1,122) |
캐나다 | 712) | 402) | 714) | 458) | (326) |
유럽, 중동 및 북아프리카(EMENA) | 1,189) | 1,189) | 2,244) | 1,167) | 448) |
아시아 태평양(AP) | 1,724) | 1,961) | 2,736) | 453) | 962) |
기타 국제(OI) | (1) | (13) | (51) | (107) | (64) |
법인 및 기타 | (880) | (821) | (330) | (210) | (1,880) |
통합 | 9,245) | 10,957) | 18,680) | 8,079) | (2,70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 전반적인 순이익 추세
- 전체적으로 분석 기간 동안 회사의 순이익은 변동성이 크지만, 2020년에 큰 손실을 기록한 후 2021년과 2022년에 뚜렷한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특히 2022년에는 전년 대비 크게 증가하여 연속적 수익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이 특징적입니다. 2023년과 2024년에는 일부 축소된 수익으로 조정되었으나 여전히 상당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지역별 성과 변화
- 알래스카와 캐나다 지역은 2020년의 부진 후 각각 2021년과 2022년에 급증하는 회복세를 보였으며, 특히 알래스카는 2022년에 2,352백만 달러로 크게 상승하였습니다. EMENA와 아시아 태평양 지역 역시 강한 성장률을 기록하며 각각 2022년 높은 순이익을 기록했으나, 이후 둔화 또는 유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기타 국제 사업의 성과는 상대적으로 미미하며, 지속적인 손실 또는 소폭의 손실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 지속적인 손실 그리고 법인 및 기타 부문
- 법인 및 기타 부문은 계속해서 적자를 기록하고 있으며, 2020년 이후도 상태가 개선되지 않고 오히려 손실 규모가 커지고 있는 양상을 보여줍니다. 2023년과 2024년에는 각각 -821백만 달러, -880백만 달러로 집계되어, 영업의 핵심 부문이 안정적인 이익을 지속적으로 내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 통합 성과와 전반적 수익성
- 2020년에는 큰 손실로 -2,701백만 달러의 적자를 기록한 이후, 2021년과 2022년에는 각각 8,079백만 달러와 18,680백만 달러로 급격한 흑자 전환을 보여줍니다. 이후 2023년과 2024년에는 다소 축소되었지만 여전히 양호한 수준의 순이익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는 전반적인 재무 성과가 회복되었음을 시사합니다. 이러한 변화는 특정 지역 또는 사업 부문의 성과와 더불어 전체적인 포트폴리오 개선 또는 시장 분위기 반전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총 자산
2024. 12. 31. | 2023. 12. 31. |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
---|---|---|---|---|---|
알래스카 | 18,030) | 16,174) | 15,126) | 14,812) | 14,623) |
하위 48 (L48) | 66,977) | 42,415) | 42,950) | 41,699) | 11,932) |
캐나다 | 9,513) | 10,277) | 6,971) | 7,439) | 6,863) |
유럽, 중동 및 북아프리카(EMENA) | 9,770) | 8,396) | 8,263) | 9,125) | 8,756) |
아시아 태평양(AP) | 8,390) | 8,903) | 9,511) | 9,840) | 11,231) |
기타 국제(OI) | 8) | —) | —) | 1) | 226) |
법인 및 기타 | 10,092) | 9,759) | 11,008) | 7,745) | 8,987) |
통합 | 122,780) | 95,924) | 93,829) | 90,661) | 62,618)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 총 자산의 추세 분석
-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전반적으로 총 자산은 지속적인 증가 경향을 보이고 있다. 특히 2021년에 약 90,661백만 달러로 급증한 이후, 2022년과 2023년에는 각각 93,829백만 달러와 95,924백만 달러로 안정적인 성장을 유지하였다. 2024년에는 약 122,780백만 달러로 큰 폭의 증대가 나타나, 전체 자산 규모가 크게 확장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개별 지역별 자산 동향을 살펴보면, '하위 48 (L48)' 지역은 2020년 11,932백만 달러에서 2021년에 급증하여 41,699백만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이후 변동을 보이면서도 꾸준한 증가세를 유지하였다. 2024년에는 66,977백만 달러로 자리 잡았으며, 이는 해당 지역의 자산이 크게 확대된 것을 의미한다.
'알래스카'와 '캐나다' 지역 역시 전체적으로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면서, 특히 캐나다는 2023년까지 자산이 증가하다가 2024년에는 다소 감퇴하는 모습을 보인다. '유럽, 중동 및 북아프리카(EMENA)'와 '아시아 태평양(AP)' 지역은 안정적 또는 약간의 변동을 보이면서도, 총 자산의 증가에 기여하는 모습이다. '기타 국제' 부문은 데이터가 불완전하며, 2023년 이후 값이 나타나지 않거나 누락된 상태임을 고려해야 한다.
- 지역별 자산 성장 분석
-
아시아 태평양 지역은 2020년 이후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여 2024년에는 8,390백만 달러로 기록되었다. 이는 해당 지역의 자산이 상대적으로 축소된 결과로 해석할 수 있으며, 글로벌 자산 규모 증가와 대조적이다.
법인 및 기타 부문은 2020년 8,987백만 달러에서 2022년에 큰 폭으로 증가하여 11,008백만 달러에 도달하였고, 이후 약간의 감소 후 재차 상승하는 양상을 보인다. 전체적으로는 2024년까지 꾸준한 증감일반적으로 볼 때, 총 자산의 증가는 회사의 글로벌 자산 포트폴리오 확대 또는 투자 확대를 반영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전반적으로, 각 지역별 자산 증가는 회사의 전반적인 성장 전략과 시장 확장 활동의 결과로 해석될 수 있으며, 특히 하위 48 지역의 급증이 전체 자산 증가에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자본 지출 및 투자
2024. 12. 31. | 2023. 12. 31. |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
---|---|---|---|---|---|
알래스카 | 3,194) | 1,705) | 1,091) | 982) | 1,038) |
하위 48 (L48) | 6,510) | 6,487) | 5,630) | 3,129) | 1,881) |
캐나다 | 551) | 456) | 530) | 203) | 651) |
유럽, 중동 및 북아프리카(EMENA) | 1,021) | 1,111) | 998) | 534) | 600) |
아시아 태평양(AP) | 370) | 354) | 1,880) | 390) | 384) |
기타 국제(OI) | —) | —) | —) | 33) | 121) |
법인 및 기타 | 472) | 1,135) | 30) | 53) | 40) |
통합 | 12,118) | 11,248) | 10,159) | 5,324) | 4,715)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 자본 지출 및 투자 총액의 전반적인 증가 추세
-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총 자본 지출 및 투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2022년 이후 빠른 성장세를 보였으며, 2024년에는 2020년 대비 약 2.56배 증가하여 12,118 백만 달러에 달하였다. 이러한 증가는 회사의 성장 전략과 투자 확대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 지역별 투자 패턴 및 변화
- - 북미 지역(하위 48)와 법인 및 기타 부문의 투자가 두드러지게 증가하였다. 특히, 법인 및 기타 분야는 2021년 53백만 달러에서 2023년 1,135백만 달러로 급증하였고, 2024년 역시 472백만 달러를 기록하였다.
- - 알래스카, 캐나다, EMENA, 아시아 태평양 등 다른 지역의 투자도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지만, 일부 지역은 변동성이 크거나 일시적인 감소도 관찰된다. 예를 들어, 아시아 태평양의 경우 2022년 폭증 후 2023년에 다소 축소되었으나, 2024년에는 다시 소폭 상승하였다.
- - 기타 국제 부문은 데이터가 누락되어 있어 명확한 분석이 어려우나, 전체적인 투자 확대 추세와 일치할 가능성이 있다.
- 지역별 투자 규모와 성장률
- - 하위 48 지역은 초기 투자액이 상대적으로 적었으나, 2022년부터 급증하는 모습을 보이며 최대치에 도달하였다. 이는 미국 내 주요 자본 재투자와 생산 확대를 위한 투자 전략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 - 유럽, 중동 및 북아프리카(EMENA)의 투자는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2023년과 2024년에 각각 증가폭이 크지 않거나 정체 상태를 보이나, 지속적인 투자 유지가 이루어지고 있다.
- - 아시아 태평양 지역은 2022년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며, 이후 약간의 변동성을 보이지만 꾸준히 유지되고 있다.
- 통합 자본 지출의 증대
- - 전체 자본 지출이 일관되게 상승하는 가운데, 2022년 이후 가파른 증가를 보여 2023년과 2024년 모두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였다. 이 패턴은 전반적인 기업의 성장 전략 및 글로벌 사업 확장 의지를 반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