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차대조표의 구조: 부채와 주주자본
분기별 데이터
보고서 기준: 10-Q (보고 날짜: 2025-06-30), 10-Q (보고 날짜: 2025-03-31), 10-K (보고 날짜: 2024-12-31), 10-Q (보고 날짜: 2024-09-30), 10-Q (보고 날짜: 2024-06-30), 10-Q (보고 날짜: 2024-03-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Q (보고 날짜: 2023-09-30), 10-Q (보고 날짜: 2023-06-30), 10-Q (보고 날짜: 2023-03-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Q (보고 날짜: 2022-09-30), 10-Q (보고 날짜: 2022-06-30), 10-Q (보고 날짜: 2022-03-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Q (보고 날짜: 2021-09-30), 10-Q (보고 날짜: 2021-06-30), 10-Q (보고 날짜: 2021-03-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Q (보고 날짜: 2020-09-30), 10-Q (보고 날짜: 2020-06-30), 10-Q (보고 날짜: 2020-03-31).
- 전체적인 추세 및 패턴
-
분석 기간 동안 총 부채 및 자본 비율은 전체적으로 안정세를 유지하며, 상당히 높은 비율인 84%에서 88% 범위 내에서 움직이고 있음이 관찰됩니다. 이는 해당 기간 동안 회사가 부채와 자본을 긴밀하게 유지하며 재무구조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특히, 부채 항목은 연중 내내 대체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총 부채는 약 84%에서 88% 사이에서 변동하며,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 모두 같은 범위 내에서 안정적 흐름을 보여줍니다. 이는 회사가 지속적으로 부채를 활용하여 운영하는 방식이 유지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유동부채 비율은 35% 내외로 유지되며, 기초자산 유동성 전략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반면에, '포드 크레딧'과 '기타 부채 및 이연수익' 항목은 부채 구조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포드 크레딧의 부채 비율은 지속적으로 28-30% 내에서 변동하며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는 반면, 기타 부채는 9-11% 구간에서 등락하는 모습입니다. 이는 자회사 및 금융 자산 운영과 관련된 부채의 안정성을 시사합니다.
- 자본 구조 및 구성 변화
-
자본 항목에서는 이익잉여금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 6.64%에서 11.05%까지 상승하여 내부 자본의 축적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지속적인 수익창출과 적립 정책이 유지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한편, '자사주' 항목은 지속적으로 음수 값을 유지하며, 주주 배당과 자사주 매입 활동이 활발했음을 시사합니다. 이로 인해 회사의 자기자본 비중이 약 15.39%에서 16.52% 사이에 안정적으로 자리 잡았으며, 주당 액면가 초과 자본도 대체로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어 자본구조의 안정성이 높음을 보여줍니다.
이익잉여금 증가와 자본 비율 안정은 회사가 재무적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며 장기적으로 자본을 축적하는 방향으로 운영되고 있음을 반영합니다.
- 부채 만기 구조와 유동성
-
단기 부채(1년 이내에 갚아야 할 부채)의 비율은 약 17-20% 범위 내에서 점차적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1년 후에 상환해야 할 장기 부채 비율은 34-36% 내에서 안정적입니다. 이는 회사가 단기 부채와 장기 부채의 상환 압력을 적절히 분산시키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연 소득세는 비교적 낮은 비중을 차지하며, 일정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습니다. 반면, 비유동부채는 전체 부채의 약 45% 내외를 차지하며, 전체 부채 구조는 장기적 차입과 유동성 관리가 균형 있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 기타 관찰 사항
-
지분 구조는 '회사가 귀속하는 지분'이 대다수이며, 비지배지분은 미미하거나 부정적 값을 보이기도 하는 등 지분 구조의 복잡성을 보여줍니다. 전체 부채 비율은 약 84-85%로서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어, 재무구조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익잉여금과 자본 구성의 꾸준한 증가는 재무 건전성을 높이고 있으며, 부채 비율의 높은 수준에도 불구하고 내부 자본 기반이 점차 강화되고 있다는 점이 주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