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에 대한 잉여 현금 흐름(FCFF)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01-29), 10-K (보고 날짜: 2021-01-30), 10-K (보고 날짜: 2020-02-01), 10-K (보고 날짜: 2019-02-02), 10-K (보고 날짜: 2018-02-03), 10-K (보고 날짜: 2017-01-28).
1, 2 자세히 보기 »
-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 제공
- 2017년부터 2022년까지의 데이터를 살펴보면,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 제공은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해 왔으며, 특히 2021년에 급증하는 양상을 보입니다. 2017년과 2018년에는 각각 1,673,300천 달러와 1,510,200천 달러로 안정적인 흐름을 나타냈으며, 이후 2019년과 2020년에도 상승세를 보여 1,766,000천 달러와 1,869,800천 달러를 기록하였습니다. 가장 큰 변화는 2021년으로, 2,716,300천 달러로 평균보다 훨씬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2022년에는 다소 하락하여 1,431,500천 달러를 기록하였으나, 여전히 2017년 이후의 중간 수준입니다. 이러한 증감은 회사의 영업 효율성이나 시장 환경 변화에 따른 것일 수 있으며, 특히 2021년의 급증은 기업의 일시적인 수익성 향상 또는 특별한 영업적 요인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회사에 대한 잉여 현금 흐름(FCFF)
- FCFF는 2017년부터 2022년까지 총체적으로 변동하는 양상을 보여줍니다. 2017년에는 1,332,031천 달러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다가, 2018년에는 하락하여 1,073,229천 달러로 감소하였습니다. 이후 2019년에는 다시 상승하여 1,255,104천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2020년에는 일시적인 하락이 있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2020년 이후에는 크게 증가하는데, 2021년에는 1,937,853천 달러로 거의 2배 가까이 뛰었으며, 이는 기업의 재무 성과 또는 현금 창출 능력의 개선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2022년에는 다시 크게 하락하여 554,541천 달러로 줄어들었는데, 이는 잠정적이거나 일시적인 요인일 수 있으며, 회사의 장기적인 현금 흐름 안정성에 대한 추가 검토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지급된 이자, 세금 순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01-29), 10-K (보고 날짜: 2021-01-30), 10-K (보고 날짜: 2020-02-01), 10-K (보고 날짜: 2019-02-02), 10-K (보고 날짜: 2018-02-03), 10-K (보고 날짜: 2017-01-28).
1 자세히 보기 »
2 2022 계산
이자를 위해 지불한 현금, 자본화된 금액의 순액, 세금 = 이자를 위해 지급된 현금, 자본화된 금액의 순 × EITR
= 176,100 × 18.60% = 32,755
3 2022 계산
자본화된 이자, 세금 = 자본화된 이자 × EITR
= 1,100 × 18.60% = 205
- 실효 소득세율(EITR)
-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실효 소득세율은 32.6%에서 21%로 하락하는 일관된 하락 추세를 보였습니다. 2020년 이후에는 24.7%로 일시적 상승이 있었고, 2021년과 2022년에는 각각 22.9%와 18.6%로 계속해서 감세 현상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전반적으로는 세율이 점차 낮아지는 방향을 보여주며, 이는 회사의 세제 혜택 또는 세무 전략의 변화와 관련 있을 수 있습니다.
- 이자를 위해 지급된 현금, 자본화된 금액의 순, 세금의 순
-
이 항목은 전반적으로 일정한 수준의 지급액을 보여주며 2017년 221,813천 달러에서 다소 변동 후 2020년 이후 143,345천 달러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냅니다. 특히 2020년에 급격히 감소했으며, 이후에는 다소 회복되는 모습이 관찰됩니다. 이는 회사의 이자 지급이나 자본화 규모와 관련된 전략적 조정, 또는 유동성 상황의 변화와 연관 있을 수 있습니다.
한편, 자본화된 이자, 세금 순 항목은 2017년 1,618천 달러에서 2022년 895천 달러로 하락하는 추세를 보입니다. 2019년 이후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 역시 회사의 자본화 또는 세금 전략 변화와 연관되어 있을 개연성이 있습니다.
FCFF 대비 기업 가치 비율전류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천) | |
기업 가치 (EV) | 36,133,978) |
회사에 대한 잉여 현금 흐름(FCFF) | 554,541) |
밸류에이션 비율 | |
EV/FCFF | 65.16 |
벤치 마크 | |
EV/FCFF경쟁자1 | |
Costco Wholesale Corp. | 61.63 |
Target Corp. | 11.13 |
Walmart Inc. | 56.42 |
EV/FCFF부문 | |
필수소비재 유통 & 소매 | 61.67 |
EV/FCFF산업 | |
필수소비재 | 39.75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01-29).
1 경쟁업체 이름을 클릭하면 계산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회사의 EV/FCFF가 벤치마크의 EV/FCFF보다 낮으면 회사는 상대적으로 저평가되어 있습니다.
그렇지 않고 회사의 EV/FCFF가 벤치마크의 EV/FCFF보다 높으면 회사는 상대적으로 과대평가된 것입니다.
FCFF 대비 기업 가치 비율역사적인
2022. 1. 29. | 2021. 1. 30. | 2020. 2. 1. | 2019. 2. 2. | 2018. 2. 3. | 2017. 1. 28.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천) | |||||||
기업 가치 (EV)1 | 36,437,266) | 27,261,718) | 21,223,520) | 28,668,857) | 27,305,122) | 23,540,007) | |
회사에 대한 잉여 현금 흐름(FCFF)2 | 554,541) | 1,937,853) | 964,968) | 1,255,104) | 1,073,229) | 1,332,031) | |
밸류에이션 비율 | |||||||
EV/FCFF3 | 65.71 | 14.07 | 21.99 | 22.84 | 25.44 | 17.67 | |
벤치 마크 | |||||||
EV/FCFF경쟁자4 | |||||||
Costco Wholesale Corp. | 74.47 | 38.43 | 26.70 | 37.24 | — | — | |
Target Corp. | 20.94 | 11.33 | 14.93 | — | — | — | |
Walmart Inc. | 33.26 | 14.86 | 22.39 | — | — | — | |
EV/FCFF부문 | |||||||
필수소비재 유통 & 소매 | 35.73 | 17.09 | 22.18 | — | — | — | |
EV/FCFF산업 | |||||||
필수소비재 | 30.41 | 20.99 | 23.37 | — | — | —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01-29), 10-K (보고 날짜: 2021-01-30), 10-K (보고 날짜: 2020-02-01), 10-K (보고 날짜: 2019-02-02), 10-K (보고 날짜: 2018-02-03), 10-K (보고 날짜: 2017-01-28).
1 자세히 보기 »
2 자세히 보기 »
3 2022 계산
EV/FCFF = EV ÷ FCFF
= 36,437,266 ÷ 554,541 = 65.71
4 경쟁업체 이름을 클릭하면 계산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2017년부터 2022년까지의 재무 데이터를 분석하면, 기업 가치는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2022년에는 약 36,437,266천 달러로 전년도보다 큰 폭으로 상승하여 상당한 성장세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반면, 회사의 잉여 현금 흐름(FCFF)은 2017년 약 1,332,031천 달러에서 2022년 약 554,541천 달러로 전체적으로 하락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하락은 수치상으로 볼 때, 2018년부터 2020년까지 감소세를 보이다가 2021년에 일시적으로 회복되었음에도 불구하고 2022년에 다시 둔화된 것으로 해석됩니다.
이와 함께, EV/FCFF 비율은 2017년 17.67에서 2021년에는 14.07까지 낮아졌으나, 2022년에 급증하여 65.71로 치솟는 특징을 보입니다. 이 비율의 급증은 기업 가치가 상당히 높게 평가받고 있음을 의미하며, 또한 현금 흐름 대비 기업 가치가 크게 평가된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시장이 성장 기대감 또는 높은 기업 가치 평가를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기업 가치는 꾸준히 상승하고 있으나, 잉여 현금 흐름은 일부 기간에 걸쳐 하락하는 모습이 관찰됩니다. EV/FCFF 비율의 불규칙한 변동은 시장의 평가와 내부 재무 성과 간의 괴리를 시사할 수 있으며, 향후 재무 안정성과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현금 흐름 개선이 중요한 포인트로 부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