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 사용자를 위한 영역
무료 체험하기
이번 주에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Fiserv Inc. 페이지:
데이터는 뒤에 숨겨져 있습니다.
이것은 일회성 지불입니다. 자동 갱신은 없습니다.
우리는 받아 들인다 :
손익 계산서
12개월 종료 | 수익 | 영업이익 | Fiserv, Inc.에 귀속된 순이익 |
---|---|---|---|
2021. 12. 31. | |||
2020. 12. 31.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
2012. 12. 31. | |||
2011. 12. 31. | |||
2010. 12. 31. | |||
2009. 12. 31. | |||
2008. 12. 31. | |||
2007. 12. 31. | |||
2006. 12. 31. | |||
2005.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주어진 연간 재무 지표의 추세와 변화에 대해 중립적으로 요약한다. 누락 데이터는 관찰되지 않으며, 기간은 2005년부터 2021년까지이다.
- 수익
- 단위: US$ 단위: 백만 달러. 2005년에서 2018년까지는 대체로 완만한 상승과 소폭 변동의 패턴을 보이며 점진적으로 증가했다. 2014년에서 2016년 사이의 흐름은 지속적 증가를 시사했고, 2017년에서 2018년에도 상승이 이어졌다. 2019년에는 큰 폭으로 증가하여 1만달러를 넘어섰고, 2020년에는 1.49만 달러, 2021년에도 1.62만 달러로 추가 상승했다. 전 기간에 걸쳐 매출 규모가 뚜렷하게 확대되는 흐름이 관찰된다.
- 영업이익
- 단위: US$ 단위: 백만 달러. 2005년부터 2018년까지는 매출 증가에 부응하는 안정적 상승 흐름이 지속되었고, 2018년에는 1753에 도달하며 상대적으로 높은 영업이익 수준을 보였다. 그러나 2019년에는 매출 급증에도 불구하고 영업이익이 소폭 감소해 1609로 하락했다. 그 뒤 2020년에는 1852로 반등했고, 2021년에는 2288로 다시 상승하며 사상 최대치에 근접했다. 전반적으로는 초기에는 견실한 이익 증가를 보였으나 2019년에는 이익률의 일시적 하강이 나타났고, 이후 회복 흐름이 뚜렷하다.
- 순이익(귀속)
- 단위: US$ 단위: 백만 달러. 2005년 초반부터 2017년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2016년에서 2017년에 큰 폭으로 상승했다(해당 시점의 값을 비교적 큰 증가로 나타냄). 2018년에도 높은 수준을 유지했고, 2019년에는 감소했다가 2020년에 소폭 회복했고, 2021년에는 다시 상승하여 1334에 이르렀다. 전 기간 동안 순이익 흐름은 매출 흐름과 밀접하게 연동되는 모습을 보였으나 2019~2020년대 초에는 매출 급증에도 불구하고 이익의 증가폭이 제한되거나 다소 감소하는 변동성을 보이다가 2021년에 다시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대차 대조표: 자산
유동 자산 | 총 자산 | |
---|---|---|
2021. 12. 31. | ||
2020. 12. 31.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
2012. 12. 31. | ||
2011. 12. 31. | ||
2010. 12. 31. | ||
2009. 12. 31. | ||
2008. 12. 31. | ||
2007. 12. 31. | ||
2006. 12. 31. | ||
2005.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주어진 기간에 나타난 흐름은 초기에는 일부 기간의 데이터 누락으로 시작되지만, 관찰 가능한 구간에서 유동 자산은 2008년 이후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2019년에 극적인 증가를 보이고, 2020-2021년에 재차 변동이 나타나는 특징을 보인다. 총 자산은 2005-2007 사이에 상승했다가 2008에 재차 감소하고 2010년대에 걸쳐 상대적으로 안정된 수준으로 유지되다가, 2019년에 크게 확대된 후 2020-2021년에도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양상을 보인다.
- 유동 자산의 연도별 흐름
- 2005년과 2006년은 데이터가 누락되어 파악이 불가능하지만, 2007년부터 유동 자산은 4,204백만 달러로 시작한다. 그 이후 2008년 2,145백만 달러, 2009년 1,277백만 달러, 2010년 1,417백만 달러, 2011년 1,356백만 달러, 2012년 1,412백만 달러, 2013년 1,572백만 달러, 2014년 1,486백만 달러, 2015년 1,506백만 달러, 2016년 1,728백만 달러, 2017년 1,975백만 달러, 2018년 2,224백만 달러에 이르렀다. 이후 2019년 급격히 증가하여 17,046백만 달러로 상승하고, 2020년 16,219백만 달러, 2021년 18,870백만 달러로 마감하였다.
- 총 자산의 연도별 흐름
- 2005년 6,040백만 달러에서 2006년 6,208백만 달러로 소폭 증가한 뒤 2007년 11,846백만 달러로 큰 폭 상승한다. 2008년 9,331백만 달러로 감소하고, 2009년 8,378백만 달러, 2010년 8,281백만 달러로 하락 또는 정체를 보이다가 2011년 8,548백만 달러, 2012년 8,497백만 달러로 약간의 변동을 반복한다. 2013년 9,513백만 달러, 2014년 9,337백만 달러, 2015년 9,340백만 달러, 2016년 9,743백만 달러, 2017년 10,289백만 달러, 2018년 11,262백만 달러로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그러나 2019년 77,539백만 달러로 대폭 확대되고, 2020년 74,619백만 달러로 다소 하락하지만 2021년 76,249백만 달러로 다시 상승하며 높은 수준을 유지한다.
- 유동 자산 대비 총 자산 비중의 변화
- 2007년에는 약 35%대의 비중에서 시작해 2018년에는 약 20%대(대략 19~20%)로 낮아진 후, 2019년에는 약 22%대, 2020년 약 22%, 2021년 약 25% 내외로 다시 상승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 시기 동안 총 자산의 급격한 증가에도 불구하고 유동 자산의 절대 규모가 큰 폭으로 따라가지 못해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아진 형태를 유지하다가, 이후 다시 비중이 약간 상승한 모습이다.
- 패턴의 시사점
- 연도별 흐름은 2007년을 기점으로 총 자산이 크게 확대되기 전까지는 비교적 안정적은 흐름을 보이다가 2019년에 총 자산이 비약적으로 증가하는 패턴을 보인다. 그 이후에는 총 자산의 높은 수준이 유지되며, 유동 자산의 절대 규모 역시 2019년 이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다만 2008-2010년대에는 유동 자산의 변동성이 상대적으로 큰 구간도 존재한다.
- 데이터의 한계와 주의점
- 2005-2006 연도는 유동 자산 데이터가 누락되어 시계열의 시작점을 완전하게 파악하기 어렵다. 단위는 US$ 백만 달러로 제시되며, 해석은 상대적 변화에 집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차 대조표: 부채 및 주주 자본
유동부채 | 총 부채 | 총 부채 | Total Fiserv, Inc. 주주 지분 | |
---|---|---|---|---|
2021. 12. 31. | ||||
2020. 12. 31.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
2012. 12. 31. | ||||
2011. 12. 31. | ||||
2010. 12. 31. | ||||
2009. 12. 31. | ||||
2008. 12. 31. | ||||
2007. 12. 31. | ||||
2006. 12. 31. | ||||
2005.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제공된 연간 재무 데이터의 흐름을 바탕으로, 항목별로 관찰된 패턴과 시사점을 정리한다. 수치는 US$ 단위 백만 달러이며, 2005년부터 2021년까지의 연도별 수치를 포함하고 있다. 빈 값은 누락으로 간주된다.
- 유동부채의 추세
- 2007년부터 2018년까지 유동부채는 비교적 제한된 범위에서 변동하였다. 대략 3,000~4,000백만 달러 수준에서 시작해 2010년대 중반까지는 약 1,000~2,000백만 달러대의 변동 폭을 보였다. 2019년부터 2021년까지 급격한 증가가 나타나며 2019년 약 15,727백만 달러, 2020년 약 15,637백만 달러, 2021년 약 18,295백만 달러로 상승했다. 이러한 급등은 자금조달 구조의 변화나 대규모 거래의 회계처리 반영 가능성을 시사한다.
- 총 부채(라인 A)의 추세
- 2005년에서 2018년 사이에는 점진적이고 완만한 증가 경향을 보이다가 2019년에 급격한 상승으로 전환된다. 2015년에서 2018년까지의 수치는 각각 약 6,680~7,558백만 달러를 기록했고, 2019년에는 약 42,682백만 달러로 급증한 뒤 2020년 41,290백만 달러, 2021년 44,299백만 달러로 유지되었다. 이 급증은 주요 기업활동(예: 대규모 인수합병)의 영향으로 회계상 반영된 가능성이 크다.
- 총 부채(라인 B)의 추세
- 라인 A와 유사한 흐름을 보이지만, 2019년에 더 뚜렷한 상승을 나타낸다. 2005년~2018년 사이에 595~5,900백만 달러대의 변동을 보이다가 2019년 약 21,899백만 달러로 급증하고, 2020년 20,684백만 달러, 2021년 21,237백만 달러로 다소 안정화되었다. 두 번째 총 부채 값의 급등 역시 대규모 재편이나 재무구조 재정립의 영향으로 해석될 수 있다.
- 주주 지분의 추세
- 2005년대 초반부터 2014년까지 주주지분은 약 2,000~3,500백만 달러대에서 변동하였다. 2015년과 2016년에는 약간 감소한 뒤 2018년까지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그러나 2019년에 급격히 증가하여 약 32,979백만 달러를 기록했고, 2020년 약 32,330백만 달러, 2021년 약 30,952백만 달러로 소폭 조정되었다. 이 급등은 대규모 인수합병과 같은 기업개편에 따른 자본구조 변화의 결과로 해석된다.
종합적으로, 2019년의 급격한 상승은 대규모 인수합병(또는 그에 따른 재무구조 재정립)으로 인한 합병자 회사의 재무 측정 반영과 관련이 크다. 그 이후 연도들에서 이러한 높은 잔액이 유지되며, 현재부채와 총부채의 수준이 높게 고정된 채로 자본구조의 재편이 완성되었음을 시사한다. 누적된 증가의 방향은 자본과 부채의 대규모 확대로 인해 재무 구조가 크게 재조정되었음을 시사하며, 두 개의 총 부채 지표 간의 차이는 보고 체계나 분류의 차이에 의한 것일 수 있다.
현금 흐름표
12개월 종료 |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 제공 | 투자 활동으로 제공된 순현금(사용) | 재무활동으로 제공된(사용된) 순현금 |
---|---|---|---|
2021. 12. 31. | |||
2020. 12. 31.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
2012. 12. 31. | |||
2011. 12. 31. | |||
2010. 12. 31. | |||
2009. 12. 31. | |||
2008. 12. 31. | |||
2007. 12. 31. | |||
2006. 12. 31. | |||
2005.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 제공의 추세
- 단위는 US$ 백만 달러로 제시되며, 2005년 597에서 시작해 2014년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2015년 1346, 2016년 1431, 2017년 1483, 2018년 1552로 서서히 상승한 뒤, 2019년에 2795로 급격히 증가했고 2020년에는 4147로 또 한 차례 큰 폭으로 상승했다가 2021년에도 4034로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이러한 흐름은 운영 현금 창출력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강화되었으며, 2019–2020년에 특히 큰 폭으로 증가한 점이 주목된다. 전 기간 동안 현금 창출의 절대 규모가 증가했다는 점과 함께, 2019–2021년 구간에서의 변동성 증가가 확인된다.
- 투자 활동으로 제공된 순현금(사용)의 추세
- 단위는 US$ 백만 달러로 제시되며, 전반적으로 현금이 투자 활동에 사용되는 경향이 지속적으로 나타났다. 2005년 -429, 2006년 -261에서 시작해 2007년 -4474로 급격한 대규모 현금 유출이 발생했고, 이후 2008년 206의 소폭 반전이 있었으나 2010년대 내내 마이너스 흐름이 이어졌다. 2019년에는 -16602로 역대 큰 규모의 투자 지출이 발생했고, 2020년 -341, 2021년 -1630으로 감소 또는 재조정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패턴은 대규모 자본적 지출이나 자산 취득이 특정 시기에 집중되었음을 시사하며, 2019년의 극단적 음수는 해당 기간의 대형 투자 활동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 재무활동으로 제공된(사용된) 순현금의 추세
- 단위는 US$ 백만 달러로 제시되며, 재무활동은 연속적으로 음의 흐름이 나타나는 해가 다수지만, 특정 시점에 큰 양의 현금 조달이 발생하는 특성을 보였다. 2005년 -500에서 시작해 2007년 4023으로 급증하며 재무활동에서 현금이 크게 조달되었음을 보여 주었고, 이후 2008년 -1713으로 급락했다. 2019년에는 14191로 또다시 대규모 조달이 나타났으며, 2020년 -3836, 2021년 -1741로 조달보다 상환 쪽으로 기울어지는 경향이 반복되었다. 이러한 흐름은 대규모 자금 조달이 필요하거나 자금 구조를 재편하는 시점에 재무활동이 크게 작용했음을 시사한다.
주당 데이터
12개월 종료 | 기본 주당순이익1 | 희석된 주당순이익2 | 주당 배당금3 |
---|---|---|---|
2021. 12. 31. | |||
2020. 12. 31.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
2012. 12. 31. | |||
2011. 12. 31. | |||
2010. 12. 31. | |||
2009. 12. 31. | |||
2008. 12. 31. | |||
2007. 12. 31. | |||
2006. 12. 31. | |||
2005.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1, 2, 3 분할 및 주식 배당을 위해 조정된 데이터.
- 기본 주당순이익
- 해당 기간의 기본 주당순이익은 2005년 0.69에서 시작해 2006년 0.65, 2007년 0.66으로 소폭 하락한 뒤 2008년 0.88로 반등했다. 2009년엔 0.77로 다시 소폭 하락했고, 2010년과 2011년에는 각각 0.83으로 안정적으로 상승했다. 2012년부터 상승세가 가속되어 2013년 1.24, 2014년 1.52, 2015년 1.52를 거쳐 2016년 2.11, 2017년 2.95로 큰 폭으로 증가했다. 그 이후 2018년에는 2.93으로 소폭 감소했고, 2019년 1.74, 2020년 1.42로 급락한 뒤 2021년 2.01로 반등했다. 전 기간에 걸친 관찰 가능한 흐름은 중반 이후 강한 상승과 2019~2020년의 변동성을 특징으로 한다.
- 희석된 주당순이익
- 희석된 주당순이익은 기본 주당순이익과 흐름이 거의 일치하며 대략 0.01~0.02 낮은 수치를 보인다. 2005년 0.68에서 시작해 2006년 0.64, 2007년 0.65로 비슷한 하락과 상승을 거친 뒤 2008년 0.88로 반등했다. 2009년 0.77, 2010년 0.82, 2011년 0.82로 대체로 안정적이었다. 2012년 1.11, 2013년 1.22, 2014년 1.49, 2015년 1.50으로 상승했고 2016년 2.08, 2017년 2.89로 크게 증가했다. 2018년 2.87, 2019년 1.71, 2020년 1.40로 하락했고 2021년 1.99로 반등했다. 두 지표 간의 흐름은 매우 유사하며, 차이는 대략 0.01~0.02 수준이다.
- 주당 배당금
- 주당 배당금 항목은 모든 기간에 대해 값이 누락되어 있다. 따라서 배당의 수준이나 지속성, 변동성에 대한 관찰이나 해석은 수행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