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에 대한 잉여 현금 흐름(FCFF)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02-28), 10-K (보고 날짜: 2021-02-28), 10-K (보고 날짜: 2020-02-29), 10-K (보고 날짜: 2019-02-28), 10-K (보고 날짜: 2018-02-28), 10-K (보고 날짜: 2017-02-28).
1, 2 자세히 보기 »
-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 제공
- 이 항목은 연도별로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여줍니다. 2017년 이후 2022년까지 연평균 성장률이 높게 나타나며, 2021년에 정점에 달한 이후 2022년에 다소 감소했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은 지속적인 영업활동이 회사의 현금 창출 능력을 증대시키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특히 2020년 이후 증가폭이 더 뚜렷하며, 이는 시장 확대 또는 효율성 향상에 따른 결과일 수 있습니다.
- 회사에 대한 잉여 현금 흐름(FCFF)
- 이 항목 역시 전반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상당한 성장률을 기록하였습니다. 2020년 이후 빠른 증가세를 보여 2021년에 정점을 이루었으며, 2022년에는 다소 감소했지만 여전히 2017년 수준을 훨씬 상회하는 높은 수치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기업의 신사업 투자, 부채상환, 배당금 지급 등을 고려한 잉여 현금흐름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반영합니다. 특히 2020년과 2021년에 걸쳐 두드러진 성장은 코로나19 팬데믹 상황 속에서도 강한 재무 건전성을 유지했음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지급된 이자, 세금 순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02-28), 10-K (보고 날짜: 2021-02-28), 10-K (보고 날짜: 2020-02-29), 10-K (보고 날짜: 2019-02-28), 10-K (보고 날짜: 2018-02-28), 10-K (보고 날짜: 2017-02-28).
1 자세히 보기 »
2 2022 계산
이자, 자본화된 이자의 순, 세금 = 이자, 이자의 순 자본화 × EITR
= 368,500 × 99.70% = 367,395
3 2022 계산
자본화된 이자 비용, 세금 = 자본화된 이자 비용 × EITR
= 25,300 × 99.70% = 25,224
- 실효 소득세율(EITR)
- 2017년에는 26.5%로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으며, 이후 2018년과 2019년에 각각 0.5%와 16.5%로 큰 폭으로 변동하다가, 2020년과 2021년에는 21%와 20.1%로 안정된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2022년에는 극단적으로 99.7%로 치솟아, 해당 기간 내 상당한 세금 관련 이슈 또는 특이사항이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다. 전체적으로보면, 세율의 변동은 회사의 세금 전략이나 일시적 회계 조정에 따른 것일 수 있으며, 2022년 데이터를 고려할 때, 일회성 요인 또는 특별 항목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 이자, 자본화된 이자의 순
- 이 값은 2017년부터 2022년까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7년에는 220,794 천 US$였으며,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2020년에는 354,631 천 US$에 도달하였다. 2021년과 2022년에는 각각 약 334,382 천 US$와 1,106 천 US$로 나타나며, 2022년에는 큰 폭의 하락을 보여 준다. 이러한 증감은 기업의 차입금, 금융환경 변화 또는 자본 구조 조정에 따른 것일 수 있는데, 특히 2022년의 급락은 일시적 또는 비상적 재무 이벤트를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자본화된 이자 비용, 세액 공제
- 이 항목은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일정하게 존재하여, 2018년 17,313 천 US$를 기록한 이후 2019년과 2020년에 각각 19,289 천 US$, 29,388 천 US$로 증가하였다. 2021년에는 다소 감퇴하여 25,169 천 US$에 머물렀고, 2022년에는 76 천 US$로 급감하였다. 이 흐름은 기업의 자본화 전략 또는 세제 혜택 활용 정도의 변화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2022년 데이터의 급감은 일시적 조정 또는 특별한 회계 처리 변경이 있었음을 시사한다.
FCFF 대비 기업 가치 비율전류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천) | |
기업 가치 (EV) | 49,045,081) |
회사에 대한 잉여 현금 흐름(FCFF) | 1,679,781) |
밸류에이션 비율 | |
EV/FCFF | 29.20 |
벤치 마크 | |
EV/FCFF경쟁자1 | |
Coca-Cola Co. | 51.85 |
Mondelēz International Inc. | 25.51 |
PepsiCo Inc. | 26.06 |
Philip Morris International Inc. | 23.60 |
EV/FCFF부문 | |
식품, 음료 및 담배 | 30.29 |
EV/FCFF산업 | |
필수소비재 | 39.75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02-28).
1 경쟁업체 이름을 클릭하면 계산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회사의 EV/FCFF가 벤치마크의 EV/FCFF보다 낮으면 회사는 상대적으로 저평가되어 있습니다.
그렇지 않고 회사의 EV/FCFF가 벤치마크의 EV/FCFF보다 높으면 회사는 상대적으로 과대평가된 것입니다.
FCFF 대비 기업 가치 비율역사적인
2022. 2. 28. | 2021. 2. 28. | 2020. 2. 29. | 2019. 2. 28. | 2018. 2. 28. | 2017. 2. 28.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천) | |||||||
기업 가치 (EV)1 | 58,379,762) | 56,550,645) | 41,954,208) | 53,510,359) | 53,800,019) | 42,376,898) | |
회사에 대한 잉여 현금 흐름(FCFF)2 | 1,679,781) | 2,301,450) | 2,208,619) | 1,650,497) | 1,211,702) | 1,009,394) | |
밸류에이션 비율 | |||||||
EV/FCFF3 | 34.75 | 24.57 | 19.00 | 32.42 | 44.40 | 41.98 | |
벤치 마크 | |||||||
EV/FCFF경쟁자4 | |||||||
Coca-Cola Co. | 27.95 | 25.28 | 26.04 | — | — | — | |
Mondelēz International Inc. | 34.05 | 31.98 | 30.11 | — | — | — | |
PepsiCo Inc. | 40.39 | 33.08 | 30.09 | — | — | — | |
Philip Morris International Inc. | 19.53 | 16.35 | 16.31 | — | — | — | |
EV/FCFF부문 | |||||||
식품, 음료 및 담배 | 28.47 | 24.71 | 24.26 | — | — | — | |
EV/FCFF산업 | |||||||
필수소비재 | 30.41 | 20.99 | 23.37 | — | — | —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02-28), 10-K (보고 날짜: 2021-02-28), 10-K (보고 날짜: 2020-02-29), 10-K (보고 날짜: 2019-02-28), 10-K (보고 날짜: 2018-02-28), 10-K (보고 날짜: 2017-02-28).
1 자세히 보기 »
2 자세히 보기 »
3 2022 계산
EV/FCFF = EV ÷ FCFF
= 58,379,762 ÷ 1,679,781 = 34.75
4 경쟁업체 이름을 클릭하면 계산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 기업 가치를 통한 시장 평가의 변화
- 기업 가치는 2017년 약 42억 3천만 달러에서 2022년 약 58억 3천만 달러로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2018년과 2022년 사이에는 두드러진 상승이 관찰되었으며, 2018년의 큰 폭 증가 후 2019년에는 다소 정체되거나 소폭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후 2021년과 2022년에 다시 증가하여, 중장기적으로 기업의 시장 평가가 높아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 자유 현금 흐름(FCFF)의 성장
-
자유 현금 흐름은 2017년 약 1.01억 달러에서 2021년 약 2.30억 달러까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는 기업의 운영 효율성이나 현금 창출 능력이 향상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다만 2022년에는 약 1.68억 달러로 전년 대비 감소하는 모습을 보여, 일시적 또는 구조적 변동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런 흐름은 기업이 강한 현금 창출력을 바탕으로 가치를 높이거나, 성장 발판을 마련한다는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 EV/FCFF 비율의 변동
-
이 비율은 2017년 41.98에서 2020년 19까지 하락하며 기업의 평가 배수와 현금 흐름 간의 관계가 개선되었음을 보여준다. 이는 기업 가치를 창출하는 능력이 향상된 결과로 볼 수 있으며, 시장에서의 과대평가가 점차 낮아지고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2021년과 2022년에는 다시 각각 24.57과 34.75로 상승하는 추세를 보여, 비율이 회복된 것은 기업의 가치와 현금 흐름 간에는 변화가 있음을 나타낸다. 이 흐름은 기업의 가치 평가가 다소 변동성을 보이고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