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차 대조표의 구조 : 자산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09-30), 10-K (보고 날짜: 2022-09-30), 10-K (보고 날짜: 2021-09-30), 10-K (보고 날짜: 2020-09-30), 10-K (보고 날짜: 2019-09-30), 10-K (보고 날짜: 2018-09-30).
- 현금 및 현금성자산
- 2018년부터 2023년까지,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전체 자산에 대한 비중이 상당히 변동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18년에는 0.41%로 매우 낮았으며, 이후 2019년에 급격히 상승하여 6.63%에 달하였다. 이후에는 2020년 4.78%, 2021년 3.19%, 2022년 4.82%, 2023년 1.98%로 다소 변동이 있으며, 전반적으로는 2019년 이후 낮은 수준을 유지하거나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유동성 확보 또는 자금 운용 전략의 변화로 해석될 수 있다.
- 미수금 및 예상 신용 손실에 대한 충당금 감소
- 이 항목은 전체 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4.48%에서 2019년 이후 점차 안정된 수준(약 12.97%~14.22%)을 유지하는 모습이다. 2023년에는 14.22%로 약간 상승하였으며, 이는 매출채권 관리를 통한 신용위험 평가에 변화가 있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전체적으로 신용 손실 충당금 관련 지표는 일정한 범위 내에서 유지되고 있다.
- 재고
- 재고자산은 2018년 6.61%에서 2023년 6.57%로 변동이 크지 않으며, 2022년 이후 점차 상승하는 추세이다. 이는 상품 또는 원자재 재고의 보유 수준이 약간 증가하고 있음을 나타내며, 생산 또는 판매 계획상의 변화에 따른 재고 관리 전략의 조정일 수 있다.
- 유동 자산
- 유동 자산 비중은 2018년 24.23%에서 2023년 25.42%로 전반적으로 약간 상승하였다. 특히 2019년과 2022년에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유동성 확보와 관련된 전략적 재무 운영을 반영할 수 있다. 이는 유동성을 유지 또는 증대하여 단기 채무 상환 능력을 강화하려는 전략의 일환일 가능성이 있다.
- 비유동 자산
- 비유동 자산은 전체 자산에서 약 70% 이상을 차지하며, 2018년 75.77%에서 2023년 74.58%로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비유동 자산의 구성에는 친선, 무형자산, 투자자산 등이 포함되며, 이들은 직간접적으로 기업의 장기적 성장과 관련된 자산군이다. 특히 무형자산은 13.01%에서 11.57%로 다소 감소하는 모습이며, 이는 자산 구조조정이나 무형자산의 감가상각이 원인일 수 있다.
- 유형 자산과 무형 자산의 비중 변화
- 유형 자산(재산, 식물 및 장비)의 비중은 2018년 12.65%에서 2023년 7.42%로 감소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감가상각 또는 유형 자산 매각 등을 통해 상대적 비중이 줄어들고 있음을 의미한다. 반면 무형 자산은 13.01%에서 11.57% 즈음으로 다소 감소하였고, 기업의 자산 포트폴리오 내 무형 자산이 상대적으로 축소되고 있음을 보여 준다.
- 기타 비유동자산
- 기타 비유동자산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로, 2018년 7.54%에서 2023년에는 10.63%까지 늘어났다. 이는 해당 자산군의 비중이 증가하거나 새로운 장기 투자 또는 비유동 금융자산이 포트폴리오 내 차지하는 비중이 확대되고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