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hnson Controls International plc 는 4개 부문으로 운영됩니다: Building Solutions North America; 빌딩 솔루션 EMEA/LA; 빌딩 솔루션 아시아 태평양; 및 글로벌 제품.
유료 사용자를 위한 영역
무료 체험하기
이번 주에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Johnson Controls International plc 페이지:
데이터는 뒤에 숨겨져 있습니다.
이것은 일회성 지불입니다. 자동 갱신은 없습니다.
우리는 받아 들인다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2023. 9. 30. | 2022. 9. 30. | 2021. 9. 30. | 2020. 9. 30. | 2019. 9. 30. | 2018. 9. 30. | |
---|---|---|---|---|---|---|
Building Solutions North America | ||||||
솔루션 구축 EMEA/LA | ||||||
빌딩 솔루션 아시아 태평양 | ||||||
글로벌 제품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09-30), 10-K (보고 날짜: 2022-09-30), 10-K (보고 날짜: 2021-09-30), 10-K (보고 날짜: 2020-09-30), 10-K (보고 날짜: 2019-09-30), 10-K (보고 날짜: 2018-09-30).
- 부문별 영업이익률의 추세
- 첫 번째 부문인 건물 솔루션 북미 영역의 영업이익률은 전체적으로 안정된 패턴을 보이고 있으며, 2018년부터 2023년까지 소폭의 변동이 있으나 대체로 12.7% 내외를 유지하고 있다. 2022년에는 일시적인 하락이 있었으나 2023년에 다시 상승하는 경향을 보여, 해당 부문의 수익성은 비교적 견고하다고 볼 수 있다.
- 유럽 및 라틴아메리카 지역 솔루션 구축 부문
- 이 부문의 영업이익률은 2018년 9.31%에서 2019년 10.07%로 일시적인 상승 이후, 2020년 9.83%로 소폭 하락하였다. 이후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다가 2023년에는 7.71%로 상당한 하락을 기록하였다. 이러한 하락은 수익률의 전반적인 감소를 시사하며, 경쟁력 또는 비용구조 변화에 따른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
- 아시아 태평양 지역 건물 솔루션 부문
- 이 부문은 2018년 13.59%로 높은 수준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하였으며, 그 이후 소폭 하락하여 2023년에는 12.49%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비교적 안정적인 수익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강한 수익성을 보여준다.
- 글로벌 제품 부문
- 이 부문은 가장 높은 영업이익률을 기록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18년 15.79%를 시작으로 점차 상승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2021년 이후 크게 상승하여 2023년에는 20.42%에 이르렀으며, 고수익성을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상승은 제품 라인업 또는 시장 수요의 강화 등 전략적 요인에 기인할 수 있다.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Building Solutions North America
2023. 9. 30. | 2022. 9. 30. | 2021. 9. 30. | 2020. 9. 30. | 2019. 9. 30. | 2018. 9. 30.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EBITA 부문 | ||||||
순 매출액 |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09-30), 10-K (보고 날짜: 2022-09-30), 10-K (보고 날짜: 2021-09-30), 10-K (보고 날짜: 2020-09-30), 10-K (보고 날짜: 2019-09-30), 10-K (보고 날짜: 2018-09-30).
1 2023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100 × EBITA 부문 ÷ 순 매출액
= 100 × ÷ =
- EBITA 부문의 추세와 변화
- EBITA 부문은 전반적인 수익성을 나타내며, 2018년 이후 상당한 변동 없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관찰됩니다. 특히 2021년 이후 약간의 하락이 있었지만, 2023년에는 다시 큰 폭으로 상승하여 1394백만 달러에 도달하였는데, 이는 기업의 수익성 향상 또는 효율성 증대를 시사할 수 있습니다.
- 순 매출액의 변동과 성장
- 순 매출액은 2018년과 2019년에 비교적 안정적이었으며 2019년 이후 소폭 하락한 후, 2020년 저점을 기록하였으나 2021년부터 다시 회복하여 차츰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2023년에는 10330백만 달러로, 전년 대비 상당한 성장률을 보이며 매출 규모가 확장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의 변화
- 이익률은 2018년부터 2021년까지 견고한 수준에서 유지되다가 2022년 약 12%로 일시적 하락을 경험하였으나, 이후 2023년에는 다시 13.49%로 회복하며, 수익성면에서 긍정적인 신호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변화는 비용 구조의 최적화 또는 수익성 제고 전략의 효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종합적 관찰
- 이들 지표는 전반적으로 매출 증가와 함께 수익성 역시 개선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특히 2023년에는 두 지표 모두 긍정적인 방향으로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기업의 재무적 안정성과 성장 잠재력을 뒷받침하는 요인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일시적 변동성은 있으나 전반적 경향은 개선세를 유지하고 있다.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빌딩 솔루션 EMEA/LA
2023. 9. 30. | 2022. 9. 30. | 2021. 9. 30. | 2020. 9. 30. | 2019. 9. 30. | 2018. 9. 30.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EBITA 부문 | ||||||
순 매출액 |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09-30), 10-K (보고 날짜: 2022-09-30), 10-K (보고 날짜: 2021-09-30), 10-K (보고 날짜: 2020-09-30), 10-K (보고 날짜: 2019-09-30), 10-K (보고 날짜: 2018-09-30).
1 2023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100 × EBITA 부문 ÷ 순 매출액
= 100 × ÷ =
- 금융 성과의 전반적인 흐름
- 기간에 걸쳐 주요 재무 지표들은 다양한 변동을 보여주고 있으며, 전반적인 성과 변화와 함께 수익성 및 매출 규모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 EBITA 부문
- EBITA(이자, 법인세, 감가상각전 이익)는 2018년 약 344백만 달러에서 2023년까지 약 316백만 달러로 소폭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2019년과 2021년에는 각각 368백만 달러, 391백만 달러로 일시적인 증가세를 보였으나, 이후 2022년과 2023년에는 각각 358백만 달러와 316백만 달러로 축소되었다. 이는 수익성 측면에서 변동성을 내포한다.
- 순 매출액
- 순 매출액은 2018년 약 3,696백만 달러에서 2023년 약 4,096백만 달러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낸다. 이 기간 동안 연평균 성장률은 양호하며, 매출 규모가 확대되고 있음을 반영한다. 특히 2023년에는 전년 대비 유의미한 성장을 기록하였다.
- 보고 대상 부문의 이익률
- 이익률은 2018년 9.31%에서 2021년에는 10.49%로 일부 상승하였다. 그러나 2022년과 2023년에는 각각 9.31%, 7.71%로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며, 전반적인 수익성은 둔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하락은 비용 구조 또는 시장 환경 변화에 따른 영향일 가능성이 있다.
- 요약
- 이상의 분석에 따르면, 회사는 지속적인 매출 성장을 기록하고 있으며, 이는 사업 범위의 확장 또는 시장 침투의 결과일 수 있다. 그러나 EBITA 및 이익률은 변동성을 띠며, 수익성 측면에서는 일정 수준의 압박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패턴은 향후 비용 관리 또는 시장 전략의 재조정을 통해 개선될 필요성을 제시한다.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빌딩 솔루션 아시아 태평양
2023. 9. 30. | 2022. 9. 30. | 2021. 9. 30. | 2020. 9. 30. | 2019. 9. 30. | 2018. 9. 30.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EBITA 부문 | ||||||
순 매출액 |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09-30), 10-K (보고 날짜: 2022-09-30), 10-K (보고 날짜: 2021-09-30), 10-K (보고 날짜: 2020-09-30), 10-K (보고 날짜: 2019-09-30), 10-K (보고 날짜: 2018-09-30).
1 2023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100 × EBITA 부문 ÷ 순 매출액
= 100 × ÷ =
- EBITA 부문의 추세
- 2018년부터 2023년까지 EBITA 부문은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연평균 약간의 변동을 보이고 있습니다. 2018년과 2019년에는 각각 347백만 달러와 341백만 달러로, 비교적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고, 2020년에는 319백만 달러로 일시적인 감소를 나타냈습니다. 이후 2021년 349백만 달러로 회복되었으며, 2022년에는 332백만 달러, 2023년에는 343백만 달러로 다시 소폭 상승하는 흐름을 보여줍니다. 전반적으로 EBITA는 상당히 안정적이면서도 약간의 변동성을 보이고 있으며, 큰 폭의 하락이나 상승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 순 매출액의 변화
- 순 매출액은 2018년 2,553백만 달러에서 2019년 2,658백만 달러로 증가하였으며, 2020년에는 2,403백만 달러로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후 2021년에는 2,654백만 달러로 다시 상승했고, 2022년에는 2,714백만 달러, 2023년에는 2,746백만 달러로 매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냅니다. 특히 2020년의 일시적 하락 이후에는 회복세를 보이며, 최근 연도에는 최고치를 기록하는 흐름이 관찰됩니다.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이익률은 2018년 13.59%에서 2019년 12.83%로 하락하였다가, 2020년에는 13.28%로 소폭 증가하였으며, 2021년에는 13.15%, 2022년에는 12.23%로 낮아지고 2023년에는 12.49%로 소폭 회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이익률은 13% 내외를 중심으로 변동하고 있으며, 2022년과 2023년에는 약간의 하락이 있었음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매출 증가와 병행하여 이익률은 다소 압박받았음을 시사합니다.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글로벌 제품
2023. 9. 30. | 2022. 9. 30. | 2021. 9. 30. | 2020. 9. 30. | 2019. 9. 30. | 2018. 9. 30.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EBITA 부문 | ||||||
순 매출액 |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09-30), 10-K (보고 날짜: 2022-09-30), 10-K (보고 날짜: 2021-09-30), 10-K (보고 날짜: 2020-09-30), 10-K (보고 날짜: 2019-09-30), 10-K (보고 날짜: 2018-09-30).
1 2023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100 × EBITA 부문 ÷ 순 매출액
= 100 × ÷ =
- EBITA 부문의 추세
- 2018년부터 2023년까지 EBITA 부문은 지속적인 증가를 보이고 있다. 처음 1,338백만 달러에서 2019년에는 다소 하락한 1,179백만 달러로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이후 다시 상승세로 전환하였다. 2020년에는 1,134백만 달러로 소폭 하락했으나, 2021년 이후에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2023년에는 1,965백만 달러에 이르렀다. 이러한 추세는 회사의 수익성 향상과 효율성 제고가 긍정적으로 작용했음을 시사한다.
- 순 매출액의 변화
- 순 매출액은 2018년 8,472백만 달러에서 2019년 8,624백만 달러로 소폭 증가하였다가, 2020년 7,869백만 달러로 감소하였다. 이후 2021년부터 다시 상승하여 2022년 9,373백만 달러, 2023년에는 9,621백만 달러에 이르러, 꾸준한 성장 양상을 보이고 있다. 2020년의 일시적 감소는 구조적 변화 또는 시장 환경의 변동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이며, 이후 회복세를 지속하여 총매출액이 다시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 준다.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의 추이
- 이익률은 2018년 15.79%에서 2019년 13.67%로 약간 하락했으나 이후 2020년 14.41%, 2021년 16.75%, 2022년 17.01%, 2023년 20.42%로 꾸준히 개선되고 있다. 특히 2023년에는 가장 높은 이익률을 기록하였으며, 이는 수익성 향상과 비용 효율성 증대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전반적인 추세는 회사의 영업이익률이 향상되고 있음을 보여주며, 이를 통해 수익성 개선이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2023. 9. 30. | 2022. 9. 30. | 2021. 9. 30. | 2020. 9. 30. | 2019. 9. 30. | 2018. 9. 30. | |
---|---|---|---|---|---|---|
Building Solutions North America | ||||||
솔루션 구축 EMEA/LA | ||||||
빌딩 솔루션 아시아 태평양 | ||||||
글로벌 제품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09-30), 10-K (보고 날짜: 2022-09-30), 10-K (보고 날짜: 2021-09-30), 10-K (보고 날짜: 2020-09-30), 10-K (보고 날짜: 2019-09-30), 10-K (보고 날짜: 2018-09-30).
- 전반적인 자산 수익률 트렌드
- 제공된 데이터는 다양한 지역 및 사업 부문의 자산 수익률을 나타내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일부 세그먼트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일부는 변동성을 겪고 있습니다.
- 북미 건물 솔루션 세그먼트
- 이 부문의 자산 수익률은 2018년 7.21%에서 시작하여 2023년에는 8.93%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특히, 2021년 이후 꾸준히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 해당 지역의 운영 효율성과 자산 활용도가 향상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 EMEA/라틴 아메리카 솔루션 구축 세그먼트
- 이 부문의 자산 수익률은 비교적 변동적이며, 2019년 7.69%에서 2020년에는 6.77%로 하락했다가 다시 2021년 이후 서서히 회복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특히, 2023년에는 6.07%로 낮아진 상태로, 수익률이 하락하는 경향이 지속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 아시아 태평양 빌딩 솔루션
- 이 부문의 자산 수익률은 지속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며, 2018년 12.65%에서 2023년에는 12.97%로 소폭 상승하였습니다.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성을 보여주며, 지역적 강세를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글로벌 제품 세그먼트
- 이 부문의 자산 수익률은 2019년 8.45%에서 점진적으로 상승하여 2023년에는 12.75%에 이르는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해당 부문의 수익성 및 효율성 개선을 나타내며,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성장세를 시사합니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Building Solutions North America
2023. 9. 30. | 2022. 9. 30. | 2021. 9. 30. | 2020. 9. 30. | 2019. 9. 30. | 2018. 9. 30.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EBITA 부문 | ||||||
자산 |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09-30), 10-K (보고 날짜: 2022-09-30), 10-K (보고 날짜: 2021-09-30), 10-K (보고 날짜: 2020-09-30), 10-K (보고 날짜: 2019-09-30), 10-K (보고 날짜: 2018-09-30).
1 2023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 100 × EBITA 부문 ÷ 자산
= 100 × ÷ =
- EBITA 부문의 분석
- EBITA 부문은 2018년부터 2023년까지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23년에는 1394백만 달러로 이전 연도보다 상승하였습니다. 이는 수익성 측면에서 긍정적인 변화임을 시사하며, 특히 2021년 이후 약간의 하락세를 보이던 수치를 2023년에는 회복시킨 모습입니다. 이러한 증가 흐름은 회사의 영업 효율성과 수익 창출 능력이 개선되고 있음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 자산 규모 및 변화
- 총 자산은 2018년 15,384백만 달러에서 2023년 15,603백만 달러로 변동하며, 상당히 안정적인 범위 내에서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2019년과 2022년 사이에는 다소 변동이 있었으나 연평균 큰 변화 없이 자산 규모는 유지되고 있습니다. 이는 회사가 자산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급격한 포트폴리오 변화나 자산 축소/확대 없이 안정적인 자산 기초를 갖추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 자산 수익률(ROA)의 관찰
- 자산 수익률은 2018년 7.21%, 2019년 7.41%, 2020년 7.6%로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이후 2021년부터 2023년까지는 7.86%, 7.78%, 8.93%로 꾸준히 증가하는 모습을 나타냅니다. 특히 2023년에 8.93%로 높아진 것은 자산 운용 효율이 개선되었음을 나타내며, 회사가 자산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수익을 창출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빌딩 솔루션 EMEA/LA
2023. 9. 30. | 2022. 9. 30. | 2021. 9. 30. | 2020. 9. 30. | 2019. 9. 30. | 2018. 9. 30.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EBITA 부문 | ||||||
자산 |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09-30), 10-K (보고 날짜: 2022-09-30), 10-K (보고 날짜: 2021-09-30), 10-K (보고 날짜: 2020-09-30), 10-K (보고 날짜: 2019-09-30), 10-K (보고 날짜: 2018-09-30).
1 2023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 100 × EBITA 부문 ÷ 자산
= 100 × ÷ =
- EBITA 부문의 추이 및 수익성 분석
- 2018년부터 2023년까지의 데이터를 살펴보면, EBITA 부문은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영업 이익을 유지하고 있으며, 변동 폭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다. 2019년에는 368백만 달러로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2020년에 338백만 달러로 소폭 감소하였다. 이후 2021년에는 다시 391백만 달러로 증가하였으며, 2022년에는 다소 하락하여 358백만 달러에 머물렀다. 2023년에는 316백만 달러까지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일부 해의 이익 증가와 일부 해에는 감소하는 패턴을 나타낸다.
- 자산 규모와 변화 추이
- 자산 규모는 2018년 4,997백만 달러에서 2023년 5,202백만 달러로 비교적 변동폭이 크지 않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2019년과 2020년 사이에는 소폭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후 2021년에는 5,241백만 달러로 늘어났다. 2022년에는 다소 감소했으나, 2023년에는 다시 증가하여 5,202백만 달러를 기록하였다. 전반적으로 자산 규모는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일부 해에 미묘한 증감이 반복되고 있다.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 이 비율은 2018년 6.88%에서 2019년 7.69%로 상승하였고, 2020년에는 6.77%로 다소 하락하였다가, 2021년과 2022년에 각각 7.46%, 7.51%로 회복 및 호조를 보였다. 그러나 2023년에는 6.07%로 다시 낮아지는 모습을 보여, 수익률이 일관된 상승세를 지속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 수익률의 변화는 자산 대비 이익의 효율성을 측정하는 지표로서,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면서도 일부 해에는 변동성이 존재한다는 특징이 있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빌딩 솔루션 아시아 태평양
2023. 9. 30. | 2022. 9. 30. | 2021. 9. 30. | 2020. 9. 30. | 2019. 9. 30. | 2018. 9. 30.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EBITA 부문 | ||||||
자산 |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09-30), 10-K (보고 날짜: 2022-09-30), 10-K (보고 날짜: 2021-09-30), 10-K (보고 날짜: 2020-09-30), 10-K (보고 날짜: 2019-09-30), 10-K (보고 날짜: 2018-09-30).
1 2023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 100 × EBITA 부문 ÷ 자산
= 100 × ÷ =
- EBITA 부문의 추세
- 2018년부터 2023년까지 EBITA 부문은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기간별로 소폭의 변동을 보이고 있다. 2018년 347백만 달러에서 2019년 341백만 달러로 약간 감소하였으며, 이후 2020년 319백만 달러로 하락하였다. 그러나 2021년에 다시 상승하여 349백만 달러를 기록했고, 이후 2022년 332백만 달러로 다소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2023년에는 343백만 달러로 소폭 증가하며 전체적으로는 안정적인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 자산 규모와 그 변화
- 총 자산은 2018년 2,743백만 달러에서 시작해 2019년과 2020년에 소폭 감소 후 2021년에는 2,783백만 달러로 일시적으로 증가하였다. 이후 2022년에는 2,424백만 달러로 하락하면서 자산 규모가 축소된 모습을 보였으며, 2023년에는 2,645백만 달러로 다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러한 변화는 회사의 자산 배분, 투자 또는 자산 효율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약간의 변동성을 시사한다.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 이 지표는 2018년 12.65%에서 2019년 12.83%로 증가하였다가, 2020년 11.73%로 하락하였다. 이후 2021년에는 12.54%, 2022년에는 13.7%, 그리고 2023년에는 12.97%로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며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회사의 자산 사용 효율성이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음을 시사하며, 수익률이 높았던 2022년에 잠정적으로 개선된 성과를 낸 것으로 보인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글로벌 제품
2023. 9. 30. | 2022. 9. 30. | 2021. 9. 30. | 2020. 9. 30. | 2019. 9. 30. | 2018. 9. 30.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EBITA 부문 | ||||||
자산 |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09-30), 10-K (보고 날짜: 2022-09-30), 10-K (보고 날짜: 2021-09-30), 10-K (보고 날짜: 2020-09-30), 10-K (보고 날짜: 2019-09-30), 10-K (보고 날짜: 2018-09-30).
1 2023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 100 × EBITA 부문 ÷ 자산
= 100 × ÷ =
- EBITA 부문의 추이 및 수익성 분석
- 2018년부터 2023년까지 EBITA 부문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2021년 이후 두드러진 성장을 나타내고 있다. 2018년 1,338백만 달러에서 시작하여 2023년에는 1,965백만 달러로 증가하였으며, 이는 기업의 영업이익 흐름이 개선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성장은 인건비, 원자재비용 절감 또는 경쟁우위 확보 등의 요인과 관련될 수 있다. 특히 2022년과 2023년에 급격한 상승이 두드러지며, 이는 기업의 수익성 개선 또는 가격 전략의 성공적 이행과 연관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 자산 규모와 추이
- 총 자산은 2018년 14,261백만 달러에서 2023년 15,406백만 달러로 소폭 증가하였다. 이 기간 동안 자산 규모는 꾸준히 유지되거나 소폭 확대되었으며, 2021년 이후 자산 규모가 다소 정체되었거나 미세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최근 몇 년 동안 다시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자본 지출, 인수합병 등의 활동과 관련될 가능성이 있으며, 전체적인 자산 규모 유지 혹은 확장은 기업이 사업을 확장하는 데 따른 자산 배분 전략의 일환으로 판단된다.
- 자산 수익률의 변화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은 2018년 9.38%에서 2023년 12.75%로 상승하였다. 이는 기업의 자산 운용 효율이 개선되고 있으며, 자산 기반의 수익 창출 능력이 향상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2020년 이후 수익률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특히 2022년과 2023년에는 두 자리 수에 근접하는 높은 수준을 지속하고 있다. 이러한 성과는 기업의 비용 관리, 매출 증대 또는 자산 활용도 향상 등을 통해 실현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2023. 9. 30. | 2022. 9. 30. | 2021. 9. 30. | 2020. 9. 30. | 2019. 9. 30. | 2018. 9. 30. | |
---|---|---|---|---|---|---|
Building Solutions North America | ||||||
솔루션 구축 EMEA/LA | ||||||
빌딩 솔루션 아시아 태평양 | ||||||
글로벌 제품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09-30), 10-K (보고 날짜: 2022-09-30), 10-K (보고 날짜: 2021-09-30), 10-K (보고 날짜: 2020-09-30), 10-K (보고 날짜: 2019-09-30), 10-K (보고 날짜: 2018-09-30).
- 자산 회전율의 전반적인 추세
-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각 세그먼트의 자산 회전율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일정한 수준에서 변동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Building Solutions North America의 자산 회전율은 2018년 이후 안정된 수준(약 0.56~0.58)에서 출발하여, 2022년부터 2023년까지 점차 상승세를 보여 0.65부터 0.66으로 개선되었다. 이는 해당 시장 또는 운영 효율성 측면에서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
- 지역별 세그먼트 성과와 변동성
-
솔루션 구축 EMEA/LA 세그먼트의 경우, 초기인 2018년과 2019년에는 자산 회전율이 0.74~0.76 범위에서 안정적이었으며, 2020년에 일시적으로 0.69로 감소한 이후 2021년, 2022년, 2023년까지 다시 0.71~0.79 구간에서 나타났다. 이는 해당 지역의 운영 효율성이 일정 수준 유지됨을 보여준다.
빌딩 솔루션 아시아 태평양 세그먼트는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약간의 변동성은 있으나 전반적으로 0.88~1.12 범위 내에서 움직였으며, 2022년 최고점 이후 2023년에는 약간 감소하였다. 이는 해당 시장이 상대적으로 높은 효율성을 유지했음을 의미한다.
- 글로벌 제품 세그먼트의 안정성과 변동폭
- 글로벌 제품 세그먼트의 자산 회전율은 2018년 0.59에서 2023년 0.62까지 중소폭의 상승을 보여줬으며, 전 기간 동안 큰 변동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이는 글로벌 제품 부문의 자산 활용도가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상태를 시사한다.
- 전반적인 성과 분석
- 이러한 데이터를 종합했을 때, 모든 세그먼트가 일정 수준의 운영 효율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특히 북미와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두드러진 성과 향상이 관찰된다. 일부 세그먼트는 2022년 이후 자산 회전율이 개선되어, 회사 전체의 자산 활용 능력이 점차 향상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일부 세그먼트는 여전히 과거 수준에 머무르고 있어, 세부 전략 또는 운영 개선의 여지를 고려할 수 있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Building Solutions North America
2023. 9. 30. | 2022. 9. 30. | 2021. 9. 30. | 2020. 9. 30. | 2019. 9. 30. | 2018. 9. 30.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순 매출액 | ||||||
자산 | ||||||
보고 대상 세그먼트 활동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09-30), 10-K (보고 날짜: 2022-09-30), 10-K (보고 날짜: 2021-09-30), 10-K (보고 날짜: 2020-09-30), 10-K (보고 날짜: 2019-09-30), 10-K (보고 날짜: 2018-09-30).
1 2023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 순 매출액 ÷ 자산
= ÷ =
- 순 매출액
- 2018년부터 2023년까지 연평균 매출액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2018년과 2019년 사이에 약 3.9%의 성장을 기록하였으며, 이후 2020년에는 일시적인 정체를 겪었으나, 2021년 이후 다시 성장세를 회복하였습니다. 2022년과 2023년에는 각각 약 7.9%와 10.4%의 증가율을 기록하며, 지속적인 매출 성장 경향이 확인됩니다.
- 자산
- 자산 규모는 2018년 약 1억 5384만 달러에서 2023년 약 1억 5603만 달러로 소폭 증가하였으나, 2022년에는 1억 4429만 달러로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는 2022년의 자산 축소 이후 2023년에는 다시 회복되는 양상을 나타내며, 자산 규모의 장기적 안정성을 보여줍니다.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 이 비율은 2018년 0.56에서 2023년 0.66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줍니다. 이는 자산을 활용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효율성이 점차 향상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특히 2019년 이후로 빠른 성장을 보이며, 자산 활용의 효율성 증대와 관련된 개선이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빌딩 솔루션 EMEA/LA
2023. 9. 30. | 2022. 9. 30. | 2021. 9. 30. | 2020. 9. 30. | 2019. 9. 30. | 2018. 9. 30.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순 매출액 | ||||||
자산 | ||||||
보고 대상 세그먼트 활동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09-30), 10-K (보고 날짜: 2022-09-30), 10-K (보고 날짜: 2021-09-30), 10-K (보고 날짜: 2020-09-30), 10-K (보고 날짜: 2019-09-30), 10-K (보고 날짜: 2018-09-30).
1 2023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 순 매출액 ÷ 자산
= ÷ =
- 순 매출액
- 2018년부터 2023년까지의 추세를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매출액은 상승하는 방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2018년 약 36억 9천 6백만 달러에서 2023년에는 약 40억 9백 6십만 달러로 증가하였으며, 연평균 성장은 일정하지 않으나 전체적으로는 긍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2021년 이후에는 매출액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을 나타내어 시장 수요 또는 영업 활동의 강화가 이루어졌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 자산
- 자산 규모 역시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줍니다. 2018년에 4997백만 달러였던 자산은 2023년에 5202백만 달러로 약간의 변동 후 상승 기조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한편, 일부 연도에는 자산 규모의 변동이 관찰되었으며, 예를 들어 2020년에는 4989백만 달러로 전년 대비 낮아졌으나 이후 다시 증가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이는 자산 구조의 조정 또는 투자활동과 관련된 변화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 이 비율은 기업의 자산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매출을 창출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2018년 약 0.74에서 시작하여 2023년에는 0.79로 상승하였고, 전반적으로는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2022년에는 0.81로 잠시 상승했으나, 2023년에 약간 하락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는 자산 이용 효율이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음을 시사하며, 동시에 회사의 영업 효율성과 자산 활용도가 상대적으로 안정적임을 의미합니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빌딩 솔루션 아시아 태평양
2023. 9. 30. | 2022. 9. 30. | 2021. 9. 30. | 2020. 9. 30. | 2019. 9. 30. | 2018. 9. 30.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순 매출액 | ||||||
자산 | ||||||
보고 대상 세그먼트 활동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09-30), 10-K (보고 날짜: 2022-09-30), 10-K (보고 날짜: 2021-09-30), 10-K (보고 날짜: 2020-09-30), 10-K (보고 날짜: 2019-09-30), 10-K (보고 날짜: 2018-09-30).
1 2023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 순 매출액 ÷ 자산
= ÷ =
- 순 매출액
- 전체 기간 동안 회사의 연간 매출액은 전반적으로 성장하는 추세를 보여줍니다. 2018년부터 2020년까지는 다소 변동이 있었으나, 2021년 이후에는 안정적인 상승세를 나타내며 2023년에는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2년과 2023년에 걸쳐 매출이 꾸준히 증가하는 모습을 보임으로써, 시장에서의 경쟁력 또는 영업 성과가 개선되었음을 시사합니다.
- 자산
- 자산 규모는 2018년부터 2020년까지 비교적 안정적이었으나, 2021년 이후에는 일시적으로 감소하는 모습이 관찰됩니다. 2022년에는 다시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나, 2023년에는 약간의 하락이 있으나 전체적으로는 2018년 수준에 근접하는 수준입니다. 이는 자산의 유동성 또는 자산 구성 변화와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경기 변동이나 기업 전력의 변화에 따른 일시적 조정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 이 비율은 2018년부터 2023년까지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줍니다. 2018년 0.93에서 2021년 0.95로 거의 동일한 수준을 유지하다가, 2022년에 1.12로 크게 상승한 이후 2023년에도 1.04를 기록하며 높아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회사의 자산이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의미하며, 영업 효율성이 개선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글로벌 제품
2023. 9. 30. | 2022. 9. 30. | 2021. 9. 30. | 2020. 9. 30. | 2019. 9. 30. | 2018. 9. 30.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순 매출액 | ||||||
자산 | ||||||
보고 대상 세그먼트 활동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09-30), 10-K (보고 날짜: 2022-09-30), 10-K (보고 날짜: 2021-09-30), 10-K (보고 날짜: 2020-09-30), 10-K (보고 날짜: 2019-09-30), 10-K (보고 날짜: 2018-09-30).
1 2023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 순 매출액 ÷ 자산
= ÷ =
- 순 매출액
- 2018년부터 2023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2022년과 2023년에는 각각 9,373백만 달러와 9,621백만 달러로 전년대비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성장세는 시장 확장 또는 판매 확대를 반영할 가능성이 있으며, 변동성이 적은 것으로 보인다. 다만, 2020년에는 7,869백만 달러로 일시적인 하락세를 보였으나, 이후 강한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다.
- 자산
- 총 자산은 2018년 14,261백만 달러에서 2023년 15,406백만 달러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19년 이후 약간의 변동성을 보였으며, 2020년과 2021년 사이 약간 감소하는 추세가 있었으나, 이후 다시 증가하는 흐름을 보여 전반적으로 안정적이고 성장하는 자산 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기업이 자산 기반 확장 또는 수익성 강화 차원에서 투자를 지속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 이 비율은 2018년과 2019년 각각 0.59와 0.62로 비교적 높은 수준을 유지하며 성장하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2020년에는 0.57로 일시적으로 소폭 하락했으나, 이후 다시 0.62로 회복하였다. 전체적으로 보면, 자산이 매출에 대해 효과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수년간 안정적인 자산 활용률을 유지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지속성은 기업의 운영 효율성과 자산의 운용 최적화를 반영하는 지표로 볼 수 있다.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2023. 9. 30. | 2022. 9. 30. | 2021. 9. 30. | 2020. 9. 30. | 2019. 9. 30. | 2018. 9. 30. | |
---|---|---|---|---|---|---|
Building Solutions North America | ||||||
솔루션 구축 EMEA/LA | ||||||
빌딩 솔루션 아시아 태평양 | ||||||
글로벌 제품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09-30), 10-K (보고 날짜: 2022-09-30), 10-K (보고 날짜: 2021-09-30), 10-K (보고 날짜: 2020-09-30), 10-K (보고 날짜: 2019-09-30), 10-K (보고 날짜: 2018-09-30).
- 감가상각 비율이 보고 가능한 부문 자본 지출과 관련된 재무 지표는 지역별로 통계적으로 구별되는 패턴을 보이고 있다.
- 먼저, "Building Solutions North America" 부문의 감가상각 비율은 2018년부터 2019년까지 약간 증가하였다가, 이후 2020년에는 그 비율이 하락하는 형태를 보였다. 하지만 2022년에는 급증하여 0.66까지 치솟았으며, 2023년에는 하락하여 0.46으로 조정되는 모습을 나타냈다. 이 패턴은 해당 지역에서 자본 지출 구조 또는 감가상각 적용 정책의 변화에 따른 일시적 변동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 EMEA 및 라틴 아메리카(LA) 지역의 보고 가능한 부문 감가상각 비율은 2018년 0.66에서 2019년 0.83으로 상승 후 2020년 0.97로 증가하였고, 이후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다가 2023년에는 약간 감소하였다(1.18). 이러한 상승은 해당 지역에서 자본 지출 또는 감가상각 방법의 변화에 의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
-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경우, 감가상각 비율은 2018년 0.93에서 2019년 1.13으로 증가하였으며, 2020년에는 1.5로 급증하였다. 이후 2021년부터 2023년까지 변동이 크지 않거나 일부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2023년에는 다시 높아졌다(1.43). 이 지역에서는 최근 감가상각 비율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어, 자본 지출 또는 감가상각 정책이 변화했거나, 감가상각 증가가 가속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 글로벌 제품 부문의 감가상각 비율은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하거나 일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해당 부문의 자본 지출 또는 감가상각 방식이 상대적으로 안정적임을 의미한다. 2018년 0.79에서 2023년 0.51로 낮아졌으며, 이는 해당 부문이 감가상각 비용을 적게 반영하거나 새로운 자본 지출 전략을 채택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 종합적으로 볼 때, 각 지역별 감가상각 비율의 변화는 회사의 자본 지출 전략, 감가상각 정책 및 시장 환경의 변화와 관련되어 있을 수 있으며, 특정 지역에서의 급격한 변화는 지역별 사업 환경 또는 설비 투자 패턴의 변화에 기인할 수 있다.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Building Solutions North America
Johnson Controls International plc; Building Solutions North America; Segment Capital Expenditures to Depreciation Ratio 계산
2023. 9. 30. | 2022. 9. 30. | 2021. 9. 30. | 2020. 9. 30. | 2019. 9. 30. | 2018. 9. 30.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자본 지출 | ||||||
감가상각/상각 | ||||||
보고 대상 부문 재무 비율 |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09-30), 10-K (보고 날짜: 2022-09-30), 10-K (보고 날짜: 2021-09-30), 10-K (보고 날짜: 2020-09-30), 10-K (보고 날짜: 2019-09-30), 10-K (보고 날짜: 2018-09-30).
1 2023 계산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자본 지출 ÷ 감가상각/상각
= ÷ =
- 자본 지출 현황
- 2018년부터 2023년까지의 자본 지출 규모는 다소 변동성을 보이고 있다. 2018년과 2019년에는 각각 114백만 달러와 119백만 달러로 비교적 안정된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2020년에는 93백만 달러로 감소하였다. 이는 전반적으로 축소된 흐름을 나타냈으며, 이후 2021년 87백만 달러로 줄어들었고, 2022년에는 다시 증가하여 141백만 달러를 기록하였다. 그러나 2023년에는 104백만 달러로 하락한 모습을 보여, 최근 2년간은 2021년 이후의 급증 이후 다시 축소된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 감가상각/상각 비용
- 감가상각/상각 비용은 전반적으로 안정된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미세한 변동이 관찰된다. 2018년과 2019년에는 각각 236백만 달러와 233백만 달러로 거의 유사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2020년에는 일정 수준을 유지하다가 2021년에는 245백만 달러로 소폭 증가하였고, 이후 2022년에는 213백만 달러로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2023년에는 225백만 달러로 다시 증가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감가상각 비용이 일정 수준을 유지하면서도 연도별 재무 전략 또는 자산 구조의 변화에 따른 영향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이 비율은 자본 지출이 감가상각 비용 대비 어느 정도인지를 보여주는 지표로, 2018년 0.48, 2019년 0.51, 2020년 0.4, 2021년 0.36, 2022년 0.66, 2023년 0.46으로 변화하였다. 이 비율은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에서 변동하며, 특히 2022년에는 0.66으로 증가하여 자본 지출이 감가상각보다 훨씬 높은 수준임을 나타냈다. 이는 해당 연도에 주로 투자가 활발히 이루어진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이후 2023년에는 다시 0.46으로 하락하여 감가상각 대비 자본 지출의 비율이 조정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이 비율은 회사가 연도별 재무 구조와 투자 전략에 따라 유연하게 조정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빌딩 솔루션 EMEA/LA
Johnson Controls International plc; 솔루션 구축 EMEA/LA; Segment Capital Expenditures to Depreciation Ratio 계산
2023. 9. 30. | 2022. 9. 30. | 2021. 9. 30. | 2020. 9. 30. | 2019. 9. 30. | 2018. 9. 30.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자본 지출 | ||||||
감가상각/상각 | ||||||
보고 대상 부문 재무 비율 |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09-30), 10-K (보고 날짜: 2022-09-30), 10-K (보고 날짜: 2021-09-30), 10-K (보고 날짜: 2020-09-30), 10-K (보고 날짜: 2019-09-30), 10-K (보고 날짜: 2018-09-30).
1 2023 계산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자본 지출 ÷ 감가상각/상각
= ÷ =
- 자본 지출
- 2018년부터 2023년까지 자본 지출은 전체적으로 변화가 크지 않으며, 2018년 73백만 달러에서 2021년 128백만 달러를 정점으로 이후 소폭 감소하였고, 2023년에는 119백만 달러로 집계되어 거의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패턴은 회사의 자본 투자가 비교적 안정적임을 의미하며, 외부 환경이나 내부 전략 변경 시점에 따라 조정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 감가상각/상각
- 2020년 이후 감가상각/상각 비용은 전반적으로 낮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18년에는 110백만 달러, 2019년 112백만 달러였던 것이 2020년 102백만 달러로 줄었고, 이후 2022년과 2023년 각각 96백만 달러와 101백만 달러를 기록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감가상각 비용이 비교적 안정적이거나 약간 축소되고 있음을 나타내며, 이는 고정자산의 감가상각 정책 변화 또는 자산 규모의 축소 가능성을 함의할 수 있다.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이 비율은 2018년 0.66에서 2019년 0.83, 2020년 0.97로 꾸준히 증가하다가 2021년과 2022년에는 각각 1.24로 크게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2023년에는 약간 하락하여 1.18을 기록하였다. 이 패턴은 자본 지출이 감가상각에 비해 빠르게 증가하는 시기를 거쳤으며, 특히 2021년과 2022년에는 높은 비율을 기록하였다. 이는 회사가 감가상각보다 더 많은 자본을 신규 투자 또는 유지에 투입하는 경향이 강해졌음을 시사하며, 자산 재투자 또는 확장 전략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것으로 분석될 수 있다.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빌딩 솔루션 아시아 태평양
Johnson Controls International plc; 빌딩 솔루션 아시아 태평양; Segment Capital Expenditures to Depreciation Ratio 계산
2023. 9. 30. | 2022. 9. 30. | 2021. 9. 30. | 2020. 9. 30. | 2019. 9. 30. | 2018. 9. 30.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자본 지출 | ||||||
감가상각/상각 | ||||||
보고 대상 부문 재무 비율 |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09-30), 10-K (보고 날짜: 2022-09-30), 10-K (보고 날짜: 2021-09-30), 10-K (보고 날짜: 2020-09-30), 10-K (보고 날짜: 2019-09-30), 10-K (보고 날짜: 2018-09-30).
1 2023 계산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자본 지출 ÷ 감가상각/상각
= ÷ =
- 자본 지출
- 2018년부터 2023년까지의 자본 지출은 전체적으로 variability를 보이나, 전반적으로 안정된 수준을 유지하는 경향이 관찰됩니다. 2018년과 2019년에는 각각 26백만 달러로 일관성을 보였으며, 2020년에는 잠시 증가하여 36백만 달러에 도달하였으나, 이후 2021년에는 31백만 달러로 감소하였고, 2022년 다시 22백만 달러로 낮아졌습니다. 최근 2023년에는 33백만 달러로 회복하는 모습을 보이는데, 이러한 변화는 회사의 투자 전략이나 연간 자금 배분 정책의 조정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 감가상각/상각
- 2023년까지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은 다소 변동성을 나타내며, 대체로 21백만 달러에서 28백만 달러 사이에서 움직이고 있습니다. 2018년에는 28백만 달러였으며, 이후 2019년과 2020년에는 각각 23백만 달러, 24백만 달러로 다소 낮아졌으나, 2021년에는 25백만 달러로 상승하였고, 이후 2022년과 2023년에는 각각 21백만 달러와 23백만 달러로 다시 유사한 수치를 유지하였습니다. 이러한 추세는 감가상각 비용의 안정성과 자산 정비와 관련된 비용 구조를 반영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이 비율은 2018년 0.93에서 시작하여 2019년 1.13으로 상승했으며, 2020년에는 더 높은 1.5로 기록되어 투자와 감가상각 간의 관계가 확대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후 2021년과 2022년에는 각각 1.24, 1.05로 일부 감소한 후 2023년에는 다시 1.43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자본 지출이 감가상각 비용보다 다소 더 높은 수준에서 유지되며, 투자 활동이 감가상각을 초과하는 시기가 지속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전반적으로, 이 비율의 변동은 회사의 자산 재투자 및 유지 정책의 유연성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글로벌 제품
2023. 9. 30. | 2022. 9. 30. | 2021. 9. 30. | 2020. 9. 30. | 2019. 9. 30. | 2018. 9. 30.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자본 지출 | ||||||
감가상각/상각 | ||||||
보고 대상 부문 재무 비율 |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09-30), 10-K (보고 날짜: 2022-09-30), 10-K (보고 날짜: 2021-09-30), 10-K (보고 날짜: 2020-09-30), 10-K (보고 날짜: 2019-09-30), 10-K (보고 날짜: 2018-09-30).
1 2023 계산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자본 지출 ÷ 감가상각/상각
= ÷ =
- 자본 지출(CapEx)
- 2018년부터 2023년까지 자본 지출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변동성을 보이고 있지만,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2018년 307백만 달러로 시작하여 2019년 약간 증가한 310백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이후 2020년에는 일시적인 감소를 보여 191백만 달러로 하락하였다. 이후 2021년 재개된 상승세로 다시 265백만 달러를 기록했고, 2022년과 2023년에는 각각 257백만 달러와 233백만 달러로 소폭 하락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일시적 투자 또는 프로젝트의 확장/축소에 따른 조정으로 해석할 수 있다.
- 감가상각/상각(Depreciation & Amortization)
- 감가상각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8년 390백만 달러에서 시작하여 2019년에는 다소 증가하여 396백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이후 2020년에는 414백만 달러로 상승, 2021년에는 432백만 달러로 소폭 증가하였다. 2022년에는 461백만 달러로 정점을 찍고, 2023년에는 약간 감소하여 454백만 달러를 기록하였다. 이와 같은 증가는 자산의 지속적인 확장과 그에 따른 감가상각 비용의 증가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CapEx / Depreciation & Amortization Ratio)
- 이 비율은 2018년 0.79에서 시작하여 2019년 0.78로 유지되다가 2020년에는 급격히 낮아져 0.46으로 하락하였다. 이후 2021년과 2022년에는 각각 0.61과 0.56으로 반등하였으며, 2023년에는 약간 하락하여 0.51을 기록하였다. 이 추세는 자본 지출이 감가상각 비용에 비해 상대적으로 줄거나, 감가상각이 증가하는 동안 자본 투자에 대한 상대적 강도가 낮아졌음을 시사한다. 특히 2020년의 급격한 하락은 투자 활동이 일시적으로 축소되었거나, 자산 재무구조에 변화가 있었을 가능성을 내포한다.
순 매출액
2023. 9. 30. | 2022. 9. 30. | 2021. 9. 30. | 2020. 9. 30. | 2019. 9. 30. | 2018. 9. 30. | |
---|---|---|---|---|---|---|
Building Solutions North America | ||||||
솔루션 구축 EMEA/LA | ||||||
빌딩 솔루션 아시아 태평양 | ||||||
글로벌 제품 | ||||||
합계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09-30), 10-K (보고 날짜: 2022-09-30), 10-K (보고 날짜: 2021-09-30), 10-K (보고 날짜: 2020-09-30), 10-K (보고 날짜: 2019-09-30), 10-K (보고 날짜: 2018-09-30).
- 매출액의 전체적인 추세
- 5개 기간에 걸쳐 분석된 순 매출액은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총 매출액은 2018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2018년의 총 매출액은 약 23,400백만 달러였으며, 이후 지속적인 증가를 기록하여 2023년에는 약 26,793백만 달러에 이르렀다. 이는 회사의 매출 규모가 전체적으로 성장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 사업 부문별 성과 변화
- 세부 사업 부문별 매출 역시 유의미한 성장 또는 안정적인 추세를 보이고 있다. "Building Solutions North America"는 매출이 2018년 8,679백만 달러에서 2023년 10,330백만 달러로 증가했으며, 특히 2022년과 2023년에 걸쳐 두 자리 수의 성장세를 유지하였다. "솔루션 구축 EMEA/LA"는 비교적 안정적인 수치를 기록했으며, 2023년에는 약 4,096백만 달러를 기록하였다. "빌딩 솔루션 아시아 태평양"은 약간의 변동성을 보였지만, 전반적으로 늘어난 수치인 2018년 2,553백만 달러에서 2023년 2,746백만 달러로 성장하였다. "글로벌 제품" 부문도 꾸준한 성장세를 보여 2018년 8,472백만 달러에서 2023년 9,621백만 달러로 증가하였다.
- 성장률 및 시장의 확장 가능성
- 전체 매출액 증가는 글로벌 경제 상황과 시장 성장을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특히 북미 지역의 매출 상승이 전체 성장의 큰 동력이 된 것으로 분석된다. 아울러, 아시아 태평양 시장의 매출도 견고한 성장을 지속 중이며, 글로벌 제품 부문 역시 강력한 실적을 기록하여 회사의 다각적 시장 전략이 성공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추세는 회사의 시장 확장과 안정적 성장 가능성을 시사한다.
- 요약
- 전반적으로, 이 재무 데이터는 회사의 매출이 연평균 긍정적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사업 부문별 성장률은 다소 차이를 보이지만, 전체 매출의 증가와 함께 회사의 시장 점유율 확대 및 수익성 향상 가능성을 내포한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시장 확장과 전략적 투자가 병행된다면, 안정적 성장세를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EBITA 부문
2023. 9. 30. | 2022. 9. 30. | 2021. 9. 30. | 2020. 9. 30. | 2019. 9. 30. | 2018. 9. 30. | |
---|---|---|---|---|---|---|
Building Solutions North America | ||||||
솔루션 구축 EMEA/LA | ||||||
빌딩 솔루션 아시아 태평양 | ||||||
글로벌 제품 | ||||||
합계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09-30), 10-K (보고 날짜: 2022-09-30), 10-K (보고 날짜: 2021-09-30), 10-K (보고 날짜: 2020-09-30), 10-K (보고 날짜: 2019-09-30), 10-K (보고 날짜: 2018-09-30).
- 전반적인 매출 및 수익성 추세
- 2018년부터 2023년까지 검토된 기간 동안, 각 부문의 EBITA(이자, 세금, 감가상각 전 이익)에서 다양한 변화가 관찰된다. 특히, 글로벌 제품 부문은 지속적인 성장을 보여주어, 2018년 1,338백만 달러에서 2023년 1,965백만 달러로 약 47%의 증가를 기록하였다. 이는 해당 부문의 시장 수요 확대 또는 효율성 향상에 기인할 수 있다.
- 지역별 부문 성과 분석
- 북미 지역의 Building Solutions 부문은 전반적으로 견고한 실적을 유지하며, 2018년 1,109백만 달러에서 2023년 1,394백만 달러로 성장하였다. 이는 지역 시장의 안정성과 기초 인프라 수요의 지속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반면, EMEA/LA 지역의 솔루션 구축 부문은 2019년을 정점으로 일부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2018년에는 344백만 달러였던 EBITA가 2023년에는 316백만 달러로 낮아졌으며, 이는 지역 시장의 경쟁 심화 또는 수익성 압력 문제를 시사할 수 있다. 아시아 태평양 부문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성과를 유지하며, 2018년 347백만 달러에서 2023년 343백만 달러로 유사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 전체적인 성장 동향
- 전체 EBITA 합계는 2018년 3,138백만 달러에서 2023년 4,018백만 달러로 약 28% 증가하였다. 이는 전체 기업의 수익성이 개선되었음을 보여주는 지표로, 일부 부문의 성장과 더불어 전반적인 경영성과의 긍정적인 흐름을 나타낸다. 특히, 글로벌 제품 부문의 지속적인 성장과 함께, 다른 지역 부문에서도 다수의 안정적 또는 성장하는 추세가 관찰되어, 전략적 포트폴리오의 성공적 운영 또는 시장 확대의 결과일 가능성이 있다.
자산
2023. 9. 30. | 2022. 9. 30. | 2021. 9. 30. | 2020. 9. 30. | 2019. 9. 30. | 2018. 9. 30. | |
---|---|---|---|---|---|---|
Building Solutions North America | ||||||
솔루션 구축 EMEA/LA | ||||||
빌딩 솔루션 아시아 태평양 | ||||||
글로벌 제품 | ||||||
합계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09-30), 10-K (보고 날짜: 2022-09-30), 10-K (보고 날짜: 2021-09-30), 10-K (보고 날짜: 2020-09-30), 10-K (보고 날짜: 2019-09-30), 10-K (보고 날짜: 2018-09-30).
- 자산 구성 및 전체 추세
-
2018년부터 2023년까지의 자산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자산 규모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일부 변동이 관찰된다. 전체 자산의 총합은 2018년 37,385백만 달러에서 2023년 38,856백만 달러로 소폭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증가세는 전반적인 기업 규모의 확장을 시사하며, 특히 2021년 이후 다소 완만하게 상승하는 추세를 따른다.
각 부문별 자산의 변화는 서로 차이를 보이는데, 'Building Solutions North America' 부문에서는 2018년 15,384백만 달러에서 2023년 15,603백만 달러로 거의 유지되거나 약간의 상승을 보이며 안정적인 자산 규모를 유지하고 있다. 반면, '솔루션 구축 EMEA/LA' 부문은 2018년 4,997백만 달러에서 2023년 5,202백만 달러로 조금씩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 해당 지역의 자산 확장에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 지역별 자산 동향
-
'빌딩 솔루션 아시아 태평양' 부문은 2018년 2,743백만 달러에서 2023년 2,645백만 달러로 약간의 하락 또는 정체세를 보이고 있어, 성장세는 둔화된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글로벌 제품' 부문은 2018년 14,261백만 달러에서 2023년 15,406백만 달러에 이르기까지 꾸준한 상승세를 보여, 전체 자산 성장에 기여하는 주요 부문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지역별 자산 분포는 각 부문의 성장 동력과 시장 전략의 차이를 반영할 가능성이 있으며, 북미와 글로벌 제품 부문의 지속적인 자산 증가는 해당 시장에서의 지속적인 투자와 확장에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데이터의 의미와 전략적 관점
-
전반적으로 자산 규모의 안정성과 일부 부문의 성장세는, 기업이 견고한 기반 위에서 점진적 성장을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글로벌 제품 부문의 지속적인 확장은 혁신적 제품 개발 또는 글로벌 시장 확대 전략의 성과로 볼 수 있다. 반면, 일부 지역 부문에서는 성장세 둔화 또는 정체 양상이 나타나고 있어, 해당 시장 내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적 재조정이 필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산 구성 변화는 기업의 글로벌 운영 전략, 시장 역량, 그리고 지역별 성장 기회와 제약 요인들을 반영한다. 기업은 이러한 데이터를 토대로 지역별 투자 집중도 조절, 제품 또는 서비스 포트폴리오 조정 등의 전략적 의사결정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감가상각/상각
2023. 9. 30. | 2022. 9. 30. | 2021. 9. 30. | 2020. 9. 30. | 2019. 9. 30. | 2018. 9. 30. | |
---|---|---|---|---|---|---|
Building Solutions North America | ||||||
솔루션 구축 EMEA/LA | ||||||
빌딩 솔루션 아시아 태평양 | ||||||
글로벌 제품 | ||||||
합계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09-30), 10-K (보고 날짜: 2022-09-30), 10-K (보고 날짜: 2021-09-30), 10-K (보고 날짜: 2020-09-30), 10-K (보고 날짜: 2019-09-30), 10-K (보고 날짜: 2018-09-30).
- 감가상각/상각 비용 추이 분석
-
2018년부터 2023년까지의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은 전체적으로 변화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8년과 2019년 사이에 거의 정체된 모습을 보였으나, 2020년 이후로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특히, 2021년에는 약간 상승했으며, 2022년과 2023년에는 각각 791백만 달러와 803백만 달러로 업계 평균 수준의 증가세를 유지하였다.
국가 또는 지역별 세부 항목에서는, 북미 지역의 'Building Solutions North America'가 지속적으로 높은 감가상각 비용을 기록하며, 2019년 이후로 약간의 변동은 있지만 대체로 안정세를 유지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솔루션 구축 EMEA/LA'와 '빌딩 솔루션 아시아 태평양'의 경우, 2020년 이후 비용이 약간 하락하거나 정체되는 모습이 관찰된다.
전반적으로, 글로벌 제품 부문의 감가상각/상각 비용은 꾸준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 회사의 감가상각 부담이 전체적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시사한다. 이는 전반적인 투자 또는 자산 규모의 확장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합계 수치는 2018년 764백만 달러에서 2023년 803백만 달러로 약 5.2% 증가했으며, 전체 비용 구조의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일정 수준의 비용 증대가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자본 지출
2023. 9. 30. | 2022. 9. 30. | 2021. 9. 30. | 2020. 9. 30. | 2019. 9. 30. | 2018. 9. 30. | |
---|---|---|---|---|---|---|
Building Solutions North America | ||||||
솔루션 구축 EMEA/LA | ||||||
빌딩 솔루션 아시아 태평양 | ||||||
글로벌 제품 | ||||||
합계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09-30), 10-K (보고 날짜: 2022-09-30), 10-K (보고 날짜: 2021-09-30), 10-K (보고 날짜: 2020-09-30), 10-K (보고 날짜: 2019-09-30), 10-K (보고 날짜: 2018-09-30).
- 자본 지출의 연도별 변화 추이
- 2018년부터 2019년까지 자본 지출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특히, 글로벌 제품 부문의 자본 지출이 약 3억 70백만 달러에서 약 3억 10백만 달러로 소폭 상승한 것으로 관찰됩니다. 이어서, 2020년에 전체 자본 지출이 약 4억 19백만 달러로 감소했지만, 이후 2021년에는 약 5억 11백만 달러, 2022년에는 약 5억 39백만 달러, 2023년에는 약 4억 89백만 달러에 이르는 증가 및 감소가 반복되고 있습니다.
- 지역별 자본 지출 패턴 분석
- 북미 지역인 Building Solutions North America는 2018년 114백만 달러에서 2023년 104백만 달러로 변동이 크지 않게 유지되며, 일부 연도에 걸쳐 작은 단기적 변동을 보였습니다. 유럽, 중동, 아프리카/라틴 아메리카 지역인 솔루션 구축 EMEA/LA는 지속적으로 자본 지출이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냈으며, 2023년에는 119백만 달러로 2018년보다 상승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은 변동폭이 크고, 2020년에 최고치인 36백만 달러를 기록한 후, 2022년과 2023년에 각각 22백만 달러와 33백만 달러로 감소하였다가 회복하는 패턴을 보입니다.
- 글로벌 제품 부문의 변화
- 글로벌 제품 부문의 자본 지출은 2018년과 2019년에 각각 3억 7백만 달러와 3억 10백만 달러로 높았으나, 2020년에는 약 1억 91백만 달러로 크게 감소하였음을 볼 수 있습니다. 2021년부터 다시 증가하여 2억 65백만 달러, 2억 57백만 달러, 2억 33백만 달러를 기록하며 여러 해 동안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는 양상을 보입니다.
- 전체 자본 지출의 총합 추이
- 전체 자본 지출은 2018년 5억 20백만 달러에서 2019년 5억 48백만 달러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다가, 2020년에 4억 19백만 달러로 감소하는 모습을 나타냈습니다. 이후 2021년과 2022년에는 각각 5억 11백만 달러와 5억 39백만 달러로 다시 회복되는 추세를 보였으며, 2023년에는 약 4억 89백만 달러로 약간 축소되었습니다. 이는 전체적으로 볼 때 자본 지출이 연평균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며, 다소 변동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시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