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차대조표의 구조: 부채와 주주자본
분기별 데이터
보고서 기준: 10-Q (보고 날짜: 2023-04-29), 10-K (보고 날짜: 2023-01-28), 10-Q (보고 날짜: 2022-10-29), 10-Q (보고 날짜: 2022-07-30), 10-Q (보고 날짜: 2022-04-30), 10-K (보고 날짜: 2022-01-29), 10-Q (보고 날짜: 2021-10-30), 10-Q (보고 날짜: 2021-07-31), 10-Q (보고 날짜: 2021-05-01), 10-K (보고 날짜: 2021-01-30), 10-Q (보고 날짜: 2020-10-31), 10-Q (보고 날짜: 2020-08-01), 10-Q (보고 날짜: 2020-05-02), 10-K (보고 날짜: 2020-02-01), 10-Q (보고 날짜: 2019-11-02), 10-Q (보고 날짜: 2019-08-03), 10-Q (보고 날짜: 2019-05-04), 10-K (보고 날짜: 2019-02-02), 10-Q (보고 날짜: 2018-11-03), 10-Q (보고 날짜: 2018-08-04), 10-Q (보고 날짜: 2018-05-05), 10-K (보고 날짜: 2018-02-03), 10-Q (보고 날짜: 2017-10-28), 10-Q (보고 날짜: 2017-07-29), 10-Q (보고 날짜: 2017-04-29).
- 총 부채 및 주주 자본 비율(적자)의 변화와 패턴
- 전체 기간 동안 총 부채 및 주주 자본 비율은 100%를 유지하며, 재무 구조의 안정성을 지속적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2017년부터 2018년 초까지는 비율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2018년 이후에는 일정 수준을 유지하는 경향이 나타났습니다. 이는 부채와 자본의 구성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음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 단기 유동 부채와 유동성상태
-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유동부채는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특히 2018년 이후에는 30%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향이 관찰됩니다. 이후 2022년과 2023년에는 다소 감소하는 모습을 보여 유동성 부담이 일부 완화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와 함께 유동부채 비율이 높아지면서 유동성 관리를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 장기 채무와 비유동 부채의 배경
- 비유동 부채는 2017년에서 2023년까지 상당히 높은 수준과 변동성을 보였습니다. 특히, 2017년과 2018년 사이에 대규모 증가 후, 이후에는 일부 축소 양상도 관찰됩니다. 이는 회사의 장기 금융조달 전략과 신용시설, 전환사채 등 다양한 장기 채권들을 통해 자금 조달 구조를 조정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 전환사채 관련 부채의 변동성과 안정성
- 전환사채 관련 항목은 일정 기간 동안 변동성을 보여주며, 특히 2022년과 2023년에는 일부 만기전환사채의 비율이 높아졌습니다. 2024년 만기 전환사채는 2019년 이후 점차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 만기 도래 및 전환사채의 재조정이 중요한 이슈임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부채의 구조는 회사의 자본조달 전략 및 재무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자본과 손익항목의 동향
- 추가 납입 자본금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며, 이는 주식 후반에 적극적인 자본 확충 또는 금융 유입이 있었음을 의미합니다. 반면, 이익잉여금(누적 적자)는 2017년 이후 단기 적자를 기록했고, 이후 회복세를 보이면서 2021년 이후 흑자 전환됩니다. 이에 따라 회사의 내부 유보 자산이 서서히 회복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이연 법인세와 기타 비유동 의무의 변동
- 이연 법인세 부채는 2018년 이후 미미한 수준으로 유지되거나 극히 낮은 수준입니다. 기타 비유동 의무는 지속적인 변동을 보이면서 일부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며, 세부 항목별 구조에 따라 자금 운용의 유연성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지표입니다.
- 자산 구조와 자본 형성
- 기타 포괄손익 누적(손실)은 2017년 이후 일부 회복되면서 2021년부터는 플러스로 전환, 회사의 전반적인 수익성 개선의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추가 납입 자본금 역시 꾸준한 증가를 보여, 자본 확충에 적극적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와 함께, 국채 또는 기타 자산법 LOAN과 관련된 항목들은 변동성이 크거나 일부 축소되었으며, 자금 조달 구조의 재구성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 종합적 관점
- 전반적으로, 재무 구조는 부채 비율이 높고 일정 수준의 자본 확충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유동부채 및 장기 부채의 증가는 자금 조달 활동이 활발했음을 나타내며, 자본 항목의 회복과 함께 재무 건전성이 일정 수준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다만, 유동성과 부채 구조에서의 변동성은 지속적인 재무 관리와 전략적 대응이 필요함을 시사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회사는 재무 안정성을 강화하고, 부채 구조를 최적화하는 방향으로 노력을 지속할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