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e Technologies plc 는 북미 및 라틴 아메리카(미주)의 3개 부문으로 운영됩니다. 유럽, 중동 및 아프리카(EMEA); 및 아시아 태평양.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북아메리카 및 라틴 아메리카(아메리카) | 18.40% | 18.33% | 17.32% | 17.32% | 16.98% |
유럽, 중동 및 아프리카(EMEA) | 16.62% | 18.47% | 16.12% | 15.19% | 16.53% |
아시아 태평양 | 18.86% | 18.51% | 16.85% | 14.58% | 13.39%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2020년까지의 데이터에서 북아메리카 및 라틴 아메리카(아메리카) 부문의 이익률은 대체로 안정된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2018년과 2019년 각각 16.98%와 17.32%의 수치를 기록하였다. 2020년에도 비슷한 수준인 17.32%를 유지하였으며, 이후 2021년에 18.33%로 약간 상승하였고, 2022년에는 18.4%로 거의 정체되었다. 이러한 흐름은 아메리카 부문의 수익성 개선이 지속됨을 보여준다.
유럽, 중동 및 아프리카(EMEA) 부문의 경우, 2018년과 2019년에는 각각 16.53%와 15.19%로 변동이 있었으며, 2020년에는 16.12%로 간신히 대체로 유지되었다. 2021년에는 18.47%로 두 자리수에 도달하며 의미있는 증가를 보여주었고, 2022년에는 16.62%로 다소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EMEA 부문이 특정 기간 동안 수익성 향상에 성공했지만, 이후 혼조세를 보이고 있음을 시사한다.
아시아 태평양 부문의 경우 2018년 13.39%에서 점차 상승하는 경향을 보여주었으며, 2020년에는 16.85%로 두 배 이상 증가하였다. 2021년과 2022년에는 각각 18.51%와 18.86%에 이르러, 전체적으로 가장 강한 수익성 향상을 나타내는 지역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승 추세는 아시아 태평양 시장에서의 수익률 개선이나 운영 효율성 향상에 기인한 것으로 관찰된다.
전반적으로, 세 지역 모두 2020년 이후에는 가파른 수익률 향상이 나타났으며, 특히 아시아 태평양 부문은 지속적인 상승세에 있다. 반면 EMEA 부문은 일시적인 성과를 보여준 후 하락세를 보이고 있어 지역별 수익성 변동성과 시장 환경의 차이를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북미 및 라틴 아메리카(미주)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천) | |||||
부문별 조정 EBITDA | 2,326,300) | 2,008,800) | 1,677,700) | 1,742,100) | 1,565,500) |
순 매출 | 12,640,800) | 10,957,100) | 9,685,900) | 10,059,500) | 9,219,400)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1 | 18.40% | 18.33% | 17.32% | 17.32% | 16.98%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 2022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100 × 부문별 조정 EBITDA ÷ 순 매출
= 100 × 2,326,300 ÷ 12,640,800 = 18.40%
- 부문별 조정 EBITDA
- 2018년부터 2022년까지 부문별 조정 EBITDA는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18년 1,565,500천 달러에서 시작하여 2022년에는 2,326,300천 달러로 증가하였으며, 전반적으로 연평균 증가 추세가 관찰됩니다. 특히 2021년에서 2022년 사이에 급증한 모습이 나타나며, 이는 수익성 향상이나 효율성 개선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 순 매출
- 순 매출 역시 유사하게 상승하는 추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2018년 9,219,400천 달러에서 2022년 12,640,800천 달러로 증가했습니다. 전 기간에 걸쳐 꾸준한 매출 성장세를 보여주며, 이는 시장 내 점유율 확대 또는 신규 사업 부문의 성과에 기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2021년 이후의 매출 증가율이 더 높아지고 있어, 최근의 성장세가 가속화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이익률은 2018년 16.98%에서 시작해 2022년 18.4%에 이르기까지 점진적인 상승을 보여줍니다. 일정하게 상승하는 추세는 회사가 수익성을 낮은 비용 구조 혹은 효율성 향상을 통해 개선하고 있음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연평균 약 0.3%p씩 상승하는 패턴은 안정적인 수익성 개선을 반영하며, 이는 기업의 재무 건전성 유지에 긍정적인 신호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유럽, 중동 및 아프리카(EMEA)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천) | |||||
부문별 조정 EBITDA | 338,100) | 359,200) | 265,700) | 267,700) | 302,700) |
순 매출 | 2,034,500) | 1,944,900) | 1,648,100) | 1,762,600) | 1,831,100)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1 | 16.62% | 18.47% | 16.12% | 15.19% | 16.53%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 2022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100 × 부문별 조정 EBITDA ÷ 순 매출
= 100 × 338,100 ÷ 2,034,500 = 16.62%
- 부문별 조정 EBITDA
- 2018년부터 2020년까지 부문별 조정 EBITDA는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2018년에는 약 302,700천 달러에서 2020년에는 265,700천 달러로 소폭 하락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이후 2021년에는 다시 증가하여 359,200천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2022년에는 약간 감소하여 338,100천 달러로 유지되었습니다. 이러한 변동은 매출과 연동되어 있으며, 2021년의 두 자릿수 증가가 EBITDA 상승에 기여한 것으로 보입니다.
- 순 매출
- 순 매출은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18년 1,831,100천 달러에서 2019년과 2020년에는 각각 약간 하락하였으나 2021년과 2022년에는 각각 약 1,944,900천 달러와 2,034,500천 달러로 다시 증가하였습니다. 이에는 전반적으로 시장 점유율 확대 또는 신제품 출시에 따른 수요 증가가 기인할 수 있으며, 회사의 연평균 성장률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신호라고 볼 수 있습니다.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이익률은 2018년 16.53%에서 2019년에는 15.19%로 소폭 하락하였으나, 2020년에는 16.12%로 다소 회복하는 모습을 나타냈습니다. 2021년에는 18.47%로 크게 상승하였으며, 2022년에는 약간 하락하여 16.62%를 기록하였습니다. 전반적으로 이익률은 년도별로 다소 변동이 있으나, 2021년의 강한 이익률 상승은 수익성 향상 또는 원가 절감, 또는 판매가격 상승 등의 내부 역량 강화를 반영할 수 있습니다.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아시아 태평양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천) | |||||
부문별 조정 EBITDA | 248,300) | 228,500) | 188,800) | 182,800) | 173,200) |
순 매출 | 1,316,400) | 1,234,400) | 1,120,700) | 1,253,800) | 1,293,300)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1 | 18.86% | 18.51% | 16.85% | 14.58% | 13.39%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 2022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100 × 부문별 조정 EBITDA ÷ 순 매출
= 100 × 248,300 ÷ 1,316,400 = 18.86%
- 부문별 조정 EBITDA
-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2021년 이후 급증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2018년 173,200천 달러에서 2022년 248,300천 달러로 증가하여, 영업이익률 확대와 함께 수익성 개선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상승은 전반적으로 회사의 운영 효율성과 수익성을 높인 결과일 가능성이 크다.
- 순 매출
- 연도별로 볼 때, 2018년 이후 소폭 감소를 경험했으며, 2020년에는 1,120,700천 달러로 하락하였다. 그러나 2021년부터 다시 회복세를 보여 2022년에는 1,316,400천 달러에 달하였으며, 전반적으로 매출은 변동성을 보이면서도 점진적인 증가를 기록하였다. 이는 시장 회복 또는 사업 부문별 성장 전략이 어느 정도 효과를 발휘했음을 시사한다.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이익률은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추세를 나타내며, 2018년 13.39%에서 2022년 18.86%로 증가하였다. 특히 2020년과 2021년에 두드러지게 상승하는 모습이 관찰되며, 이는 수익성 향상에 기여한 내부 효율화, 원가 절감 또는 가격 전략의 효과일 가능성이 있다. 전반적으로 회사의 수익성은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북아메리카 및 라틴 아메리카(아메리카) | 0.90 | 0.65 | 0.44 | 0.69 | 0.94 |
유럽, 중동 및 아프리카(EMEA) | 0.90 | 0.71 | 0.76 | 0.97 | 0.48 |
아시아 태평양 | 0.64 | 1.25 | 0.66 | 0.84 | 0.57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 감가상각 비율에 대한 보고 가능한 부문 자본 지출
- 이 항목은 지역별로 관찰된 자본 지출의 변화와 연관된 감가상각 비율의 변동을 보여줍니다. 북아메리카 및 라틴 아메리카 부문의 경우, 2018년 약 0.94에서 2019년과 2020년에는 각각 낮아졌으며, 이후 2021년에 다시 상승하고 2022년에는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습니다. 이러한 패턴은 회계 또는 자본 투자 전략의 변화, 혹은 설비 교체와 관련된 자본 지출 활동의 증감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입니다. 유럽, 중동 및 아프리카(EMEA) 지역은 2018년 0.48로 시작해 2019년과 2020년에는 증가하는 모습을 보인 반면, 2021년과 2022년에 각각 안정화 또는 높은 수준(0.71, 0.9)으로 유지되었습니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은 2018년 0.57에서 2019년과 2020년에는 상승했으며, 2021년에는 1.25로 정점을 찍고 이후 2022년에는 하락하여 0.64로 나타났습니다. 전반적으로 각 지역별로 자본 지출 관련 감가상각 비율이 일시적인 변동을 겪었으며, 이는 투자 전략 또는 자본 배분의 변화에 따른 것으로 추정됩니다.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북미 및 라틴 아메리카(미주)
Trane Technologies plc; 북아메리카 및 라틴 아메리카(아메리카); Segment Capital Expenditures to Depreciation Ratio 계산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천) | |||||
자본 지출 | 230,500) | 148,700) | 98,200) | 146,800) | 195,300) |
감가상각 및 상각 | 256,900) | 227,600) | 224,000) | 213,600) | 208,800) |
보고 대상 부문 재무 비율 |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1 | 0.90 | 0.65 | 0.44 | 0.69 | 0.94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 2022 계산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자본 지출 ÷ 감가상각 및 상각
= 230,500 ÷ 256,900 = 0.90
- 자본 지출
-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자본 지출은 전체적으로 상승하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으며, 2018년의 195,300천 달러에서 2022년에는 230,500천 달러로 증가하였습니다. 특히, 2020년 이후로는 상당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회사가 설비 및 자산의 확장 또는 유지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2021년과 2022년 사이에는 강한 성장세가 관찰됩니다.
- 감가상각 및 상각
-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은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며, 2018년의 208,800천 달러에서 2022년에는 256,900천 달러로 확대되었습니다. 이와 같은 증가는 회사가 자산을 취득하거나 기존 자산의 감가상각을 통해 회계적으로 비용 처리하는 간접적 신호로 볼 수 있으며, 투자의 확대와 연동된 것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이 비율은 2018년 0.94에서 2020년 0.44까지 하락한 후 다시 2021년 0.65, 2022년에는 0.90으로 증가하였음을 보여줍니다. 처음에 비율이 하락한 것은 감가상각 비용이 상대적으로 더 빠르게 증가하거나, 자산 취득이 일시적으로 줄어들었음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2021년과 2022년에는 이 비율이 다시 상승하여, 자본 지출이 감가상각 대비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장기적 성장 전략 또는 자산 확장에 대한 재투자가 강조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유럽, 중동 및 아프리카(EMEA)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천) | |||||
자본 지출 | 25,900) | 23,600) | 24,700) | 30,000) | 14,500) |
감가상각 및 상각 | 28,800) | 33,300) | 32,600) | 31,000) | 30,000) |
보고 대상 부문 재무 비율 |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1 | 0.90 | 0.71 | 0.76 | 0.97 | 0.48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 2022 계산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자본 지출 ÷ 감가상각 및 상각
= 25,900 ÷ 28,800 = 0.90
- 자본 지출
- 2018년부터 2019년까지 자본 지출은 거의 두 배로 증가하였으며, 2020년에는 소폭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이후 2021년과 2022년에는 다시 상승하는 양상을 나타내어, 전반적으로 자본 투자 규모가 늘어나는 경향이 관찰됩니다. 특히 2019년의 급격한 증가 이후, 2022년까지 안정된 수준에 근접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 감가상각 및 상각
- 이 항목은 여러 해에 걸쳐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2018년 3만 달러 수준에서 2019년과 2020년에는 각각 3만1000달러와 3만2600달러로 조금씩 상승했고, 2021년에는 3만3300달러로 더 증가하였으나, 2022년에는 2만8800달러로 감소하였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자산 감가상각 관행의 변화 혹은 유효 자산의 변동에 기인할 수 있습니다.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이 비율은 연도별로 큰 변동성을 나타내며, 2018년 0.48에서 2019년 0.97로 급증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후 2020년에는 0.76, 2021년에는 0.71, 그리고 2022년에는 다시 상승하여 0.9에 이르렀습니다. 이러한 패턴은 회사가 특정 연도에 감가상각 비용 대비 자본 지출에 대한 전략적 조정이나 자산 투자의 우선순위 변경 등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이 비율은 2019년 이후 높은 수준을 유지하며, 자본 지출이 감가상각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거나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줍니다.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아시아 태평양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천) | |||||
자본 지출 | 11,200) | 20,600) | 7,700) | 11,300) | 7,500) |
감가상각 및 상각 | 17,600) | 16,500) | 11,600) | 13,400) | 13,200) |
보고 대상 부문 재무 비율 |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1 | 0.64 | 1.25 | 0.66 | 0.84 | 0.57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 2022 계산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자본 지출 ÷ 감가상각 및 상각
= 11,200 ÷ 17,600 = 0.64
- 자본 지출의 추이 및 분석
-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자본 지출은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2021년에 급증한 후 2022년에는 다소 감소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2018년과 2019년에는 각각 7,500천 달러와 11,300천 달러로 증가하였으며, 2020년에는 7,700천 달러로 소폭 감소하였다. 2021년에는 20,600천 달러로 큰 폭으로 상승했고, 이후 2022년에는 11,200천 달러로 하락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기업의 투자 활동이 특정 연도에 집중되었음을 시사하며, 일부 기간 동안 규모가 크게 확대되었음을 보여준다.
- 감가상각 및 상각의 동향
- 감가상각 및 상각액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2018년에는 13,200천 달러였던 것이 2022년에는 17,600천 달러로 증가하였다. 이는 회사의 자산이 증가함에 따른 감가상각 비용도 함께 늘어나고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2021년 이후 강한 상승세를 보이며, 2021년에는 16,500천 달러, 2022년에는 17,600천 달러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증가는 자산 가치의 증대 또는 감가상각 정책의 변화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의 변화
- 이 비율은 2018년 0.57에서 2019년 0.84로 증가한 후 2020년에 0.66으로 소폭 감소하였으며, 2021년에는 1.25로 급증하였다. 이후 2022년에는 0.64로 다시 하락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높은 비율은 감가상각 비용에 비해 많은 자본 지출이 이루어졌음을 의미하며, 특히 2021년의 급증은 자본 투자와 감가상각 비용 간 차이가 크게 벌어진 시점임을 시사한다. 이러한 변동은 기업의 투자 전략이 일시적으로 확장적이었거나, 특정 프로젝트에 대한 대규모 투자가 이루어진 것과 연관될 수 있다.
순 매출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북아메리카 및 라틴 아메리카(아메리카) | 12,640,800) | 10,957,100) | 9,685,900) | 10,059,500) | 9,219,400) |
유럽, 중동 및 아프리카(EMEA) | 2,034,500) | 1,944,900) | 1,648,100) | 1,762,600) | 1,831,100) |
아시아 태평양 | 1,316,400) | 1,234,400) | 1,120,700) | 1,253,800) | 1,293,300) |
합계 | 15,991,700) | 14,136,400) | 12,454,700) | 13,075,900) | 12,343,800)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 수익 패턴 및 성장 추세
-
전반적으로, Trane Technologies plc는 2018년부터 2022년까지 매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북아메리카 및 라틴 아메리카(이하 ‘아메리카’) 시장의 매출은 가장 큰 규모를 유지하며 안정적인 성장세를 기록하였다. 2018년 9,219,400천 달러에서 2022년 12,640,800천 달러로 상승하였으며, 이는 약 37%의 성장폭을 나타낸다.
유럽, 중동 및 아프리카(이하 ‘EMEA’) 시장도 점차 매출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연평균 성장을 감안할 때, 2018년 1,831,100천 달러에서 2022년 2,034,500천 달러로 소폭 증가하였으며, 이 기간 동안 매출이 안정적으로 상승하였다.
아시아 태평양 시장은 2018년 1,293,300천 달러에서 2022년 1,316,400천 달러로, 비교적 평탄한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이 지역의 매출은 전체 매출에 비해 낮은 수준이었으나, 점차적으로 성장하는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전체적으로, 모든 지역에서 매출이 증가함에 따라 복합적으로 회사의 총 매출도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18년 12,343,800천 달러에서 2022년 15,991,700천 달러로, 약 29%의 총수익 증가를 기록하였다.
부문별 조정 EBITDA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북아메리카 및 라틴 아메리카(아메리카) | 2,326,300) | 2,008,800) | 1,677,700) | 1,742,100) | 1,565,500) |
유럽, 중동 및 아프리카(EMEA) | 338,100) | 359,200) | 265,700) | 267,700) | 302,700) |
아시아 태평양 | 248,300) | 228,500) | 188,800) | 182,800) | 173,200) |
합계 | 2,912,700) | 2,596,500) | 2,132,200) | 2,192,600) | 2,041,400)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 전반적인 EBITDA의 증감 추세
- 2018년 이후부터 2022년까지 부문별 조정 EBITDA는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북아메리카 및 라틴 아메리카(아메리카)의 EBITDA는 전체 부문에서 가장 큰 폭으로 성장하였으며, 2018년 1,565,500천 미국 달러에서 2022년 2,326,300천 미국 달러로 증가하였다. 이는 북아메리카 시장이 지속적인 수익성을 유지하며 성장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 각 부문별 성과의 차이
- 유럽, 중동 및 아프리카(EMEA) 부문의 EBITDA는 2018년 302,700천 달러에서 2022년 338,100천 달러로 소폭 증가하는 데 그쳤다. 2020년 이후 다소 정체 또는 정체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으며, 팬데믹 이후 일부 회복의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아시아 태평양 부문 역시 꾸준한 성장세를 보여, 2018년 173,200천 달러에서 2022년 248,300천 달러에 이르렀다. 이를 통해, 아시아 태평양 시장 역시 상승세를 지속하였음을 알 수 있다.
- 전체 EBITDA 증감의 주요 요인
- 전체 부문의 조정 EBITDA는 2018년 2,041,400천 달러에서 2022년 2,912,700천 달러로 성장하였다. 이 증가율은 약 42.7%로 양호한 성장세를 나타내며, 시장별로는 북아메리카, 아시아 태평양 부문이 주로 견인하였다. 이러한 증가는 해당 지역들의 경제적 활황, 시장 점유율 확대, 또는 효율성 향상에 기인할 가능성이 높다. 한편, 유럽, 중동 및 아프리카 부문은 성장세가 둔화된 모습이나, 전체적으로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감가상각 및 상각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북아메리카 및 라틴 아메리카(아메리카) | 256,900) | 227,600) | 224,000) | 213,600) | 208,800) |
유럽, 중동 및 아프리카(EMEA) | 28,800) | 33,300) | 32,600) | 31,000) | 30,000) |
아시아 태평양 | 17,600) | 16,500) | 11,600) | 13,400) | 13,200) |
합계 | 303,300) | 277,400) | 268,200) | 258,000) | 252,000)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의 추이 및 지역별 변화
-
2020년까지 북아메리카 및 라틴 아메리카(아메리카)의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특히 2020년 이후 2022년까지 약 13%의 증가율을 기록하며, 해당 지역에서의 자산 감가상각 활동이 강화된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증가는 자본적 지출, 설비 투자 또는 자산의 가치감소가 원인일 수 있다.
유럽, 중동 및 아프리카(EMEA)의 감가상각 비용은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안정적으로 증가하였으나, 2022년에는 약 13.5%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해당 지역의 자산 가치 혹은 감가상각 정책에 변동이 있었음을 시사할 수 있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은 2018년부터 2021년까지 감가상각 비용이 점차 증가하다가 2020년에 일시적으로 하락했으나, 2021년과 2022년에 다시 강세를 보여, 지역별 투자 또는 자산 수명이 변화했음을 암시한다.
전체적으로 볼 때,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은 2018년에서 2022년까지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이는 전반적인 자산 가치 또는 투자 활동이 활성화된 결과로 추정된다. 특히, 북아메리카 및 라틴 아메리카,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증가폭이 두드러진다.
총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은 2018년 252억 달러에서 2022년 303억 달러로 상승하였으며, 복수의 지역에서 자산상의 활동이 활발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따라, 자산 감가상각 정책이나 투자 전략의 변화가 기업 활동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자본 지출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2018. 12. 31. | |
---|---|---|---|---|---|
북아메리카 및 라틴 아메리카(아메리카) | 230,500) | 148,700) | 98,200) | 146,800) | 195,300) |
유럽, 중동 및 아프리카(EMEA) | 25,900) | 23,600) | 24,700) | 30,000) | 14,500) |
아시아 태평양 | 11,200) | 20,600) | 7,700) | 11,300) | 7,500) |
합계 | 267,600) | 192,900) | 130,600) | 188,100) | 217,300)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 자본 지출의 전체적인 추세
- 2018년부터 2022년까지의 기간 동안, 회사의 자본 지출은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특히 2018년에 217,300천달러였던 총 자본 지출은 2019년 188,100천달러로 감소하였다가 이후 다시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2020년에 일시적인 하락을 경험했으며, 이는 글로벌 경제 이슈 또는 산업 내 특정 상황에 따른 일시적 변동일 수 있다. 그러나 2021년부터 2022년 사이에는 큰 폭의 증가를 보여, 2022년에는 267,600천달러에 달하였다.
- 지역별 자본 지출의 변화
- 북아메리카 및 라틴 아메리카 지역의 자본 지출은 2018년의 195,300천달러에서 2019년에는 상당히 감소하여 146,800천달러를 기록하였다. 이후 2020년과 2021년에는 각각 98,200천달러와 148,700천달러로 변동을 보였으며, 2022년에는 230,500천달러로 급증하였다. 이는 해당 지역의 투자가 2022년 이후 다시 크게 확대되었음을 시사한다.
- 유럽, 중동 및 아프리카(EMEA) 지역은 초기 2018년 14,500천달러에서 2019년 30,000천달러로 두 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이후 2020년 24,700천달러, 2021년 23,600천달러, 2022년 25,900천달러로 비교적 안정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 지역은 다른 지역 대비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투자를 지속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 아시아 태평양 지역은 2018년 7,500천달러에서 2019년 11,300천달러로 소폭 증가하였으며, 2020년에는 7,700천달러로 소폭 하락하였다. 이후 2021년 크게 20,600천달러로 늘어난 반면, 2022년에는 다시 11,200천달러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변동은 시장별 또는 산업별 전략 조정의 일환일 수 있다.
- 요약
- 전체적으로, 회사의 자본 지출은 2022년에 이전보다 훨씬 높은 수준으로 회복 또는 확대되고 있다. 지역별로는 북아메리카 및 라틴 아메리카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최근 투자의 급증이 눈에 띈다. EMEA는 안정적인 투자 흐름을 유지하며, 아시아 태평양은 변동성이 존재하지만 점진적 또는 전략적 조정을 통해 대응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트렌드는 회사가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활발한 투자를 지속하고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