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ress Scripts Holding Co. 는 PBM 및 기타 비즈니스 운영의 2개 부문으로 운영됩니다.
유료 사용자를 위한 영역
무료 체험하기
이번 주에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Express Scripts Holding Co. 페이지:
데이터는 뒤에 숨겨져 있습니다.
이것은 일회성 지불입니다. 자동 갱신은 없습니다.
우리는 받아 들인다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2017. 12. 31. | 2016. 12. 31. | 2015. 12. 31. | 2014. 12. 31. | 2013. 12. 31. | |
---|---|---|---|---|---|
증권 시세 표시기 | |||||
다른 사업 운영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 수익성 지표의 추세
- 보고 가능한 부문 이익률은 전반적으로 꾸준한 상승세를 보여주고 있으며, 2013년 3.44%에서 2017년 5.68%까지 증가하였다. 이러한 연속적인 성장은 회사의 수익창출 능력이 향상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2016년 이후 이익률이 큰 폭으로 상승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어, 해당 기간 동안 사업의 효율성 또는 수익성이 개선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 사업 운영 부문 이익률의 변화
- 한편, 다른 사업 운영 부문에서 보고 가능한 이익률은 2013년 2.25%에서 2015년 2.76%로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2016년에는 급격히 0.21%로 하락하였다가 2017년에는 다시 1.81%로 회복하는 양상을 나타낸다. 이러한 급격한 변동은 해당 사업 부문에서 비용구조 또는 수익 구조에 단기적인 변동성이 크거나 일시적인 영향을 받은 것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2016년에 큰 하락을 경험한 것이 주목되며, 이로 인해 해당 부문의 수익성이 단기적으로 악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증권 시세 표시기
2017. 12. 31. | 2016. 12. 31. | 2015. 12. 31. | 2014. 12. 31. | 2013.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천) | |||||
영업이익 | |||||
수익 |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 2017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100 × 영업이익 ÷ 수익
= 100 × ÷ =
- 영업이익의 변화
-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영업이익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2013년 3,502,000천 달러에서 2017년에는 5,407,000천 달러로 증가했으며, 특히 2014년 이후 일정한 성장세가 관찰된다. 이는 영업 활동의 효율성이 향상되거나 수익성 확보를 위한 강한 내부 역량이 유지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 수익 규모와 추이
- 매출액은 2013년 약 1,019억 달러에서 2017년 약 953억 달러로 다소 하락하였다. 이 기간 동안 수익은 연평균 약 1~2% 정도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매출 감소는 시장 경쟁 심화 또는 운영상의 환경 변화를 반영할 수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한 비용 구조의 조정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 이익률의 변화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은 점진적 증가세를 보여 2013년 3.44%에서 2017년 5.68%에 이르기까지 상승하였다. 이는 수익 감소와는 달리 내부 수익성은 개선되고 있음을 의미하며, 비용 절감이나 효율성 향상으로 인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
- 종합적 분석
- 이 기간 동안 회사는 매출의 다소 감소에도 불구하고 영업이익과 부문 이익률이 지속적으로 향상되어, 수익성 측면에서는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신호를 보여주고 있다. 영업이익의 꾸준한 증가세는 경쟁력 유지와 원가관리의 성공적 측면을 반영한다. 그러나 매출 하락은 장기적인 성장 잠재력에 대한 재평가와 전략 수정이 필요함을 시사할 수 있으며, 수익성 개선은 향후 시장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기타 사업 운영
2017. 12. 31. | 2016. 12. 31. | 2015. 12. 31. | 2014. 12. 31. | 2013.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천) | |||||
영업이익 | |||||
수익 |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 2017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100 × 영업이익 ÷ 수익
= 100 × ÷ =
- 영업이익 추세
-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영업이익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2016년에는 급격한 감소를 겪은 후 2017년에 다시 회복되어 이전 수준에 가까워졌음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2016년에는 영업이익이 매우 낮아졌으나, 이후 빠른 반등을 기록하여 2017년에는 크게 회복된 모습을 보여줍니다.
- 수익 변화
- 수익은 2013년부터 2017년까지 꾸준히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두 자릿수 이상의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가장 높은 수익은 2017년에 이르러 4,804,600 천 달러에 달하여, 전 기간에 걸쳐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여줍니다.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이익률은 2013년과 2014년에 각각 2.25%, 2.23%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다가 2015년에는 약 2.76%로 일시적으로 상승합니다. 그러나 2016년에는 급격히 낮아져 약 0.21%로 떨어졌으며, 2017년에는 다시 1.81%로 회복되는 모습을 보입니다. 이러한 변동은 특정 기간 동안 비용 구조 또는 수익 구조에 일시적인 변화가 있었음을 시사합니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2017. 12. 31. | 2016. 12. 31. | 2015. 12. 31. | 2014. 12. 31. | 2013. 12. 31. | |
---|---|---|---|---|---|
증권 시세 표시기 | |||||
다른 사업 운영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 증권 시세 표시기⸺보고 가능한 세그먼트 자산 수익률
- 해당 수익률은 2013년 약 6.66%에서 시작하여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2014년과 2015년에는 점진적인 증가세를 보여 6.71%, 8.17%로 상승하며 수익성 향상이 관찰됩니다. 2016년에는 약 10.07%로 크게 상승하였으며, 2017년에는 11.13%로 다시 한 차례 오름세를 나타냈습니다. 이러한 추세는 회사의 세그먼트 자산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효율적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 다른 사업 운영⸺보고 가능한 세그먼트 자산 수익률
- 이 항목의 수익률은 2013년 5.41%에서 시작하여 2014년에는 6.17%로 향상된 후, 2015년에는 7.22%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입니다. 하지만 2016년에는 급격히 0.59%로 하락하는 현상이 나타나며, 이는 해당 세그먼트의 수익성 악화 또는 일시적 자산 효율 저하를 반영하는 것일 수 있습니다. 이후 2017년에는 다시 1.53%로 소폭 회복하는 모습을 보여, 안정성 측면에서는 부정적인 변동이 존재합니다. 전반적으로 이 부문의 수익률은 높은 변동성을 가지고 있으며, 회사 내부 또는 시장 요인에 따른 영향을 받은 것으로 해석됩니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증권 시세 표시기
2017. 12. 31. | 2016. 12. 31. | 2015. 12. 31. | 2014. 12. 31. | 2013.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천) | |||||
영업이익 | |||||
총 자산 |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 2017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 100 × 영업이익 ÷ 총 자산
= 100 × ÷ =
- 영업이익
-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안정적인 증가세를 보여 왔으며, 연평균 성장률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2015년 이후로는 성장폭이 가속화되어, 총 1,496,000 USD 천의 증가를 기록하였으며, 이는 영업 활동의 효율성과 수익성 향상에 긍정적인 신호를 반영합니다. 2017년에는 5,407,000 USD 천에 이르러, 전 기간 대비 큰 폭의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 총 자산
- 2013년 이후 2014년까지는 거의 정체된 모습이 보였으며, 이후 2015년과 2016년에 각각 감소하는 경향이 관찰됩니다. 2014년 대비 2016년 총 자산은 약 418,000 USD 천(약 0.8%) 감소하였으며, 이는 일부 자산 축소나 자산의 효율적 재배치를 시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2017년에 들어서는 다시 소폭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 2013년 수준보다 약 4,359,500 USD 천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 이 수익률은 2013년 6.66%에서 2017년 11.13%까지 지속해서 상승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특히 2015년 이후 가파른 상승을 보여 2016년과 2017년에는 10% 이상으로 높아졌으며, 이는 자산에 대한 수익률이 상당히 개선되었음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오르는 수익률은 자산운용의 효율성을 높였으며, 자본수익률이 개선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기타 사업 운영
2017. 12. 31. | 2016. 12. 31. | 2015. 12. 31. | 2014. 12. 31. | 2013.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천) | |||||
영업이익 | |||||
총 자산 |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 2017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 = 100 × 영업이익 ÷ 총 자산
= 100 × ÷ =
- 영업이익의 추세 및 변동
-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영업이익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각각 49,700천 달러, 56,000천 달러, 77,100천 달러로 상승하였습니다. 그러나 2016년에는 급격히 하락하여 7,800천 달러를 기록하였고, 2017년에는 다시 크게 회복되어 87,000천 달러를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일시적 영업이익의 변동성 또는 특정 연도의 영업 환경 변화가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 총 자산의 변화
- 총 자산은 2013년부터 2015년까지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2013년 918,100천 달러에서 2015년 1,068,400천 달러로 증가하였습니다. 2016년에는 수치가 1,312,200천 달러로 계속 상승하였고, 2017년에는 약 5,693,200천 달러로 눈에 띄게 증가하였습니다. 이러한 자산 규모의 증가는 기업의 성장과 재무적 확장 또는 사업 구조의 확장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수익률의 변화
- 이 지표는 기업의 부문별 자산 활용 효율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보이며, 2013년 5.41%에서 2015년 7.22%까지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그러나 2016년에는 0.59%로 급락하였고, 2017년에는 1.53%로 부분 회복하였으나 여전히 낮은 수준입니다. 이는 부문 수익률이 전반적으로 다소 하락세를 겪거나, 특정 해에 부문별 성과 저하가 있었음을 시사하며, 효과적인 자산 활용에 대한 개선이 필요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2017. 12. 31. | 2016. 12. 31. | 2015. 12. 31. | 2014. 12. 31. | 2013. 12. 31. | |
---|---|---|---|---|---|
증권 시세 표시기 | |||||
다른 사업 운영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 증권 시세 표시기⸺보고 가능한 세그먼트 자산 회전율
- 이 지표는 약 1.94에서 1.86으로 다소 하락하는 경향을 보인 후, 2015년에 다시 1.9로 회복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후 2016년에 1.91로 소폭 상승하며 안정된 수준을 유지하는 가운데, 2017년에는 약 1.96으로 지속적인 증가를 나타내어 자산 활용도 향상 또는 운영 효율성이 개선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전반적으로 해당 재무 비율은 안정적이면서도 점진적인 상승세를 보여, 자산 활용률이 점차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다른 사업 운영⸺보고 가능한 세그먼트 자산 회전율
- 이 지표는 2013년 약 2.41에서 시작하여 2014년에는 2.76으로 급증하는 모습을 보이고, 이후 2015년과 2016년에 각각 2.61과 2.88로 다소 변동을 보입니다. 그러나 2017년에는 큰 폭으로 0.84로 급락하며 상당한 변동성을 드러내고 있는데, 이는 자산의 이용 효율성이 급감했거나 회계상의 조치 또는 사업 구조의 변화로 인한 일시적인 영향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장기적인 자산 활용도 측면에서의 위험 신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기업이 운영 효율성을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내포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증권 시세 표시기
2017. 12. 31. | 2016. 12. 31. | 2015. 12. 31. | 2014. 12. 31. | 2013.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천) | |||||
수익 | |||||
총 자산 | |||||
보고 대상 세그먼트 활동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 2017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 수익 ÷ 총 자산
= ÷ =
- 수익
-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수익은 전체적으로 유지되거나 다소 변동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13년 101,885,700달러에서 2014년에는 약간 감소하여 98,379,600달러를 기록하였으며, 이후 2015년에는 약간 증가하여 98,960,300달러로 회복하였다. 그러나 2016년과 2017년에는 각각 96,509,500달러와 95,260,000달러로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수익이 최신 연도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으로 약간의 하락세를 보인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 총 자산
- 총 자산은 2013년 52,599,100달러에서 시작하여 2014년에 약간 증가한 후, 2015년에는 52,174,900달러로 다소 감소하였다. 이후 2016년과 2017년에는 각각 50,432,700달러와 48,562,600달러로 점차 축소되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어, 전반적으로 총 자산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회사의 재무 구조상 일부 자산 규모가 감축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 이 비율은 2013년 1.94에서 2014년 1.86으로 감소했으나, 2015년과 2016년에 각각 1.90과 1.91로 회복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2017년에는 다시 1.96으로 상승하면서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자산 회전율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은 비교적 효율적으로 자산이 활용되고 있음을 의미하며, 특히 2017년에 상승한 것은 부문별 자산 운용 효율이 향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기타 사업 운영
2017. 12. 31. | 2016. 12. 31. | 2015. 12. 31. | 2014. 12. 31. | 2013.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천) | |||||
수익 | |||||
총 자산 | |||||
보고 대상 세그먼트 활동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 2017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 = 수익 ÷ 총 자산
= ÷ =
- 수익 추이
-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전반적인 수익은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2016년 이후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2013년의 2,213,100천 미국 달러에서 2017년에는 약 4,804,600천 달러로 거의 두 배 가까이 성장하였다.
이러한 수익 증가는 회사의 사업 확장 또는 시장 내 입지 강화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총 자산 규모
- 총 자산 역시 2013년 약 918,100천 달러에서 시작하여 2017년에는 약 5,693,200천 달러로 크게 증가하였다. 특히 2015년 이후 자산 규모가 급증하는 경향이 나타나는데, 이는 기업의 자산 포트폴리오 확장 또는 인수합병 활동 등을 시사할 수 있다.
- 자산 회전율
-
보고 대상 부문 자산 회전율은 2013년 2.41에서 2017년 0.84로 큰 폭으로 하락하였다. 이는 자산이 투입된 후 수익 창출 효율이 감소했음을 의미할 수 있다.
2014년과 2015년에는 회전율이 2.76과 2.61로 비교적 높았던 반면, 2016년과 2017년에는 각각 2.88과 0.84로 크게 낮아졌다. 이러한 변화는 기업이 자산을 활용하는 방식의 변화나 효율성 저하를 반영할 수도 있다.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2017. 12. 31. | 2016. 12. 31. | 2015. 12. 31. | 2014. 12. 31. | 2013. 12. 31. | |
---|---|---|---|---|---|
증권 시세 표시기 | |||||
다른 사업 운영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 감가상각 비율에 관한 부문 자본 지출의 변화
- 2013년부터 2014년까지 증권 시세 표시기 부문의 감가상각 비율은 약간 상승한 후, 2015년에는 급격히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이후 2016년과 2017년에는 각각 소폭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 감가상각 비용과 자본 지출 간의 연관성이나 부문별 자본 지출 전략 변화에 대한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 다른 사업 운영 부문의 감가상각 비율 변화
- 이 부문의 감가상각 비율은 2013년부터 2014년까지 급격하게 상승하였으며, 2015년에는 다시 큰 폭의 증가를 나타내어 0.88에 달했습니다. 이후 2016년과 2017년에는 각각 다소 하락하는 경향을 보이나,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해당 부문의 자본 지출 및 감가상각 정책에 변동이 있었음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이러한 변화는 부문별 투자 활동이나 자산 활용 전략의 조정을 반영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증권 시세 표시기
2017. 12. 31. | 2016. 12. 31. | 2015. 12. 31. | 2014. 12. 31. | 2013.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천) | |||||
자본 지출 | |||||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 | |||||
보고 대상 부문 재무 비율 |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 2017 계산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자본 지출 ÷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
= ÷ =
- 자본 지출
-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자본 지출은 전반적으로 변동성을 보이고 있으며, 2013년과 2014년 사이에는 소폭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습니다. 이후 2015년에는 상당한 하락이 있었으며, 2016년과 2017년에는 각각 일부 회복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자본 지출은 일정 수준 내에서 유지되거나 변동하며, 특정 연도에는 공급적 또는 재투자 활동이 일시적으로 둔화된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
-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은 모든 기간에서 상당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2013년부터 2014년까지는 소폭 감소하는 추세를 보입니다. 2015년 이후에는 다시 일부 회복했으나, 전년대비 큰 폭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으며, 전체적으로 안정된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일정한 자산 규모와 감가상각 방법을 통해 감가상각 비용이 적절히 조정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이 비율은 2013년 0.17에서 2014년 0.19로 상승한 후, 2015년에는 0.12로 큰 폭으로 하락하였으며, 이후 2016년과 2017년에는 각각 0.14로 소폭 회복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이러한 변동은 자본 지출이 감가상각 비용에 비해 상대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았음을 나타냅니다. 특히 2015년의 급격한 하락은 자본 지출의 축소 또는 감가상각 비용의 상대적 증가를 반영할 수 있으며, 이후 어느 정도 회복되면서 안정성을 회복하려는 경향을 보여줍니다.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기타 사업 운영
2017. 12. 31. | 2016. 12. 31. | 2015. 12. 31. | 2014. 12. 31. | 2013.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천) | |||||
자본 지출 | |||||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 | |||||
보고 대상 부문 재무 비율 |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 2017 계산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자본 지출 ÷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
= ÷ =
- 자본 지출
- 2013년 이후 자본 지출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2014년에 급작스럽게 상승하여 최고치를 기록한 후 2015년 이후 점차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2014년의 자본 지출은 이전 해에 비해 두 배 이상의 증가를 보였으며, 이후 2016년과 2017년에는 각각 22,500천 미국 달러와 19,300천 미국 달러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변동은 회사의 자본 투자 전략이나 사업 확장 및 유지보수에 따른 일시적 또는 장기적 변화 등을 시사할 수 있다.
-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
- 감가상각 비용은 2013년부터 꾸준한 증가 추세를 보였으며, 2014년에 최고치를 기록하였다. 이후 2015년에는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2016년과 2017년에는 다시 소폭 상승하였다. 총 비용 수준은 2017년에 이르러 32,300천 미국 달러로서, 이는 2013년과 비교했을 때 증대된 수치를 보여준다. 감가상각 비용의 증가는 자산의 축적 또는 재무제표상 감가상각 정책의 변화와 관련될 수 있다.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이 비율은 2013년 0.42에서 시작하여 2014년과 2015년 각각 0.73, 0.88로 크게 상승하였다. 이후 2016년에는 0.74로 약간 감소하였고, 2017년에는 0.6으로 다시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변화는 자본 지출이 전체 감가상각 비용에 비해 급증한 시기를 반영하였으며, 일시적 또는 구조적인 조정을 나타낼 수 있다. 특히 2015년 이후의 높은 비율은 자산 투자와 감가상각 비용 간의 관계가 변화했거나 체계적인 감가상각 정책 변경이 있었음을 시사한다.
수익
2017. 12. 31. | 2016. 12. 31. | 2015. 12. 31. | 2014. 12. 31. | 2013. 12. 31. | |
---|---|---|---|---|---|
증권 시세 표시기 | |||||
다른 사업 운영 | |||||
합계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 증권 시세 표시기⸺수익
-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증권 시세 표시기 수익은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3년 약 102억 달러에서 시작하여, 2014년에는 약 98억 달러로 하락 후, 2015년을 기점으로 소폭 회복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후 지속적인 하락세를 유지하며 2017년에는 약 95억 달러까지 하락하였다. 이러한 추세는 회사의 주가 또는 증권 거래와 관련된 수익이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음을 시사한다.
- 다른 사업 운영⸺수익
- 이 항목은 2013년 약 2.21억 달러에서 시작하여, 2014년과 2015년에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각각 2.51억 달러와 거의 2.79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이후 2016년에는 약 3.78억 달러로 급증하였고, 2017년에는 약 4.80억 달러로 계속 증가하는 모습이다. 이러한 변화는 회사의 주요 사업 이외의 부문 또는 신규 사업에서의 수익 성장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며, 전체 수익 구조 내에서 점차 비중이 늘어나고 있음을 시사한다.
- 합계⸺수익
- 총수익은 2013년 약 104.1억 달러로 시작하여, 2014년과 2015년 안정적인 수준(약 100.9억 달러와 101.75억 달러)을 유지하였다. 이후 2016년을 기점으로 약 100.3억 달러로 다소 감소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2017년에는 약 100.06억 달러로 거의 유지되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전체적으로는 소폭의 변동성을 보이고 있으나, 대체로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면서 수익의 안정성을 나타낸다. 이 패턴은 회사가 시장의 변화 속에서도 수익 기반을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음을 반영한다.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
2017. 12. 31. | 2016. 12. 31. | 2015. 12. 31. | 2014. 12. 31. | 2013. 12. 31. | |
---|---|---|---|---|---|
증권 시세 표시기 | |||||
다른 사업 운영 | |||||
합계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의 변화 추이
- 2013년부터 2017년까지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은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2013년에는 약 2,419,100달러였던 이 비용은 점차 낮아져 2017년에는 약 1,769,700달러로 줄었다. 이 패턴은 감가상각 자산의 규모가 축소되거나, 자산 감가상각 방식의 변경 또는 자산 처분 등에 기인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 기타 사업 운영 비용의 변화 추이
- 2013년과 2017년 사이 기타 사업 운영과 관련된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은 비교적 안정된 범위 내에서 변화하였다. 2013년에는 약 27,900달러였으며, 2017년에는 약 32,300달러로 약간 증가하였다. 이는 해당 부문의 자산이 비교적 유지되거나, 일부 신규 자산이 도입되면서 비용이 소폭 상승했음을 보여준다.
- 합계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의 전체적 변화
- 전체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을 집계한 합계 역시 유사한 하락세를 형성하였다. 2013년의 약 2,447,000달러에서 2017년에는 약 1,802,000달러로 하락하였다. 이는 기업 전체의 자산 규모 또는 감가상각 대상 자산의 가치가 축소되거나, 감가상각 방침상의 변화가 있었을 가능성을 반영한다. 이러한 추세는 자산의 노후화 혹은 일부 자산의 매각이 반영된 결과일 수도 있다.
영업이익
2017. 12. 31. | 2016. 12. 31. | 2015. 12. 31. | 2014. 12. 31. | 2013. 12. 31. | |
---|---|---|---|---|---|
증권 시세 표시기 | |||||
다른 사업 운영 | |||||
합계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 전반적인 영업이익의 흐름
- 2013년부터 2015년까지는 영업이익이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특히 2015년에는 약 4,359,300천 달러로 전년 대비 큰 폭으로 상승하였으며, 이는 회사의 운영 수익력이 강화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후 2016년에는 일시적 하락이 관찰되었는데, 영업이익이 약 5,087,800천 달러로 다소 감소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2017년에는 다시 반등하여 약 5,494,000천 달러로 이전 피크 수준을 넘어서는 성과를 나타냈습니다.
- 증권 시세 표시기와 기타 사업 부문의 영업이익
- 증권 시세 표시기의 영업이익은 2013년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7년에는 약 5,407,000천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전체 영업이익의 증가를 주도하는 핵심 원천임을 알 수 있습니다. 반면, 기타 사업 운영 부문의 영업이익은 초기에는 안정적이었으나, 2014년 이후 변동성을 보여주기 시작하였고, 2016년에는 약 7,800천 달러로 크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2017년에는 다시 회복세를 보여 87,000천 달러로 상승하였습니다. 이러한 패턴은 일부 사업 부문의 일시적인 성과 저하를 나타내지만, 전체적으로는 회복하는 추세임을 의미합니다.
- 전체 영업이익의 변화와 의미
- 전체 영업이익은 전 기간을 통틀어 증가하는 방향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특히 2013년에서 2015년까지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여줍니다. 2016년의 일시적 하락 이후에도 2017년에는 다시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어, 회사의 수익 창출 능력이 회복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러한 흐름은 회사의 영업 활동이 전반적으로 강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일부 사업 부문의 변동성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인 성장 기조를 계속 유지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자본 지출
2017. 12. 31. | 2016. 12. 31. | 2015. 12. 31. | 2014. 12. 31. | 2013. 12. 31. | |
---|---|---|---|---|---|
증권 시세 표시기 | |||||
다른 사업 운영 | |||||
합계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 자본 지출의 전반적인 추세
-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증권 시세 표시기⸺자본 지출은 일정 수준을 유지하거나 소폭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2015년에는 확연한 감소가 관찰되어, 2013년과 비교했을 때 자본 지출이 대폭 줄어든 것으로 나타난다. 이후 2016년에는 일부 회복세를 보였으며, 2017년에 다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2013년 대비 2017년 기준으로 볼 때, 전체 자본 지출은 감소했으며, 이는 자본 투자 계획에 일시적 또는 구조적인 변경이 있었음을 시사할 수 있다.
- 기타 사업 운영 자본 지출
-
2013년부터 2015년까지는 어느 정도 증가하는 양상을 띠었으며, 특히 2014년에 두드러진 상승을 기록하였다. 그러나 2016년과 2017년에는 다시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 다소 변동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는 사업 운영 관련 자본 투자의 우선순위나 전략적 변화의 일환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전체적으로 보면, 2013년의 약 11,800천 달러에서 2017년에는 약 19,300천 달러로 약 63% 증가했으나, 2014년에 급증 후 점차 감소하는 패턴을 보임으로써 일시적 증가는 있었으나, 최근 2년간은 축소 또는 유지 수준에 머물러 있다.
- 합계 자본 지출
-
이 항목은 전체 자본 지출의 총합을 반영하며, 2013년 423,000천 달러에서 2017년 267,400천 달러로 약 37% 감소하였다.이는 두 개별 항목이 각각 감소하는 영향 아래 있어서, 전체적으로 자본 지출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기울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감소는 재무 전략 상 비용 절감이나 투자 축소를 의미할 수 있으며, 전체 기업의 재무 건전성이나 성장 전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지표로 해석될 수 있다.
총 자산
2017. 12. 31. | 2016. 12. 31. | 2015. 12. 31. | 2014. 12. 31. | 2013. 12. 31. | |
---|---|---|---|---|---|
증권 시세 표시기 | |||||
다른 사업 운영 | |||||
중단된 운영 | |||||
합계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 총 자산의 변화 추이
- 2013년부터 2017년까지의 기간 동안 총 자산은 전체적으로 큰 변동 없이 유지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13년의 총 자산은 약 52,599,100천 달러였으며, 2014년에는 소폭 상승하여 52,891,600천 달러를 기록하였다. 이후 2015년과 2016년에는 각각 약 52,174,900천 달러와 50,432,700천 달러로 약간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2017년에는 다시 상승하여 54,255,800천 달러를 기록하였다. 이러한 패턴은 자산 규모가 어느 정도 안정적임을 시사하면서도 일부 기간 동안 소폭의 변동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 다른 사업 운영으로 인한 총 자산의 변화
- 이 항목은 일정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2013년에는 918,100천 달러였으며, 2014년에도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다가, 2015년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1,068,400천 달러를 기록하였다. 2016년에는 약 1,312,200천 달러로 늘었으며, 2017년에는 큰 폭으로 증가하여 5,693,200천 달러에 이르렀다. 이러한 증가는 해당 사업 부문의 확장 또는 재무 구조의 변화, 혹은 인수합병 등의 기업 활동의 결과일 수 있다.
- 중단된 운영으로 인한 총 자산
- 이 항목은 2013년 데이터만 제공되었으며, 이후 기간 동안 누락되어 있다. 이는 해당 사업 부문의 중단이 2013년 이후 지속되지 않거나, 관련 데이터가 별도로 구분되어 기록되지 않았음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항목에 관해서는 추세를 판단하기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