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차 대조표의 구조 : 자산
분기별 데이터
보고서 기준: 10-Q (보고 날짜: 2024-09-30), 10-Q (보고 날짜: 2024-06-30), 10-Q (보고 날짜: 2024-03-31),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Q (보고 날짜: 2023-09-30), 10-Q (보고 날짜: 2023-06-30), 10-Q (보고 날짜: 2023-03-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Q (보고 날짜: 2022-09-30), 10-Q (보고 날짜: 2022-06-30), 10-Q (보고 날짜: 2022-03-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Q (보고 날짜: 2021-09-30), 10-Q (보고 날짜: 2021-06-30), 10-Q (보고 날짜: 2021-03-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Q (보고 날짜: 2020-09-30), 10-Q (보고 날짜: 2020-06-30), 10-Q (보고 날짜: 2020-03-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Q (보고 날짜: 2019-09-30), 10-Q (보고 날짜: 2019-06-30), 10-Q (보고 날짜: 2019-03-31).
- 유동자산 유지와 변화 추이
- 2020년 하반기 이후 유동자산 비중이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특히 2021년과 2022년 상반기에 급증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단기 유동성 확보 또는 거래 활동의 활발함을 반영할 수 있다. 이후 2023년과 2024년에는 일부 조정을 거치면서 비중이 다소 감소하거나 유지되고 있으며, 이는 자산 구조의 안정화 혹은 자금 운영 전략의 변화와 연관될 것으로 판단된다.
- 현금 및 현금성자산의 추이
- 2021년 12월 이후 현금 및 현금성자산의 비중이 급증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2021년 말 약 12.55%에 달한 이후 2023년 초까지 높은 수준을 유지하다가 이후 다시 하락하는 모습이 관찰된다. 이는 기업의 유동성 확보 또는 단기 자금 운용 전략의 변화에 따른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 단기 투자와 유사한 자산의 동향
- 단기 투자의 비중은 2022년 하반기 이후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이는 기업이 유동성을 위해 단기 금융상품에 투자하는 비중을 늘린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2022년 후반부터 2023년 상반기까지 상승세를 보여주었으며, 이후 유지 또는 약간의 조정을 보이고 있다.
- 미수금과 충당금 적립
- 미수금 관련 재무 항목은 2019년부터 2022년까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2022년 말 약 17.89%로 정점에 도달하였다. 이후 2023년부터는 일부 감소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어, 충당금 적립 또는 미수금 회수 개선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기업이 신용 리스크 관리에 주력하는 모습이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 재고자산의 변화
- 재고는 2019년과 2020년에는 10% 내외의 비중으로 안정세를 유지하다가, 2021년 이후 다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특히, 2022년 및 2023년에는 약 11% 내외를 유지하며 판매 재고 관리가 지속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시장 수요 변동 또는 재고 운용 전략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 비유동자산 구조와 변화
- 비유동자산의 구성은 주로 재산, 식물 및 장비 항목이 큰 비중을 차지하며, 2020년 이후에 약 40% 내외의 비중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운용리스 사용권 자산이 상대적으로 안정적으로 존재하며, 그 외 재산 항목 역시 일정한 비중을 유지함으로써, 자산의 핵심 제조 또는 처리 시설에 대한 투자가 지속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 자산 구조의 전반적 관찰
- 전체 자산 대비 비유동자산 비중이 2019년 말 81.18%를 시작으로 2024년까지 크게 변화가 없거나 약간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 유동자산 비중은 변화 폭이 크며, 특히 2020년에 큰 증가를 보인 후, 이후 일정 수준에서 유지되거나 조정되고 있다. 이는 재무 안정성과 유동성 유지간의 균형을 모색하는 과정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