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athon Petroleum Corp. Refining & Marketing과 Midstream의 2개 부문으로 운영됩니다.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2023. 12. 31. |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
---|---|---|---|---|---|
정제 & 마케팅 | 9.44% | 11.18% | 3.05% | -2.93% | 2.22% |
미드스트림 | 58.73% | 54.50% | 56.24% | 59.98% | 41.03%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 정제 및 마케팅 부문의 이익률 추이
- 해당 부문의 이익률은 2019년 2.22%에서 2020년 -2.93%로 감소하여 적자를 기록하였으며, 2021년에는 3.05%로 회복되고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양상을 보여줍니다. 2022년에는 11.18%, 2023년에는 9.44%로 나타나, 연평균적으로 이익률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정제 및 마케팅 부문이 점차 수익성 회복세를 타고 있으며, 특히 2022년 이후에는 수익성이 크게 향상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 미드스트림 부문의 이익률 추이
- 미드스트림 부문은 2019년 41.03%에서 2020년 59.98%로 상승하여 높은 수익성을 유지하였으며, 2021년에는 다소 하락하여 56.24%를 기록하였으나, 그 이후 다시 상승세를 보여 2022년 54.5%, 2023년 58.73%로 나타났습니다. 전체적으로 보면, 미드스트림 부문은 높은 수익성을 지속하며, 특히 최근 몇 년 동안 안정된 실적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이 부문은 시장 가격 변동성에 대한 견고한 수익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전체적인 수익성 환경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정제 및 마케팅
2023. 12. 31. |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부문별 조정 EBITDA | 13,551) | 19,261) | 3,518) | (1,939) | 2,367) |
매출 세분화 | 143,575) | 172,205) | 115,494) | 66,247) | 106,742)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1 | 9.44% | 11.18% | 3.05% | -2.93% | 2.22%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 2023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100 × 부문별 조정 EBITDA ÷ 매출 세분화
= 100 × 13,551 ÷ 143,575 = 9.44%
- 부문별 조정 EBITDA
- 2019년에는 약 23억 7천만 달러였던 조정 EBITDA는 2020년에는 큰 폭으로 감소하여 약 -19억 3천만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이는 회사의 영업 활동이 어려움을 겪었음을 시사한다. 이후 2021년에는 회복세를 보이며 약 35억 1천만 달러로 반등했고, 2022년에는 급증하여 약 192억 6천만 달러를 기록하였다. 2023년에는 다소 감소했으나 여전히 약 135억 5천만 달러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며,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 매출 세분화
- 매출은 2019년 약 1068억 4천만 달러에서 2020년에는 약 662억 4천만 달러로 줄었으나, 2021년부터는 다시 상승하여 1154억 9천만 달러, 2022년에는 1722억 5천만 달러, 2023년에는 1435억 7천만 달러를 기록하였다. 이러한 변동은 시장 환경 및 산업 특성에 따른 일시적인 영향을 반영할 수 있으며, 2022년에는 특히 매출이 크게 확대된 모습이 나타난다.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이익률은 2019년 2.22%였던 것이 2020년 -2.93%로 하락했으며, 2021년에는 다시 양호한 3.05%로 회복되었다. 2022년에는 11.18%로 상당히 개선되었으며, 2023년에는 약 9.44%로 낮아졌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높은 수익성을 유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추세는 수익성이 단기적 요인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았음을 시사하며, 전반적인 수익성은 회복 및 견고한 수준을 유지하는 모습이다.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미드스트림
2023. 12. 31. |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부문별 조정 EBITDA | 6,171) | 5,772) | 5,410) | 5,061) | 3,594) |
매출 세분화 | 10,508) | 10,590) | 9,619) | 8,438) | 8,760) |
보고 대상 부문 수익성 비율 |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1 | 58.73% | 54.50% | 56.24% | 59.98% | 41.03%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 2023 계산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100 × 부문별 조정 EBITDA ÷ 매출 세분화
= 100 × 6,171 ÷ 10,508 = 58.73%
- 부문별 조정 EBITDA
- 2019년부터 2023년까지 부문별 조정 EBITDA는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9년 약 3,594백만 달러였던 값은 2020년 5,061백만 달러로 급증하였으며, 이후 연평균 성장세를 유지하며 2023년에는 6,171백만 달러에 달하였다. 이러한 상승은 회사의 영업 효율성 또는 수익성 향상과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전반적인 영업이익 수준이 증가했음을 시사한다.
- 매출 세분화
- 매출 역시 높은 변동성을 보이면서도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2019년 8,760백만 달러에서 2020년 소폭 감소(8,438백만 달러)를 경험했으나, 이후 2021년 9,619백만 달러, 2022년 10,590백만 달러, 2023년 10,508백만 달러로 증가하였다. 매출은 2022년까지 강한 성장세를 유지했으며, 2023년에는 약간의 하락이 있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회사의 시장 점유율 또는 영업 규모가 안정적으로 성장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 보고 대상 부문 이익률
- 이익률은 매우 높은 수준을 유지하면서도 변동성을 보이고 있다. 2019년 41.03%였던 이익률은 2020년에 59.98%로 크게 상승하였으며, 이후 2021년 56.24%, 2022년 54.5%, 2023년 58.73%로 나타났다. 이익률은 2020년에 최고치를 기록한 후 일시적인 감소를 겪었으나, 다시 2023년에는 다시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회사가 고수익성을 유지하며 효율적인 비용 관리를 지속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2023. 12. 31. |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
---|---|---|---|---|---|
정제 & 마케팅 | 0.69 | 0.82 | 0.49 | 0.63 | 1.20 |
미드스트림 | 0.84 | 0.82 | 0.55 | 1.03 | 2.60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 정제 & 마케팅 부문의 자본 지출 비율
- 2019년부터 2021년까지는 비교적 높은 자본 지출 비율이 관찰되었으며, 이후 2022년과 2023년에 각각 증가와 함께 회복하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2020년에는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한 공급망 및 운영상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비율이 크게 감소했으나, 2021년에는 다시 증대되어 0.49로 회복되었고, 이후 2022년과 2023년에는 각각 0.82와 0.69로 나타나 투자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진 것으로 해석된다.
- 미드스트림 부문의 자본 지출 비율
- 이 부문 역시 2019년의 2.6에서 크게 하락하여 2020년에는 1.03으로 줄었다. 이 하락은 전반적인 시장 환경의 악화 또는 내부 투자 정책 조정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이후 2021년과 2022년에는 각각 0.55와 0.82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며, 2023년에는 다시 0.84를 기록하여 자본 지출이 지속적으로 회복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정제 및 마케팅
2023. 12. 31. |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자본 지출 및 투자 세분화 | 1,311) | 1,508) | 911) | 1,170) | 1,999) |
세그먼트 감가상각 및 상각 | 1,887) | 1,850) | 1,870) | 1,857) | 1,665) |
보고 대상 부문 재무 비율 |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1 | 0.69 | 0.82 | 0.49 | 0.63 | 1.20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 2023 계산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자본 지출 및 투자 세분화 ÷ 세그먼트 감가상각 및 상각
= 1,311 ÷ 1,887 = 0.69
- 자본 지출 및 투자 세분화
- 2019년에는 약 19억 9900만 달러의 자본 지출이 이루어졌으며, 이후 2020년에는 약 11억 700만 달러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2021년에는 9억 1100만 달러로 다시 축소되었으며, 2022년에는 15억 800만 달러로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2023년에는 약 13억 1000만 달러 수준을 유지하였다. 전반적으로 일정한 변동성을 보이지만, 2020년과 2021년 사이에 상당한 하락 후 2022년에는 다시 상승하는 패턴이 관찰된다.
- 세그먼트 감가상각 및 상각
- 이 항목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주며, 2019년에는 약 16억 6500만 달러 상당이 감가상각 및 상각되었다. 2020년에는 약 18억 5700만 달러로 증가하였고, 2021년에는 약 18억 700만 달러에 달하였다. 2022년에는 약 18억 500만 달러로 약간의 감소를 보였으며, 2023년에는 다시 18억 8700만 달러로 증가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자산의 노후화 또는 감가상각 정책의 변화와 관련 있을 수 있으며, 전반적으로 안정된 수준을 유지한다.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이 비율은 시간에 따라 변동을 보이지만, 전반적으로 0.49에서 1.2 사이의 범위 내에서 움직이고 있다. 2019년에는 1.2로 가장 높은 값을 기록하였으며, 2020년에는 0.63, 2021년에는 0.49로 조정되었다. 그 이후 2022년에는 다시 0.82로 상승하였고, 2023년에는 0.69로 나타났다. 이 지표는 자본 지출과 감가상각 비용 간의 비율을 반영하며, 시장 환경이나 내부 자본 투자 전략에 따라 변화하는 것으로 보인다. 전체적으로 이 비율은 경영상의 투자 활동과 소모 수준 간의 상호작용을 보여준다.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미드스트림
2023. 12. 31. |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
---|---|---|---|---|---|
선택한 재무 데이터 (US$ 단위: 백만 달러) | |||||
자본 지출 및 투자 세분화 | 1,105) | 1,069) | 731) | 1,398) | 3,290) |
세그먼트 감가상각 및 상각 | 1,320) | 1,310) | 1,329) | 1,353) | 1,267) |
보고 대상 부문 재무 비율 |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1 | 0.84 | 0.82 | 0.55 | 1.03 | 2.60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 2023 계산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자본 지출 및 투자 세분화 ÷ 세그먼트 감가상각 및 상각
= 1,105 ÷ 1,320 = 0.84
- 자본 지출 및 투자 세분화
- 2019년에는 3,290백만 달러로 가장 높았으며, 이후 2020년에는 상당히 감소하여 1,398백만 달러로 하락하였다. 2021년에는 더욱 낮아져 731백만 달러를 기록하였으나, 2022년에는 다시 증가하여 1,069백만 달러, 2023년에는 약간 더 증가한 1,105백만 달러로 나타났다. 이는 전반적으로 자본 지출이 2019년 이후 변동성을 보이며 저점과 회복 국면을 오가는 양상을 띠고 있음을 보여준다.
- 세그먼트 감가상각 및 상각
- 이 항목은 2019년 1,267백만 달러에서 2020년 1,353백만 달러로 다소 증가하였다가, 2021년과 2022년에는 각각 1,329백만 달러와 1,310백만 달러로 안정세를 유지하였다. 2023년에도 비슷한 수준인 1,320백만 달러를 기록하며 일관되게 유지되고 있다. 이로써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은 비교적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감가상각 비율 대비 보고 대상 부문 자본 지출
- 이 비율은 2019년 2.6으로 높았으며, 2020년에는 약 1.03으로 급감하였다. 이후 2021년에는 0.55로 크게 하락했고, 2022년에는 0.82로 다시 상승하였다. 2023년에는 0.84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변동은 자본 지출 대비 감가상각이 2019년 이후 둔화되면서 비율이 낮아졌으나, 이후 일부 회복되며 전반적으로 감가상각과 자본 지출 간의 관계가 변화하는 양상을 보인다.
부문별 조정 EBITDA
2023. 12. 31. |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
---|---|---|---|---|---|
정제 & 마케팅 | 13,551) | 19,261) | 3,518) | (1,939) | 2,367) |
소매 | —) | —) | —) | —) | 1,582) |
미드스트림 | 6,171) | 5,772) | 5,410) | 5,061) | 3,594) |
합계 | 19,722) | 25,033) | 8,928) | 3,122) | 7,543)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 관측된 추세 및 패턴
-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정제 및 마케팅 부문의 조정 EBITDA는 다소 변동이 있으면서도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특히 2020년에는 해당 부문이 손실 (-1,939백만 달러)로 전환되었으나, 2021년에는 다시 3,518백만 달러로 회복되었으며, 이후 2022년과 2023년에는 각각 19,261백만 달러와 13,551백만 달러로 상당한 성장세를 보여 주었습니다. 이러한 급증은 주로 2022년 후반기에 발생한 것으로 보이며, 시장 또는 내부 영업 효율성 개선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해석됩니다.
소매 부문의 조정 EBITDA는 제공된 데이터 내에서 2020년 이후 값이 누락되어 있어 명확한 추세를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특정 기간 동안의 성과 변화나 계절적 요인, 업계 전반의 변동성을 반영한 결과일 수 있습니다.
미드스트림 부문의 조정 EBITDA는 2019년부터 2023년까지 꾸준히 증가하는 모습을 나타내며, 특히 2019년의 3,594백만 달러에서 2023년의 6,171백만 달러로 약 71%의 성장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해당 부문이 안정적이거나 성장하는 수익성을 확보하는 데 성공했음을 시사합니다.
전체 부문별 조정 EBITDA의 총합은 2019년에는 7,543백만 달러였으며, 2020년에는 3,122백만 달러로 급감하였으나, 이후 2021년 8,928백만 달러, 2022년 25,033백만 달러, 2023년 19,722백만 달러로 큰 폭의 회복과 성장을 보여줍니다. 특히 2022년에 나타난 급증은 회사 전체적인 수익성 향상과 영업 효율화, 시장 상황 호전으로 인한 결과로 해석됩니다.
매출 세분화
2023. 12. 31. |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
---|---|---|---|---|---|
정제 & 마케팅 | 143,575) | 172,205) | 115,494) | 66,247) | 106,742) |
소매 | —) | —) | —) | —) | 33,067) |
미드스트림 | 10,508) | 10,590) | 9,619) | 8,438) | 8,760) |
합계 | 154,083) | 182,795) | 125,113) | 74,685) | 148,569)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 매출 세분화별 추세
-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전체 매출은 변동 폭이 크지 않으면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 하고 있었으나, 2022년에는 총 매출이 크게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정제 및 마케팅 부문이 주도적으로 성장하며 전체 매출의 증가를 견인하였다. 반면, 2023년에는 전체 매출이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정제 및 마케팅 부문의 매출이 특히 감소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소매 부문의 매출 데이터는 일부 기간에는 누락되어 있어 변화 추이를 명확히 파악하기 어렵지만, 전체 매출에 대한 영향을 추정할 수 없다.
- 정제 & 마케팅 부문의 분석
- 이 부문은 2019년 106,742백만 달러에서 2020년 66,247백만 달러로 크게 감소했으며, 2021년에는 다시 115,494백만 달러로 회복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후 2022년에는 172,205백만 달러로 급증했고, 2023년에는 143,575백만 달러로 다시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변화는 시장 상황이나 석유 제품 가격, 공급 및 수요 요인 등 외부 변수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
- 미드스트림 부문의 성과
- 미드스트림 부문은 전 기간에 걸쳐 비교적 안정적인 매출을 기록하였다. 2019년 8,760백만 달러에서 2021년 9,619백만 달러로 소폭 증가 후, 2022년과 2023년에는 각각 10,590백만 달러와 10,508백만 달러로 거의 유지되고 있다. 이는 해당 부문이 시장 변화에 상대적으로 안정적임을 시사한다.
- 전체 매출의 추이
- 전체 매출은 2019년 148,569백만 달러에서 2020년 74,685백만 달러로 급감하였다. 이후 2021년에는 125,113백만 달러로 회복되었으며, 2022년에는 최고점인 182,795백만 달러를 기록하였다. 2023년에는 다시 154,083백만 달러로 하락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글로벌 공급망의 불확실성, 원자재 가격 변동, 경기 침체와 같은 외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크다.
세그먼트 감가상각 및 상각
2023. 12. 31. |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
---|---|---|---|---|---|
정제 & 마케팅 | 1,887) | 1,850) | 1,870) | 1,857) | 1,665) |
소매 | —) | —) | —) | —) | 528) |
미드스트림 | 1,320) | 1,310) | 1,329) | 1,353) | 1,267) |
기업 | 100) | 55) | 165) | 165) | —) |
합계 | 3,307) | 3,215) | 3,364) | 3,375) | 3,460)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 세그먼트별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의 연도별 변화
-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세그먼트별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은 전반적으로 안정된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정제 및 마케팅 세그먼트는 2019년 1,665백만 달러에서 2023년 1,887백만 달러로 증가하였으며, 미드스트림 세그먼트도 비슷한 흐름을 보여 2019년 1,267백만 달러에서 2023년 1,320백만 달러로 약간 증가하였다.
기업 세그먼트는 2019년 데이터가 없던 상태였으며, 2020년과 2021년 각각 165백만 달러를 기록하였다가, 2022년에는 55백만 달러로 하락하고 2023년에는 100백만 달러로 회복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변화는 기업 세그먼트의 감가상각 비용이 일부 변동성을 보였음을 시사한다.
- 합계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의 전체적 추이
-
전체 세그먼트의 감가상각 및 상각 비용은 2019년 3,460백만 달러에서 2023년 3,307백만 달러 수준으로 다소 감소하거나 안정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2020년과 2021년에 소폭 감소했다가 2022년과 2023년에 약간 반등하거나 안정된 추세를 보인다. 이는 전반적인 자산 감가상각 전략이나 자산의 규모가 크게 변하지 않았음을 시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추세는 자산 감가상각 비용이 회사의 운영 활동과 재무 상태를 일정 수준 유지하는 데 기여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급격한 비용 변동은 관측되지 않는다.
자본 지출 및 투자 세분화
2023. 12. 31. | 2022. 12. 31. | 2021. 12. 31. | 2020. 12. 31. | 2019. 12. 31. | |
---|---|---|---|---|---|
정제 & 마케팅 | 1,311) | 1,508) | 911) | 1,170) | 1,999) |
소매 | —) | —) | —) | —) | 607) |
미드스트림 | 1,105) | 1,069) | 731) | 1,398) | 3,290) |
합계 | 2,416) | 2,577) | 1,642) | 2,568) | 5,896)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 자본 지출 및 투자 세분화의 추이
-
2020년에는 2019년에 비해 전체 자본 지출이 크게 감소하였으며, 이는 다양한 시장 환경 또는 전략적 조정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특히, "정제 & 마케팅" 부문은 2019년의 1999백만 달러에서 2020년 1170백만 달러로 감소하였으며, 이후 2021년에는 911백만 달러로 더 낮아졌다. 그러나 2022년에는 다시 1508백만 달러로 증가했으며, 2023년에는 1311백만 달러로 소폭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소매" 부문은 2020년 및 이후 연도 데이터가 모두 누락되어 있어 상세한 비교가 어렵지만, 2019년의 607백만 달러 이후 변동 내역이 불분명하다.
"미드스트림" 부문은 2019년 3290백만 달러에서 2020년 1398백만 달러로 크게 감소 후, 2021년과 2022년에 걸쳐 각각 731백만 달러와 1069백만 달러로 회복되었고, 2023년에는 약간 증가한 1105백만 달러 수준을 유지하였다.
전체 자본 지출 및 투자 합계는 2019년 5896백만 달러에서 2020년 2568백만 달러로 큰 폭으로 하락하였다가, 2021년에는 1642백만 달러로 더욱 감소하였다. 이후 2022년에는 다시 2577백만 달러로 회복세를 보였으며 2023년에는 2416백만 달러로 다소 감소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부문별 자본 투자의 전략적 조정 또는 시장 환경 변화에 따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