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익계산서의 구조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 수익
-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수익은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으며, 2020년 이후 큰 변동은 관찰되지 않는다. 특히, 2020년에는 수익이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하였으나 이후에는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 매출원가
- 매출원가는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지속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수익 대비 비율은 대체로 90% 이상으로 나타나 제조원가 및 판매관리비와 연계된 비용이 크다는 점이 드러난다. 2020년에는 원가율이 다소 높아졌으나, 이후에는 일부 절감되거나 유지되는 경향이 있다.
- 매출총이익
- 이익률은 2019년에 약 4.41%로 긍정적이었지만, 2020년에 급격히 적자로 전환되었다가 2021년과 이후에는 다시 흑자로 회복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2022년과 2023년에는 비교적 안정적인 이익률을 유지하였다.
- 영업이익
- 영업이익은 2019년에는 약 3.54%로 긍정적이었으며, 2020년에는 큰 폭의 적자로 하락하였다. 이후 2021년과 2022년에 다시 회복되어 흑자 전환되었으며, 2023년에도 유의미한 영업이익이 지속되고 있다.
- 기타 운영 비용 및 일반관리비
- 이들은 일정 수준에서 유지되거나 점차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어 효율성 향상이 기대된다. 특히, 2020년 이후에는 낮은 비중을 유지하며 기업 운영의 비용이 적절히 통제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 순이익
- 2019년의 순이익은 약 2.57%였으나, 2020년에 급격히 감소하여 적자를 기록하였다. 이후 2021년부터 다시 흑자로 전환되어 2023년에는 약 6.32%의 수익률을 기록하며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2022년과 2023년의 순이익은 안정적이고 양호한 수준이다.
- 세금 및 기타 이익/손실
- 이 부문은 전체적으로 낮은 비중을 유지하며, 2020년 이후에는 소폭의 변동성만을 보여주어 재무 구조의 변동이 크지 않음을 시사한다.
- 지속적인 이익 추세
- 전반적으로 수익성과 이익률은 2019년 이후 코로나19 팬데믹 등의 영향으로 일시적 타격을 받았으나, 이후 회복세를 보이며 안정적인 수익 창출 능력을 재확인하였다. 영업이익과 순이익의 회복은 기업의 재무적 건전성 회복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