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 사용자를 위한 영역
무료 체험하기
이번 주에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Valero Energy Corp. 페이지:
데이터는 뒤에 숨겨져 있습니다.
이것은 일회성 지불입니다. 자동 갱신은 없습니다.
우리는 받아 들인다 :
손익 계산서
12개월 종료 | 수익 | 영업이익(손실) | Valero Energy Corporation 주주에게 귀속되는 순이익(손실) |
---|---|---|---|
2023. 12. 31. | |||
2022. 12. 31. | |||
2021. 12. 31. | |||
2020. 12. 31.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
2012. 12. 31. | |||
2011. 12. 31. | |||
2010. 12. 31. | |||
2009. 12. 31. | |||
2008. 12. 31. | |||
2007. 12. 31. | |||
2006. 12. 31. | |||
2005.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 수익
- 전기간에 걸쳐 매출은 대체로 상승과 조정을 반복하는 탄력적인 흐름을 보인다. 2005년에서 2008년 사이에는 매출이 82,162백만 달러에서 119,114백만 달러로 증가하는 등 상승세를 보이다가 2009년에는 68,144백만 달러로 급감했다. 이후 2010년대 초반에 재차 회복되어 2011년(125,987백만 달러)과 2012년(139,250백만 달러) 사이에 정점을 형성했다. 2013년~2014년에는 130,844~138,074백만 달러 범위로 다소 안정된 흐름을 보였으나 2015년(87,804백만 달러)과 2016년(75,659백만 달러)에는 대폭 하락했다. 2017년부터 2019년까지 회복 흐름이 나타나 2017년~2019년은 각각 93,980백만 달러, 117,033백만 달러, 108,324백만 달러로 구성됐다. 2020년에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64,912백만 달러로 급락했고, 2021년에는 113,977백만 달러로 반등했다. 2022년에는 176,383백만 달러로 사상 최대 수준에 근접했고, 2023년에는 144,766백만 달러로 소폭 감소했다.
- 영업이익(손실)
-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큰 변동성을 보이며 주기적으로 구조적 변화를 반영한다. 2005년에서 2007년까지는 5,459에서 8,010으로 증가하며 양호한 수익성을 시현했고, 2008년에는 563으로 급락한 뒤 2009년에는 약한 손실(-58)로 전환했다. 2010년 이후 2015년까지는 점진적인 개선을 보이며 3,572~6,358 사이의 범위를 반복했다. 2016년에는 3,572로 다소 축소되었고 2017년~2019년에는 3,599~4,572 사이에서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했다. 2020년에는 다시 큰 폭의 손실(-1,579)을 나타냈으며 2021년에는 2,130으로 반등했다. 2022년에는 15,690으로 급증해 사상 최고치에 근접했고 2023년은 11,858로 다소 감소했다.
- 주주에게 귀속되는 순이익(손실)
- 순이익은 초기에는 양호한 흐름에서 시작하나, 2008년과 2009년에는 심각한 손실로 전환됐다(-1,131; -1,982). 2010년에는 소폭 흑자로 돌아섰고(324), 2011년~2012년에도 양호한 흐름을 이어가며 각각 2,090 및 2,083을 기록했다. 2013년~2015년에는 안정적인 흑자를 지속했고(2,720~3,990), 2016년에는 감소(2,289)했지만 2017년(4,065)과 2018년(3,122), 2019년(2,422)에는 다시 회복 흐름을 보였다. 2020년에는 손실(-1,421)이 재차 나타났고 2021년에는 소폭 반등해 930을 기록했다. 2022년에는 대폭 증가해 11,528까지 상승했고 2023년에는 8,835로 다소 축소되었다. 전년 대비 큰 변동이 발생하는 해가 몇 차례 나타났으며, 2022년의 급등은 특정 시기의 구조적 이익 개선이나 한시적 요인에 크게 기인했을 가능성이 있다.
대차 대조표: 자산
유동 자산 | 총 자산 | |
---|---|---|
2023. 12. 31. | ||
2022. 12. 31. | ||
2021. 12. 31. | ||
2020. 12. 31.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
2012. 12. 31. | ||
2011. 12. 31. | ||
2010. 12. 31. | ||
2009. 12. 31. | ||
2008. 12. 31. | ||
2007. 12. 31. | ||
2006. 12. 31. | ||
2005.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 유동 자산
- 해당 기간의 관찰에 따르면 유동 자산은 초기에는 상승세를 보이다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 급격히 감소했다가 회복하는 흐름을 반복했다. 구체적으로, 2005년 8,276에서 2007년 14,792로 증가(+약 37.5%), 2008년 9,450로 큰 폭으로 하락(-약 36.1%)한 뒤 2009년 10,923로 반등했다(2009년 대비 2008년 대비 약 +15.6%). 이후 2010년 13,518, 2011년 15,972, 2012년 16,460, 2013년 19,277로 연속 상승하며 2013년까지 높아지는 흐름을 보였다. 그러나 2014년 16,614로 다시 감소(-약 13.8%), 2015년 14,972로 추가 하락(-약 9.9%)했다. 2016년 16,800로 반등하고 2017년 19,312로 증가(+약 15.0%)했으나 2018년 17,675로 소폭 감소(-약 8.5%), 2019년 18,969로 소폭 상승(+약 7.3%)했다. 2020년에는 15,844로 큰 폭으로 하락(-약 16.5%)했으나 2021년 21,165로 급격히 증가(+약 33.6%), 2022년 24,133(+약 14.0%), 2023년 26,221(+약 8.7%)로 연속 상승하며 연도별 기록 중 가장 높은 수준에 도달했다. 이로 인해 유동 자산의 연간 변동성은 비교적 높았으나, 2021년 이후의 흐름은 규모 면에서 크게 확대되는 경향이 관찰된다. 또한 2005년 대비 2023년의 비중은 총 자산 대비 약 25%에서 약 41%로 상승하여 유동성의 상대적 비중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대략적 비율: 2005년 약 25%, 2023년 약 42%).
- 총 자산
- 총 자산은 전 기간에 걸쳐 대체로 증가하는 흐름을 보였다가 일부 시점에 감소를 겪었다. 2005년 32,728에서 2007년 42,722로 상승(+약 13–14%), 2008년 34,417로 감소(-약 19%), 2009년 35,629로 소폭 증가(약 +3.5%), 2010년 37,621로 증가(+약 5.6%), 2011년 42,783로 증가(+약 13.7%), 2012년 44,477로 증가(+약 4.0%), 2013년 47,260로 증가(+약 6.3%). 2014년 45,550으로 감소(-약 3.6%), 2015년 44,343으로 감소(-약 2.7%), 2016년 46,173로 증가(+약 4.1%), 2017년 50,158로 증가(+약 8.6%), 2018년 50,155으로 거의 제로에 가까운 변동(-약 0.0%), 2019년 53,864로 증가(+약 7.4%). 2020년에는 51,774로 감소(-약 3.9%), 2021년 57,888으로 증가(+약 11.8%), 2022년 60,982로 증가(+약 5.3%), 2023년 63,056로 증가(+약 3.4%). 전 기간을 통틀어 보았을 때 총 자산은 2005년 대비 2023년에 거의 두 배 가까운 규모로 확대되었으며, 2008년의 하락 이후 2010년대 중반까지 회복과 확장을 반복하는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2021년 이후의 증가 속도가 뚜렷해 2021년 이후 연간 증가가 지속되며 총 자산이 연속적으로 사상 최고치를 갱신하는 흐름이 나타났다.
대차 대조표: 부채 및 주주 자본
유동부채 | 부채 및 금융 리스 의무 | Valero Energy Corporation 주주 지분 합계 | |
---|---|---|---|
2023. 12. 31. | |||
2022. 12. 31. | |||
2021. 12. 31. | |||
2020. 12. 31.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
2012. 12. 31. | |||
2011. 12. 31. | |||
2010. 12. 31. | |||
2009. 12. 31. | |||
2008. 12. 31. | |||
2007. 12. 31. | |||
2006. 12. 31. | |||
2005.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본 분석은 주어진 연도별 재무 항목의 흐름을 2005년부터 2023년까지 파악하여 관찰된 패턴과 시사점을 제시한 것이다. 각 항목의 변화는 단기간의 변동뿐 아니라 장기적인 방향성도 함께 검토하였다.
- 유동부채
- 2005년 7,305에서 2007년 11,914로 상승하는 등 초기에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2008년 6,209로 급락하며 금융위기 영향의 변동성을 드러냈다. 2009년 7,798, 2010년 8,784, 2011년 12,708로 회복했으나 2012년 11,929, 2013년 13,123으로 다시 상승하고 2014년 9,980으로 하락했다. 2015년~2016년에는 7,360~8,328로 낮아지며 비교적 낮은 수준을 유지했고, 2017년 이후 11,071(2017), 10,724(2018), 13,160(2019)로 점진적으로 증가했다. 2020년에는 9,283으로 다시 낮아졌고, 2021년 16,851, 2022년 17,461로 크게 상승한 뒤 2023년에는 16,802로 소폭 감소했다. 전 기간에 걸친 관찰로는 2008년의 급락 이후 2010년대 중반까지는 비교적 변동 폭이 크지 않은 흐름을 보이다가, 2021~2022년에 또다시 큰 폭으로 증가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단기 차입이나 운전자본 관리에 있어 전년 대비 단기부채 상환의 압력이 증가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 부채 및 금융 리스 의무
- 2005년 5,378에서 2009년 7,400까지 증가하는 가운데 전반적으로 2005~2019년 사이에 5,000~9,000대의 비교적 안정된 범주를 유지했다. 2010년 8,337로 상승하고 2011년 7,741, 2012년 7,049, 2013년 6,564, 2014년 6,386으로 점차 축소되며 2015년 7,377, 2016년 8,001, 2017년 8,872, 2018년 9,109, 2019년 9,672로 다시 상승했다. 2020년에는 14,677로 급증하며 급격한 차입 증가를 나타냈고, 2021년 13,870, 2022년 11,635, 2023년 11,524로 다소 완화되었다. 이 기간의 흐름은 팬데믹 직후 자금 조달 활동이 크게 증가한 뒤 차입 부담이 부분적으로 축소되었으나 2019년 말 이전 수준보다 여전히 높은 상태를 유지했음을 시사한다.
- 주주 지분 합계
- 2005년 15,050에서 2006년 18,605로 상승했고 2007년 18,507, 2008년 15,620으로 하락하는 등 2008~2010년대 초반에는 변동이 뚜렷했다. 2010년 15,025, 2011년 16,423, 2012년 18,032, 2013년 19,460, 2014년 20,677로 증가세가 뚜렷해 2014년까지 누적 자본 형성이 진행됐다. 2015년 20,527, 2016년 20,024로 다소 완만한 상승세를 보이다가 2017년 21,991, 2018년 21,667, 2019년 21,803으로 안정적인 증가를 이어갔다. 2020년 18,801, 2021년 18,430으로 다소 감소했으나 2022년 23,561, 2023년 26,346으로 큰 폭으로 증가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장기적으로는 자본의 질 개선과 이익잉여금의 축적에 따른 주주 지분 증가가 지속적으로 나타났으며, 2022~2023년에 걸친 급격한 증가가 자본 확충의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현금 흐름표
12개월 종료 |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 제공 | 투자 활동에 사용된 순현금 | 재무활동으로 제공된(사용된) 순현금 |
---|---|---|---|
2023. 12. 31. | |||
2022. 12. 31. | |||
2021. 12. 31. | |||
2020. 12. 31.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
2012. 12. 31. | |||
2011. 12. 31. | |||
2010. 12. 31. | |||
2009. 12. 31. | |||
2008. 12. 31. | |||
2007. 12. 31. | |||
2006. 12. 31. | |||
2005.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다음 연도별 재무 현금흐름 항목에 대해 내부 보고서 형식으로 관찰된 패턴과 변화를 요약한다. 각 항목의 단위는 US$ 백만 달러이며, 빈 값은 누락으로 간주된다. 데이터는 2005년부터 2023년까지의 기간에 걸쳐 제공된다.
-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 제공의 패턴
-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 제공은 전 기간에 걸쳐 양의 값으로 나타나며 일반적으로 현금창출 능력이 유지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2005~2019년 사이의 수치는 대체로 3,000~5,500 백만 달러 범위에서 움직였고, 2020년에는 948로 급감하였지만 2021년에는 5,859로 재차 큰 폭으로 회복되었고 2022년에는 12,574로 최고치를 기록한 뒤 2023년에도 9,229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이처럼 팬데믹 초기의 큰 충격 이후 회복과 급등이 나타났고, 2023년까지도 높은 현금창출 수준이 지속되었다.
- 투자활동으로 사용된 순현금의 패턴
- 투자활동으로 사용된 순현금은 전 기간 음수이며, 연도별 규모가 큰 폭으로 변동한다. 대표적 큰 음수 구간으로 2011년(-5,298)과 2018년(-3,928)이 뚜렷하며, 그 밖의 해들에서도 대략 -1,000에서 -3,500 사이의 범위를 주로 보인다. 2023년까지도 지속적으로 현금이 투자활동에 사용되었으며, 연도 간 차이가 커 안정적으로 일정하지 않은 흐름을 보인다. 이 항목이 총 현금흐름에서 가장 큰 음의 기여를 하는 경향이 있으며, 규모의 변동이 크다.
- 재무활동으로 제공된(사용된) 순현금의 변동성
- 재무활동으로 제공된 순현금의 흐름은 연도에 따라 양수와 음수가 번갈아 나타나고 변동성이 큰 편이다. 2009년과 2010년에는 양수로 전환되었고 2020년에도 양수(+2,077)가 관찰되었다. 반면 2012년(-1,233), 2018년(-3,168), 2022년(-8,849), 2023년(-6,941) 등은 대규모 음수로 기록되었다. 전반적으로 이 항목의 변동성은 다른 두 항목에 비해 상당히 큰 편으로 나타난다.
- 연도별 총합(순현금 흐름)의 방향성 및 요약
- 연도별 순현금 흐름은 해마다 다르나, 2005년(-432), 2007(-1,555), 2008(-1,477), 2011(-2,326), 2014(-533), 2018(-2,725), 2019(-467)와 같이 음수로 마감한 해가 여러 차례 있었다. 반대로 2006(+1,153), 2010(+2,456), 2012(+686), 2013(+2,589), 2015(+579), 2016(+802), 2017(+828), 2020(+600), 2021(+854), 2022(+920), 2023(+423) 등은 양수로 마감되었다. 2020년 이후에는 양의 총현금흐름이 재강세를 보이며 2021~2023년에 걸쳐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 지속되었다. 이는 운영활동의 강한 현금창출과 함께 투자 및 재무활동의 흐름이 상호작용하는 방식에서 양의 방향으로의 회복이 뚜렷했음을 시사한다.
주당 데이터
12개월 종료 | 기본 주당순이익1 | 희석된 주당순이익2 | 주당 배당금3 |
---|---|---|---|
2023. 12. 31. | |||
2022. 12. 31. | |||
2021. 12. 31. | |||
2020. 12. 31.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
2012. 12. 31. | |||
2011. 12. 31. | |||
2010. 12. 31. | |||
2009. 12. 31. | |||
2008. 12. 31. | |||
2007. 12. 31. | |||
2006. 12. 31. | |||
2005.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1, 2, 3 분할 및 주식 배당을 위해 조정된 데이터.
주어진 연간 데이터의 흐름은 수익성의 변동성과 배당정책의 방향성을 함께 보여 준다. 기간 중 큰 경제충격 시기에 손익이 급변하는 반면, 장기적으로는 배당이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경향이 확인된다.
- 기본 주당순이익
- 2005년에서 2007년 사이에 6.51에서 9.27달러로 상승하며 수익성이 양호한 구간을 보였다. 2008년과 2009년에는 큰 손실로 전환되어 각각 -2.16과 -3.67달러를 기록했고, 이는 글로벌 경제 충격의 영향하에 보이는 뚜렷한 사이클이었다. 그 후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점진적으로 회복하며 0.57에서 6.88달러로 상승했고, 2015년과 2017년에는 8.00 및 9.17달러로 최고치를 재차 경신했다. 2016년에는 다소 하락(4.94달러)을 보였으나 2017년에는 다시 크게 상승했다. 2018년과 2019년에는 각각 7.3과 5.84달러로 다소 조정되었다. 2020년에는 손실이 재차 발생해 -3.5달러로 음전환했고, 2021년에는 2.27달러로 반등했다. 그 후 2022년과 2023년에는 각각 29.05달러, 24.93달러로 기록적으로 높은 수치를 보이며, 최근 기간의 이익 규모가 크게 확대되었음을 시사한다. 희석 주당순이익 역시 기본 주당순이익과 거의 동일한 흐름을 보였다.
- 희석된 주당순이익
- 희석 주당순이익은 기본 주당순이익과 거의 동행하는 흐름을 보이며, 대략적인 방향성은 유사하다. 2005년에서 2007년 사이의 상승, 2008년과 2009년의 급락, 이후 2010년대의 회복과 성장을 거쳐 2017년까지는 상승세가 지속되었고 2018년에서 2019년에는 소폭 조정되었다. 2020년의 손실 구간과 2021년의 반등 구간도 기본 EPS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2022년에는 29.04달러, 2023년에는 24.92달러로 고점대를 유지했다. 전체적으로 두 지표의 방향은 일치하는 경향이 강하며, 기업의 이익창출 구조가 희석 계정에서도 큰 변동 없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 주당 배당금
- 배당금은 2005년의 0.19달러에서 시작해 2014년 말까지 1.05달러로 점진적으로 증가했다. 2015년부터 2016년 사이에 1.7에서 2.4로 빠르게 상승했고, 2017년에는 2.8, 2018년에는 3.2로 증가 속도가 가속되었다. 2019년에는 3.92달러로 급등했고 2020년과 2021년에도 3.92달러를 유지하는 등 수익성의 변동에도 불구하고 배당의 안정성이 나타났다. 2022년에는 4.08달러로 소폭 증가했고, 2023년 데이터는 누락되어 있다. 전반적으로 배당은 장기적으로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며, 이익의 변동성과 무관하게 비교적 높은 수준의 지속적 지급을 유지하는 정책적 성격이 드러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