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차 대조표의 구조 : 자산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 현금 및 현금성자산
- 2018년 이후 점차 증가세를 보여왔으며, 2019년에 최고치를 기록한 후 2022년에는 갑작스럽게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특히 2022년에는 전체 총자산 대비 비중이 하락하며 유동성 포지션이 축소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 단기 투자
- 2018년 데이터는 제공되지 않으나, 2020년 이후 2022년까지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21년과 2022년에는 각각 5.28%와 1.02%로 낮은 비중을 차지하며, 투자 포트폴리오 내의 단기 금융상품 비중이 줄어들고 있음을 시사한다.
- 고객 미수금, 충당금 감소
- 전체 기간 동안 차지하는 비중이 비교적 안정적이나, 전체적으로 점차 상승하는 흐름을 보인다. 특히 2022년에는 11.96%로 증가하여 고객채권 관리에 일정 수준의 부하 또는 매출 회수 지연 가능성이 내포될 수 있다.
- 미수소득세
- 2018년 이후 2021년까지 데이터가 없는 상황에서 2022년과 2023년에는 각각 0.4%와 0.26%로 낮은 수준이며, 미수세금 관련 자산 비중이 미미한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 기타 미수금
- 비중은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낮은 수준(약 0.2% ~ 0.3%)을 유지하며, 상대적으로 크지 않은 미수금 항목을 나타낸다.
- 선불 비용 및 기타 유동 자산
- 비중이 점차 증가하여 2022년에는 1.92%로 높아졌으며, 유동 자산 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고 있다. 이는 선불 비용이나 계약으로 선취하는 비용이 증가했음을 시사한다.
- 유동 자산
-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상승하였다가 2021년 정점(28.7%)에 도달한 후, 2022년에는 감소하여 19.3%를 기록하였다. 이는 유동성 포지션의 일시적 확장 후 축소를 의미한다.
- 순 재산 및 장비
- 전체 원칙적으로 상당한 비중(대부분 66% 이상)을 차지하며, 2019년 이후에는 74-76%의 비율로 유지되어, 장비 및 시설자산이 자산 구성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점이 눈에 띈다.
- 기타 자산
- 이 항목은 전체 자산의 2.37%에서 4.85%까지 변화하였으며, 작지만 점진적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기타 자산의 구성이 다양함을 시사한다.
- 비유동자산
- 전체는 71.3%에서 80.7%로 변동하며, 2022년에는 다시 높은 비중(약 80.7%)으로 상승하였다. 이는 비유동적 자산이 회사 자산구성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점을 보여준다.
- 총 자산
- 전체적으로 2018년 이후 지속적인 구조적 변화를 보여주며,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의 비중이 연도별로 변동하였다. 특히 2022년에는 비유동자산이 대다수 비중을 차지하는 안정적 자산 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