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 사용자를 위한 영역
무료 체험하기
이번 주에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Illinois Tool Works Inc. 페이지:
데이터는 뒤에 숨겨져 있습니다.
이것은 일회성 지불입니다. 자동 갱신은 없습니다.
우리는 받아 들인다 :
손익 계산서
12개월 종료 | 영업수익 | 영업이익 | 순수입 |
---|---|---|---|
2021. 12. 31. | |||
2020. 12. 31.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
2012. 12. 31. | |||
2011. 12. 31. | |||
2010. 12. 31. | |||
2009. 12. 31. | |||
2008. 12. 31. | |||
2007. 12. 31. | |||
2006. 12. 31. | |||
2005.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주어진 연간 재무 지표를 바탕으로 관찰 가능한 흐름과 패턴을 정리한다. 단위는 US$ 단위: 백만 달러이며, 2005년부터 2021년까지의 값이 포함되어 있다. 표기된 수치의 변동은 각 항목의 매출 및 이익의 흐름에 대한 객관적 시사를 제공한다.
- 영업수익의 추세
- 전반적으로 상승과 하락이 반복되는 변동성 높은 흐름을 보인다. 2007년 말경까지 증가한 후 2009년에는 큰 폭으로 하락했고, 2011년까지 회복되며 2012년에 최고점에 근접했다. 이후 2013년부터 2016년까지는 축소되었고, 2017~2018년에는 다시 소폭 상승했다. 2019년까지 소폭 변동 후 2020년에는 큰 폭으로 감소했고 2021년에 회복하며 2019년 수준에 근접했다. 전 기간 평균적으로 약 1.1만 ~ 1.8만 달러 범위에서 변동했다.
- 영업이익의 추세
- 매출 흐름의 영향을 받으며 전반적으로 견조한 흐름을 보이다가 2009년 데이터에서 급격히 감소했다(경제 충격 시기와 유사한 수준의 하락). 이후 2010년대 중반까지는 회복과 상승세가 두드러졌고, 2014~2018년 사이에는 특히 높은 영업이익 수준을 유지했다. 2019년을 기점으로 소폭 둔화되었으나 2020년 다시 하락했다가 2021년에는 회복됐다. 대체로 매출 대비 비교적 안정적이면서도 대폭적인 변동은 2009년과 2020년의 두 시점에서 관찰된다.
- 순이익의 추세
- 변동성은 가장 큰 편에 속하며, 2009년 심한 하락 이후 2012년과 2014년에 각각 큰 반등을 보였다. 2013년에는 재차 감소했으나 2014년과 이후 일부 기간에 다시 상승 흐름이 나타났다. 2017~2019년 사이에는 재차 상승과 하강이 교차했고, 2020년에는 다소 약화되었지만 2021년에는 회복되었다. 전반적으로 6~21% 내외의 순이익 마진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며, 특정 연도에 큰 폭의 변동이 집중된다.
- 수익성의 변화와 마진 흐름
- 영업마진은 대체로 10%대에서 25%대 사이의 범위를 오가며, 시점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2009년의 저점 시기 및 2014~2018년의 고마진 구간이 특징적이다. 순이익 마진은 대략 7%대에서 21%대 사이를 오르내리며, 특히 2012년과 2014년의 반등 구간에서 높은 수준의 마진이 나타났다. 팬데믹 시기인 2020년에는 매출 감소와 함께 마진이 일시적으로 압박되었으나, 2021년에는 다시 상승했다. 전반적으로 수익성은 매출 흐름과 더불어 다년 간의 변동성 속에서도 일정한 수익성 구조를 유지하려는 경향이 관찰된다.
전반적인 요약으로, 기간 내 매출은 경기 사이클의 영향에 따라 피크와 저점을 반복했으며 2012년의 상대적 정점 이후 2013~2016년의 축소를 거친 뒤 2017~2019년에 재상승했다가 2020년 팬데믹 영향으로 하락했고 2021년에 회복세를 보였다. 영업이익은 매출 흐름을 대체로 따라가며 2009년의 큰 감소 이후 2010년대 중반에 안정적인 상승을 보였고, 2020년의 재차 감소를 거쳐 2021년에 회복했다. 순이익은 가장 큰 변동성을 보여 2009년 큰 폭의 감소와 2012년·2014년의 강한 반등이 두드러졌으며, 2020년의 축소에도 불구하고 2021년에 회복하여 다년 간의 변동성을 유지하는 패턴이 반복된다.
대차 대조표: 자산
유동 자산 | 총 자산 | |
---|---|---|
2021. 12. 31. | ||
2020. 12. 31.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
2012. 12. 31. | ||
2011. 12. 31. | ||
2010. 12. 31. | ||
2009. 12. 31. | ||
2008. 12. 31. | ||
2007. 12. 31. | ||
2006. 12. 31. | ||
2005.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다음 분석은 주어진 연간 재무 데이터의 패턴과 변화를 중심으로 요약된다. 내부 보고서의 시각으로, 유동 자산과 총 자산의 흐름과 이로 인한 유동성 구조의 변화를 중점적으로 서술한다. 데이터는 2005-2021 사이의 연간 수치를 포함하며, 빈 값은 누락으로 간주된다.
- 유동 자산
- 2005년 12월 31일의 유동 자산은 4,112백만 달러로 시작했고, 2013년에는 9,816백만 달러까지 꾸준히 증가하여 기간 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 기간은 연간 증가가 지속적으로 나타났으며, 2013년의 피크가 뚜렷하다. 2014년에는 8,076백만 달러로 감소했고 이후 2015년(6,720), 2016년(6,123)으로 추가 하락하는 흐름이 이어졌다. 2017년에는 다시 7,278로 반등했고 2018년(5,778)과 2019년(6,253) 사이의 변동을 보인 뒤 2020년(6,523)과 2021년(6,374)에는 소폭 상승-정체하는 흐름을 보였다. 전 기간에 걸친 관찰에서 2013년의 피크 이후 다소 불안정한 흐름이 지속되었으며, 2021년 말 유동 자산 규모는 시작점에 비해 여전히 높지만 2013년의 최고점에 미치지 못한다.
- 유동 자산이 총 자산 대비 차지하는 비중은 2005년 약 35.9%에서 2013년 약 49.2%로 상승하는 등, 이 기간 동안 유동성의 상대적 위치가 크게 강화되었다. 이후 2014년 이후에는 비중이 점차 축소되며 2016년대 초에는 약 40%대, 2017년에는 약 43%, 2018년 약 39%, 2019년~2021년은 약 41~42%대에서 등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흐름은 피크 이후의 기간에 유동성 구성 비중이 다소 축소되며 변동성이 증가했음을 시사한다.
- 총 자산
- 2005년 총 자산은 11,446백만 달러에서 시작해 2009년대 초를 거쳐 2013년 19,966백만 달러로 상승하며 기간 동안 확장세를 강하게 나타냈다. 이는 2013년까지의 자산 구조가 크게 확장되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2014년 17,678백만 달러로 감소하고, 2015년 15,729백만 달러, 2016년 15,201백만 달러로 연속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2017년에는 16,780백만 달러로 반등했으나 2018년 14,870백만 달러로 다시 하락했고, 2019년 15,068백만 달러, 2020년 15,612백만 달러, 2021년 16,077백만 달러로 점진적으로 회복되었다. 전 기간을 종합하면 2013년의 최고점 대비 이후 다소의 하방 경향이 지속되었고, 2021년 기준으로도 그 최댓값에 이르지 못했다.
- 총 자산의 연도별 변화를 보면 2005년에서 2013년까지 지속적인 확장 끝에 피크를 기록한 뒤, 2014년 이후 2016년까지 큰 폭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후 2017년부터 부분 회복이 시작되었으나 2018년 재차 하락했고, 2019년~2021년에는 점진적인 회복 흐름이 이어졌다. 이 기간의 회복은 2013년의 피크에 비해 미치지 못하지만, 2020년대 초반으로 넘어오면서 다소 안정화되는 모습을 보인다.
대차 대조표: 부채 및 주주 자본
유동부채 | 총 부채 | 총 부채 | ITW에 귀속되는 주주의 지분 | |
---|---|---|---|---|
2021. 12. 31. | ||||
2020. 12. 31.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
2012. 12. 31. | ||||
2011. 12. 31. | ||||
2010. 12. 31. | ||||
2009. 12. 31. | ||||
2008. 12. 31. | ||||
2007. 12. 31. | ||||
2006. 12. 31. | ||||
2005.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주어진 데이터 표는 2005년부터 2021년까지의 기간 동안 항목별 수치를 미국 달러 백만 단위로 제공한다. 데이터의 첫 번째 관측치가 2001년으로 표에 제시되어 있어 2005년 컬럼과의 연도 일치에 의문이 생긴다. 이 점은 해석 시 주의해야 하며, 표의 다른 항목은 연도별로 비교 가능하다. 전반적으로 부채 관련 항목의 규모가 커지는 경향이 관찰되며, 주주 지분은 초기 상승 이후 2012년 정점을 찍고 큰 폭으로 감소하는 흐름을 보인다. 아래 내용은 기간별 관찰 패턴과 의미를 요약한 것이다.
- 유동부채
- 유동부채의 시계열은 2005년(해당 컬럼의 첫 값으로 추정되지만 주어진 연도표와의 불일치가 존재)부터 시작해 2013년 6,034백만 달러로 급등한 뒤 이후 2014년 3,533, 2015년 2,368 등으로 재차 큰 변동을 보이며 2018년 3,542까지 상승했다가 2019년 2,154, 2020년 2,589, 2021년 3,470으로 마감한다. 전반적으로 2008–2013년 사이 급등 및 2014–2016년 사이 다소 하락, 2017년 이후 재상승 및 변동이 지속되는 양상을 보인다.
- 총 부채
- 첫 번째 총 부채 계정은 2005년 3,899백만 달러에서 시작해 2013년 10,257, 2014년 10,854, 2015년 10,501, 2016년 10,942, 2017년 12,191, 2018년 11,612, 2019년 12,038, 2020년 12,430, 2021년 12,451로 증가하면서 상당한 규모 확장을 보여준다. 기간 중에는 몇 차례 소폭의 하락과 반등이 있었으나, 장기적으로는 증가 흐름이 우세했다.
- 총 부채
- 두 번째 총 부채 계정은 2005년 1,211백만 달러에서 시작해 2012년 5,048, 2013년 6,344, 2014년 7,457로 크게 증가한 뒤 2015년 7,422, 2016년 7,829로 소폭 변동하며, 2019년 7,758, 2020년 8,122로 다시 상승하고 2021년 7,687로 마감한다. 전체적으로 상승 추세가 지속되었던 특성이 있으며, 연도 간 변동폭이 비교적 크지 않은 해와 큰 폭으로 변하는 해가 혼재한다.
- ITW에 귀속되는 주주의 지분
- 해당 항목은 2005년 7,547백만 달러에서 시작해 2007년까지 소폭 상승한 뒤 2008년 7,663, 2009년 8,808, 2010년 9,370, 2011년 10,018, 2012년 10,561로 최고치를 기록한다. 이후 2013년 9,703으로 감소하고 2014년 6,819로 급락한 뒤 2015년 5,224, 2016년 4,254로 계속 감소한다. 이후 2017년 4,585, 2018년 3,254, 2019년 3,026, 2020년 3,181, 2021년 3,625로 소폭 회복되나 여전히 2005년 대비 낮은 수준에서 안정화되는 경향이 관찰된다.
현금 흐름표
12개월 종료 |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 제공 | 투자 활동으로 제공된 순현금(사용) | 재무 활동에 사용된 순현금 |
---|---|---|---|
2021. 12. 31. | |||
2020. 12. 31.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
2012. 12. 31. | |||
2011. 12. 31. | |||
2010. 12. 31. | |||
2009. 12. 31. | |||
2008. 12. 31. | |||
2007. 12. 31. | |||
2006. 12. 31. | |||
2005.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해당 기간의 세 가지 현금 흐름 항목은 방향이 서로 다르게 움직였으며, 특정 연도에 따라 현금 흐름의 구조가 크게 달라지는 패턴이 확인된다.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 제공은 전반적으로 상승과 하락이 반복되는 변동성을 보였고, 투자활동으로 제공된 순현금(사용)은 대체로 음수이지만 일부 연도에 두드러진 양의 흐름이 나타났다. 재무활동에 사용된 순현금은 거의 항상 음수로 기록되며, 특정 연도에 대규모 현금 유출이 집중되었다.
연간 패턴의 핵심 요지는 다음과 같다.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 제공은 초기에는 증가세를 보이다가 2008년에서 2010년 사이에 하락했고, 2011년부터 다시 회복되면서 2013년에 최고치를 기록한 뒤 2014년에 급격히 감소했다. 그 후 2015년부터 2019년까지 다시 상승세를 이어 2019년에 높은 수준에 도달하였으며, 2020년과 2021년에는 다소 감소하는 흐름을 보였다.
-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 제공의 관찰된 패턴
- 전 기간에 걸쳐 양의 값을 유지하는 경향이 확인되며, 연도별 변동성도 크게 나타난다. 상승 국면과 하락 국면이 교차하는 구간이 있고, 특히 2013년의 정점과 2014년의 급락 구간이 두드러진다. 이후 2015년 이후 재상승하여 2019년까지 높은 수준을 유지하다가 2020년대 초반에 다소 축소되는 흐름을 보인다.
- 투자 활동으로 제공된 순현금(사용)의 관찰된 패턴
- 대체로 음수인 경향이 지속되지만, 2012년과 2014년에 양의 흐름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2011년에는 대규모 음의 흐름이 있었고, 2012년의 양의 흐름으로 회복 기미가 보였으며 2014년에도 큰 양의 현금 흐름이 나타났다. 그 외 해들에서는 다시 음수로 전환되며 연도에 따라 현금흐름의 방향이 크게 바뀌는 변동성이 관찰된다.
- 재무 활동에 사용된 순현금의 관찰된 패턴
- 전 기간에서 거의 연속적으로 음수이며, 자금조달 활동이 현금 유출의 주된 원인이었다. 특정 연도에 대규모 음의 흐름이 집중되었고, 2014년과 2018년은 특히 큰 폭의 음의 흐름이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차입금의 상환, 배당 또는 자사주 매입 등으로 인한 현금 유출이 한 해에 크게 작용했음을 시사한다.
전반적으로 운영활동 현금창출 능력은 매출 성장과 운영효율성의 변화에 따라 변동성이 큰 편이며, 투자활동은 대체로 현금유출이 지배적이지만 특정 시점에 자산 매각 등으로 인한 현금흐름이 크게 증가했다. 재무활동은 지속적으로 음의 흐름을 구성하되, 대규모 연도에 한해 변동성이 확대되었다. 이 조합은 운영 현금창출의 안정성과 자본구조 조정의 타이밍이 상호 작용하는 형태를 시사한다.
주당 데이터
12개월 종료 | 기본 주당순이익1 | 희석된 주당순이익2 | 주당 배당금3 |
---|---|---|---|
2021. 12. 31. | |||
2020. 12. 31.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
2012. 12. 31. | |||
2011. 12. 31. | |||
2010. 12. 31. | |||
2009. 12. 31. | |||
2008. 12. 31. | |||
2007. 12. 31. | |||
2006. 12. 31. | |||
2005.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0-K (보고 날짜: 2012-12-31), 10-K (보고 날짜: 2011-12-31), 10-K (보고 날짜: 2010-12-31), 10-K (보고 날짜: 2009-12-31), 10-K (보고 날짜: 2008-12-31), 10-K (보고 날짜: 2007-12-31), 10-K (보고 날짜: 2006-12-31), 10-K (보고 날짜: 2005-12-31).
1, 2, 3 분할 및 주식 배당을 위해 조정된 데이터.
제시된 연간 수치들에 따르면, 세 가지 지표가 서로 다른 진폭과 방향으로 움직이며 전 기간에 걸쳐 점진적 성장 경향과 다변동성의 공존을 보인다. 기본 주당순이익과 희석된 주당순이익은 대체로 유사한 흐름을 보이지만, 배당금은 비교적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회계연도는 대체로 2008-2009년의 하락기를 거친 후, 이후 회복과 급등 구간을 반복하는 특징이 뚜렷하다.
- 기본 주당순이익
- 2005: 2.62, 2006: 3.04, 2007: 3.39, 2008: 2.93, 2009: 1.89, 2010: 3.05, 2011: 4.21, 2012: 6.11, 2013: 3.76, 2014: 7.33, 2015: 5.16, 2016: 5.73, 2017: 4.90, 2018: 7.65, 2019: 7.78, 2020: 6.66, 2021: 8.55
- 희석된 주당순이익
- 2005: 2.60, 2006: 3.01, 2007: 3.36, 2008: 2.91, 2009: 1.89, 2010: 3.03, 2011: 4.19, 2012: 6.06, 2013: 3.74, 2014: 7.28, 2015: 5.13, 2016: 5.70, 2017: 4.86, 2018: 7.60, 2019: 7.74, 2020: 6.63, 2021: 8.51
- 주당 배당금
- 2005: 0.61, 2006: 0.75, 2007: 0.98, 2008: 1.18, 2009: 1.24, 2010: 1.30, 2011: 1.40, 2012: 1.48, 2013: 1.60, 2014: 1.81, 2015: 2.07, 2016: 2.40, 2017: 2.86, 2018: 3.56, 2019: 4.14, 2020: 4.42, 2021: 4.72
추가 해석: 두 EPS 지표의 흐름은 거의 일치하며, 차이는 일반적으로 소수 단위 범위에 머문다. 2008-2009년의 하락 구간과 2012년, 2014년, 2019년의 뚜렷한 상승이 반복되었고, 2020년에는 소폭 둔화되었으나 2021년에는 새로 고점을 경신하였다. 반면 배당금은 초창기 대비 꾸준하고 가파르게 증가하여 2005년 0.61달러에서 2021년 4.72달러로 크게 올랐다. 이로써 현금 배당 정책의 지속성과 수익성 변동성 사이에 완충 역할이 나타난다는 인사이트가 도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