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 사용자를 위한 영역
무료 체험하기
이번 주에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American Airlines Group Inc. 페이지:
데이터는 뒤에 숨겨져 있습니다.
이것은 일회성 지불입니다. 자동 갱신은 없습니다.
우리는 받아 들인다 :
손익 계산서
12개월 종료 | 영업수익 | 영업이익(손실) | 순이익(손실) |
---|---|---|---|
2023. 12. 31. | |||
2022. 12. 31. | |||
2021. 12. 31. | |||
2020. 12. 31.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 영업수익의 추세
- 2013년 이후 꾸준한 성장세가 관찰되며, 2018년까지 안정적인 상승을 보여왔다. 특히 2014년과 2015년 사이에는 빠른 성장 (약 15,400백만 달러 상승)이 있었으며, 2016년 이후에는 정체 또는 소폭의 증감이 반복되었다. 2020년과 2021년에는 매출이 크게 감소하였으며, 이는 글로벌 팬데믹의 영향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후 2022년과 2023년에 다시 회복세를 보여, 2023년에는 약 52,788백만 달러로 2014년 수준을 초과하는 성장세를 기록하였다.
- 영업이익(손실)의 변화
- 2013년부터 2017년 초까지 긍정적인 영업이익이 지속되었다. 특히 2014년과 2015년에는 각각 4,249백만 달러와 6,204백만 달러로 높은 수익성을 보였다. 그러나 2016년 이후부터 2020년까지는 영업이익이 급감하여 2019년에는 -10,421백만 달러로 손실이 발생했고, 2020년에는 적자가 더욱 심화되어 -1,059백만 달러를 기록하였다. 이러한 손실은 글로벌 팬데믹 상황과 비용 구조의 변화가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후 2021년과 2022년에 손실이 축소되면서 영업이익이 다시 플러스로 전환되기 시작했고, 2023년에는 약 3,034백만 달러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회복세를 보였다.
- 순이익(손실)의 패턴
- 2013년과 2014년, 2015년에는 순이익이 양호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특히 2015년에는 7,610백만 달러로 정점에 달했으며, 이후 2016년 이후로는 꾸준한 하락세와 함께 2019년에는 -8,885백만 달러의 큰 손실로 급락하였다. 2020년에는 손실이 더 심화되어 -1,993백만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팬데믹 영향으로 인한 비용 증가와 매출 하락이 주요 원인으로 보인다. 그러나 2021년 이후에는 손실이 크게 줄어들거나 흑자로 전환되는 경향이 나타나며, 2022년과 2023년에는 각각 822백만 달러와 127백만 달러의 흑자를 기록하였다. 이는 수익성 회복과 비용 통제의 효과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대차 대조표: 자산
유동 자산 | 총 자산 | |
---|---|---|
2023. 12. 31. | ||
2022. 12. 31. | ||
2021. 12. 31. | ||
2020. 12. 31.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 유동 자산
- 2013년부터 2016년까지는 비교적 안정된 수준을 보였으며, 전체적으로는 2013년의 14,323백만 달러에서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주었다. 특히 2015년에는 약 9,985백만 달러로 전년 대비 큰 폭으로 하락하였으며, 이 이후 2016년까지는 절대 수치는 크게 증가하지 않거나 약간 안정된 모습을 나타냈다. 이후 2017년부터 2020년까지는 상당한 변동이 있었으며, 2020년에는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인해 유동 자산이 11,095백만 달러로 증가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2021년 이후에는 다시 감소하는 양상을 보여 2022년에는 15,269백만 달러로 반등했으며, 2023년에는 13,572백만 달러로 다소 감소하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전반적으로, 유동 자산은 코로나19 충격 이후 열흘 동안 증가 후 다시 하락하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 총 자산
- 2013년에는 42,278백만 달러였으며, 이후 일정한 성장세를 보이며 2015년에는 48,415백만 달러로 증가하였다. 2016년부터 2018년까지는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가 2018년엔 60,580백만 달러로 정점을 찍었다. 2019년까지만 해도 59,995백만 달러로 거의 정체된 상태였으며, 2020년에는 팬데믹의 충격으로 다소 하락하여 62,008백만 달러를 기록하였다. 이후 2021년에는 다시 소폭 증가하여 66,467백만 달러를 기록했고, 2022년에는 다소 하락하여 64,716백만 달러를 보였다. 2023년에는 63,058백만 달러로 약간 감소하는 모습을 보여, 전체적으로는 전반적인 증가 추세 내에서 소폭의 변동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패턴은 기업이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잠시 자산 규모가 축소되었지만, 이후 회복세를 보여 성장곡선을 그려왔다고 해석할 수 있다.
대차 대조표: 부채 및 주주 자본
유동부채 | 총 부채 | 장기 부채 및 금융 리스 | 주주자본(적자) | |
---|---|---|---|---|
2023. 12. 31. | ||||
2022. 12. 31. | ||||
2021. 12. 31. | ||||
2020. 12. 31.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 유동부채 동향
- 2013년부터 2023년까지 유동부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2013년에는 약 1억 3,806만 달러였던 것이 2023년에는 약 2억 1,496만 달러에 이르고 있다. 이 기간 동안 안정적인 상승세를 나타내며, 특히 2018년에서 2020년 사이에 상당한 증가폭이 관찰되었고, 이후에도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다. 이는 유동성 관련 부채의 증가가 회사의 유동성 압박 또는 단기 채무 증가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 총 부채 변동
- 총 부채는 2013년 45,009만 달러에서 2023년 68,260만 달러까지 증가하였다. 특히 2018년에 정점을 기록하였다가 이후 소폭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전반적으로는 부채 수준이 상승하는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부채 증가는 회사의 자본 조달 활동이나 재무 구조를 확장하려는 시도로 해석될 수 있으며, 특정 시점에서는 부채 부담이 커졌던 기간도 존재한다. 이는 회사가 성장 또는 재무 확장을 위해 부채를 활용한 것으로 보인다.
- 장기 부채 및 금융 리스 동향
- 장기 부채와 금융 리스 역시 꾸준히 증가하는 모습이다. 2013년에 16,799만 달러였던 것이 2023년에는 32,902만 달러에 이른다. 특히 2016년 이후 급증하는 양상을 보이며, 2019년과 2020년에는 절정을 이루었다. 이후 다소 감소하는 양상이 나타나며, 부채 구조가 조정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는 자산 투자 또는 재무 전략에 따른 장기 부채의 활용이 강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
- 주주자본(적자) 추세
- 2013년에는 약 -2,731만 달러의 적자를 기록하였으며, 이후 2014년에는 흑자 전환되어 2,021만 달러의 주주자본을 확보하였다. 이후 지속적으로 흑자 또는 적자를 반복하는 양상을 보여 2015년과 2016년에는 흑자였으나, 2017년 이후 다시 적자가 확대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2019년과 2020년에는 큰 적자를 기록하며 각각 -7,340만 달러와 -5,799만 달러에 달하였다. 이후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조정을 거치며 일부 흑자를 회복하거나 적자 규모를 축소하는 모습이 관찰된다. 이는 운영 성과 또는 재무구조의 변화를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현금 흐름표
12개월 종료 | 영업활동으로 제공된(사용된) 순현금 | 투자 활동으로 제공된 순현금(사용) | 재무활동으로 제공된(사용된) 순현금 |
---|---|---|---|
2023. 12. 31. | |||
2022. 12. 31. | |||
2021. 12. 31. | |||
2020. 12. 31.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 영업활동으로 제공된(사용된) 순현금
-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 흐름은 상당히 안정적이며, 특히 2014년과 2015년에는 각각 3,080백만 달러와 6,249백만 달러로 긍정적인 흐름을 보였다. 2016년과 2017년에는 다소 하락(6,524백만 달러와 4,744백만 달러)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여전히 긍정적인 수준을 유지하였다. 2018년 이후에는 변동이 심화되었으며, 2019년과 2020년에는 다시 큰 부정적 흐름을 나타내었다. 특히 2020년에는 -6,543백만 달러로, COVID-19 팬데믹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후 2021년과 2022년에는 각각 704백만 달러와 2,173백만 달러로 회복 조짐을 보였으며, 2023년에는 3,803백만 달러로 다시 상승하였다. 이는 영업활동의 현금 창출 능력이 일정 회복 또는 개선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 투자 활동으로 제공된 순현금(사용)
- 투자 활동에서의 순현금은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지속적으로 유출(음수)이 발생하였다. 특히 2015년과 2016년에는 각각 -5,594백만 달러와 -5,698백만 달러로서, 자산 취득이나 투자가 활발히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2018년 이후로도 유출은 계속되었으며, 2019년과 2020년에는 각각 -1,568백만 달러와 -4,342백만 달러로 나타났다. 2021년에는 636백만 달러로 자본 유입이 일부 회복된 모습이며, 2022년과 2023년에는 각각 -502백만 달러와 -3,983백만 달러로 다시 유출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추세는 지속적인 자산 투자 또는 기업 규모 확장과 관련된 움직임으로 해석될 수 있다.
- 재무활동으로 제공된(사용된) 순현금
- 재무 활동에서의 순현금 흐름은 변동성이 크다. 2013년과 2014년에는 각각 3,799백만 달러와 -315백만 달러로서, 2013년에는 자금 조달이 활발했음을, 2014년에는 재무적 구조 조정이나 부채 상환이 이루어졌음을 시사한다. 2015년부터 2018년까지는 모두 유출(음수)되는 흐름이 지속되어, 특히 2016년과 2017년에는 각각 -894백만 달러와 -1,145백만 달러로 부채 감축 또는 배당 지급 등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2018년 이후에는 2020년까지 긍정적(유입) 흐름이 매우 큰 폭으로 나타났는데, 2019년의 10,994백만 달러는 막대한 부채 조달 또는 지분 유입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후 2020년과 2021년에는 다시 유출로 전환되었다. 2022년과 2023년에는 유출 규모가 다시 커지면서 자본 조달 활동이 축소 또는 부채 상환이 이루어진 것으로 해석된다.
주당 데이터
12개월 종료 | 기본 주당순이익1 | 희석된 주당순이익2 | 주당 배당금3 |
---|---|---|---|
2023. 12. 31. | |||
2022. 12. 31. | |||
2021. 12. 31. | |||
2020. 12. 31. | |||
2019. 12. 31. | |||
2018. 12. 31. | |||
2017. 12. 31. | |||
2016. 12. 31. | |||
2015. 12. 31. | |||
2014. 12. 31. | |||
2013. 12. 31. |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3-12-31), 10-K (보고 날짜: 2022-12-31), 10-K (보고 날짜: 2021-12-31), 10-K (보고 날짜: 2020-12-31), 10-K (보고 날짜: 2019-12-31), 10-K (보고 날짜: 2018-12-31), 10-K (보고 날짜: 2017-12-31), 10-K (보고 날짜: 2016-12-31), 10-K (보고 날짜: 2015-12-31), 10-K (보고 날짜: 2014-12-31), 10-K (보고 날짜: 2013-12-31).
1, 2, 3 분할 및 주식 배당을 위해 조정된 데이터.
- 수익성 분석
- 기본 주당순이익과 희석된 주당순이익 모두 2013년부터 2015년까지는 상당한 성장세를 기록하였다. 특히 2015년에는 두 지표 모두 11달러를 상회하는 높은 수치를 보였다. 이후 2016년까지는 지속적인 수익성을 유지하며, 2014년과 2015년 사이에 큰 폭으로 상승하였다. 그러나 2016년부터 2019년까지는 수익성이 유지되었으며, 2019년에는 여전히 플러스(positive) 영역에 머물렀다. 중요한 점은 2020년 이후에 급격하게 수익성이 악화되어, 특히 2020년과 2021년에는 크게 마이너스(-18.36달러)로 전환되고 말았다. 2022년에는 다소 회복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2023년에는 다시 소폭의 수익 플러스를 기록하였다. 이러한 흐름은 글로벌 팬데믹과 관련된 시장 충격이 성과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 배당 정책의 변화
- 2014년부터 2019년까지 배당금이 일정하게 0.4달러로 유지되었으며, 2015년과 2016년에 각각 0.4달러와 0.4달러로 안정적인 배당 정책을 실시하였다. 2014년은 0.2달러로 시작했으나, 이후 지속적으로 인상되어 2015년부터는 안정된 배당 수치를 유지하였다. 2020년에는 배당금이 지급되지 않거나 제공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재무적 불확실성과 배당 정책의 일시적 중단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후 2021년과 2022년에도 배당금 지급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이는 추가적인 재무적 압박 또는 전략적 배당 정책 조정의 가능성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