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해 ROE 는 순이익을 주주 자본으로 나눈 값을 구성 요소 비율의 곱으로 표현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ROE 두 가지 구성 요소로 세분화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5-06-30), 10-Q (보고 날짜: 2025-03-31), 10-Q (보고 날짜: 2024-12-31), 10-Q (보고 날짜: 2024-09-30), 10-K (보고 날짜: 2024-06-30), 10-Q (보고 날짜: 2024-03-31), 10-Q (보고 날짜: 2023-12-31), 10-Q (보고 날짜: 2023-09-30), 10-K (보고 날짜: 2023-06-30), 10-Q (보고 날짜: 2023-03-31), 10-Q (보고 날짜: 2022-12-31), 10-Q (보고 날짜: 2022-09-30), 10-K (보고 날짜: 2022-06-30), 10-Q (보고 날짜: 2022-03-31), 10-Q (보고 날짜: 2021-12-31), 10-Q (보고 날짜: 2021-09-30), 10-K (보고 날짜: 2021-06-30), 10-Q (보고 날짜: 2021-03-31), 10-Q (보고 날짜: 2020-12-31), 10-Q (보고 날짜: 2020-09-30), 10-K (보고 날짜: 2020-06-30), 10-Q (보고 날짜: 2020-03-31), 10-Q (보고 날짜: 2019-12-31), 10-Q (보고 날짜: 2019-09-30).
- 자산수익률비율 (ROA)
- 분기별 데이터에서 ROA는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2020년 이후 수치는 꾸준히 증가하는 흐름을 보여주며, 2024년까지 최고점을 기록한 후 소폭 하락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이는 기업이 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능력이 개선되고 있음을 시사하며, 특히 2020년 이후 비업무 자산이 보다 수익 창출에 기여하고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2025년 전망으로 가면서 다소 감소하는 모습은 수익성과 효율성에 일시적 혹은 장기적 조정이 일어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 재무 레버리지 비율
- 이 비율은 연중 거의 안정된 수준을 유지하며, 2.63에서 1.75까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는 기업이 부채비율을 점차 낮추며 재무구조의 안정성을 추구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특히 2020년부터 2025년까지의 데이터에서는 재무 레버리지의 점진적 축소가 나타나, 자본 구조의 보수적 전환 또는 부채에 대한 의존도 축소가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 자기자본비율 (ROE)
- ROE는 2019년 이후 연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세를 나타내며, 2020년 이후 44%를 넘는 수준까지 도달하였다. 이는 기업이 자기자본에 대한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 효율적 경영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였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2022년 이후에는 점차 하락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2025년 예상 수치는 대체로 낮아진 수준에 머무른다. 이러한 변화는 기업의 수익성에 대한 압력 또는 자기자본 활용의 변화와 연계되어 있을 수 있다.
ROE 세 가지 구성 요소로 세분화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5-06-30), 10-Q (보고 날짜: 2025-03-31), 10-Q (보고 날짜: 2024-12-31), 10-Q (보고 날짜: 2024-09-30), 10-K (보고 날짜: 2024-06-30), 10-Q (보고 날짜: 2024-03-31), 10-Q (보고 날짜: 2023-12-31), 10-Q (보고 날짜: 2023-09-30), 10-K (보고 날짜: 2023-06-30), 10-Q (보고 날짜: 2023-03-31), 10-Q (보고 날짜: 2022-12-31), 10-Q (보고 날짜: 2022-09-30), 10-K (보고 날짜: 2022-06-30), 10-Q (보고 날짜: 2022-03-31), 10-Q (보고 날짜: 2021-12-31), 10-Q (보고 날짜: 2021-09-30), 10-K (보고 날짜: 2021-06-30), 10-Q (보고 날짜: 2021-03-31), 10-Q (보고 날짜: 2020-12-31), 10-Q (보고 날짜: 2020-09-30), 10-K (보고 날짜: 2020-06-30), 10-Q (보고 날짜: 2020-03-31), 10-Q (보고 날짜: 2019-12-31), 10-Q (보고 날짜: 2019-09-30).
- 순이익률(Net Profit Margin Ratio)
- 2019년 이후부터 나타난 이 비율은 대부분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2020년 말 이후에는 30%를 상회하여 안정적인 이익 창출 능력을 보여주고 있다. 2021년과 2022년에는 지속적인 상승세가 두드러지며, 2023년 하반기까지 36% 내외를 유지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흐름은 수익성 강화와 비용 효율화가 병행된 결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시장 환경에 대한 적응 능력도 상승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 자산회전율
- 이 비율은 2019년 이후 비교적 안정적인 범위 내에서 다소 변동성을 보이고 있으며, 0.46~0.56 범위 내에 위치한다. 2020년 초에는 0.47에서 시작하여 연중 0.56까지 상승한 후, 이후 점차 0.48~0.55 범위 내에서 유지되고 있다. 이는 자산의 활용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되고 있음을 나타내며, 기업의 자산 운용 효율이 크게 악화되지 않는 가운데, 일부 기간에는 활발한 자산 활용이 이루어진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 재무 레버리지 비율
- 이 비율은 2019년 2.63에서 시작하여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2020년 이후에는 1.75에서 2.55까지 변화하며, 전반적으로 낮아지는 추세를 나타낸다. 특히 2023년 이후에는 1.75로 낮아졌으며, 이는 부채 의존도를 줄이고 자기자본 중심의 재무 구조로 전환하는 전략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현상은 재무 안정성을 높이고, 부채 부담을 줄이려는 시장 또는 기업 정책의 일환으로 해석될 가능성이 크다.
- 자기자본비율 (ROE)
- 이 지표는 2019년 이후 꾸준히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며, 2020년 37.43%에서 시작해 2022년 40%를 넘어서고, 이후 2023년 말까지 최고치를 기록하였다. 그러나 2024년과 2025년에는 하락하는 경향을 보이며 완만한 조정을 겪고 있다. 상승 추세는 수익성 강화와 자본 효율성 향상을 시사하며, 기업의 주주 수익률 증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후반기에는 성장 둔화 또는 일부 비용 증가의 영향으로 ROE가 일부 감소하는 모습이 관찰된다.
ROA 두 가지 구성 요소로 세분화
보고서 기준: 10-K (보고 날짜: 2025-06-30), 10-Q (보고 날짜: 2025-03-31), 10-Q (보고 날짜: 2024-12-31), 10-Q (보고 날짜: 2024-09-30), 10-K (보고 날짜: 2024-06-30), 10-Q (보고 날짜: 2024-03-31), 10-Q (보고 날짜: 2023-12-31), 10-Q (보고 날짜: 2023-09-30), 10-K (보고 날짜: 2023-06-30), 10-Q (보고 날짜: 2023-03-31), 10-Q (보고 날짜: 2022-12-31), 10-Q (보고 날짜: 2022-09-30), 10-K (보고 날짜: 2022-06-30), 10-Q (보고 날짜: 2022-03-31), 10-Q (보고 날짜: 2021-12-31), 10-Q (보고 날짜: 2021-09-30), 10-K (보고 날짜: 2021-06-30), 10-Q (보고 날짜: 2021-03-31), 10-Q (보고 날짜: 2020-12-31), 10-Q (보고 날짜: 2020-09-30), 10-K (보고 날짜: 2020-06-30), 10-Q (보고 날짜: 2020-03-31), 10-Q (보고 날짜: 2019-12-31), 10-Q (보고 날짜: 2019-09-30).
- 순이익률(Net Profit Margin Ratio)
- 2019년 3분기에는 공개된 데이터가 없으나, 이후 2020년 12월부터 2025년 6월까지는 안정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2020년 12월부터 2021년 3월까지 두 자리 숫자의 순이익률이 지속되며 수익성 향상이 두드러졌다. 이후 2021년 6월 이후 점차적으로 30% 내외로 변동하며 유지되고 있으며, 2023년 말까지 약 35% 전후의 수익성 수준을 지속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수익률은 점진적으로 상승한 후 안정화되는 모습을 보여, 회사의 수익성 개선과 안정성을 동시에 시사한다.
- 자산회전율
- 자산회전율은 2020년 12월부터 2025년 6월까지 점진적으로 변동하고 있으며, 일정한 범위 내에서 약 0.46에서 0.56 사이를 유지하고 있다. 2020년 12월 이후 일관되게 약 0.5 이상의 수치를 기록하며, 자산을 활용한 매출 창출 효율이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지표는 회사가 자산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하는 능력이 유지되고 있음을 의미하며, 대체로 효율성이 크게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된다.
- 자산수익률비율 (ROA)
- ROA는 2020년 12월 이후 17% 이상에서 시작하여, 2020년 하반기 이후 20% 내외로 일시적 상승을 보이고 있다. 이후 다소 변동을 보이면서도 대부분 17% 후반에서 20% 초반에 머무르고 있으며, 2025년 6월까지 대체로 소폭의 하락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 기간 동안 수익성 대비 자산 사용 효율성이 유지되었으며, 일정 수준에서 안정된 수익성을 지속하는 모습이다. 전체적으로, ROA는 회사의 자산 활용 능력을 지속적으로 보여주는 안정적인 지표로 평가할 수 있다.